증여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2011재두100

선고일자:

201112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에서 준용하는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9호의 ‘판결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사항에 관하여 판단을 누락한 때’의 의미)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9호,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2005. 1. 28. 선고 2003재다415 판결, 대법원 2006. 12. 8. 선고 2005재다20 판결

판례내용

【원고(중간확인원고, 재심원고)】 율곡문화원 (소송대리인 변호사 류택형) 【피고(중간확인피고, 재심피고)】 서초세무서장 【재심대상판결】 대법원 2011. 3. 24. 선고 2010두702 판결 【주 문】 재심청구를 기각한다. 재심소송비용은 원고(중간확인원고, 재심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재심청구이유를 판단한다. 1.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에서 준용하는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9호 소정의 ‘판결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사항에 관하여 판단을 누락한 때’라고 함은 당사자가 소송상 제출한 공격방어방법으로서 판결에 영향이 있는 것에 대하여 판결 이유 중에 판단을 명시하지 아니한 경우를 말하고, 판단이 있는 이상 그 판단에 이르는 이유가 소상하게 설시되어 있지 아니하거나 당사자의 주장을 배척하는 근거를 일일이 개별적으로 설명하지 아니하더라도 위 법조항에서 말하는 판단누락에 해당하지 않는다 ( 대법원 2005. 1. 28. 선고 2003재다415 판결, 대법원 2006. 12. 8. 선고 2005재다20 판결 등 참조). 재심대상판결 이유를 위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재심대상판결의 판단에는 원고(중간확인원고, 재심원고)가 그 판단이 누락되었다고 내세우는 주장들을 모두 배척하는 취지가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거기에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9호의 재심사유인 판단누락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재심대상판결 이유를 살펴보면, 재심대상판결에는 그 원심이 원고(중간확인원고, 재심원고) 주장의 여러 대법원 판결에 상반되는 해석과 판단을 하였다는 상고이유 주장을 배척하는 취지가 포함되어 있음이 분명하고, 이러한 재심대상판결의 판단은 정당하므로, 재심대상판결이 종전의 대법원 판결에 반하는 법률해석을 하였다거나 법률의 해석적용에 관한 의견을 변경하는 취지라고 할 수 없고, 따라서 대법관 전원의 3분의 2 이상의 합의체가 아닌 대법관 4인으로 구성된 부에서 재판을 한 재심대상판결의 법원 구성에 어떠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대법원 2008. 7. 10. 선고 2006재다218 판결 등 참조). 그 밖에 기록을 살펴보아도 재심대상판결에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각 호가 정하는 재심사유가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 3. 그러므로 재심청구를 기각하고 재심소송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창수(재판장) 전수안(주심) 이상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재판에서 중요한 주장에 대한 판단이 누락되면 재심할 수 있을까?

재판에서 판사가 판결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쟁점에 대해 아예 판단을 하지 않은 경우에만 '판단유탈'이라고 합니다. 판단은 했지만 그 이유 설명이 부족하거나, 상대방 주장을 반박하는 근거를 자세히 제시하지 않았다고 해서 판단유탈은 아닙니다.

#판단유탈#재심#쟁점#판결

민사판례

판결문에 모든 주장이 다 들어가야 할까요?

판결문에는 모든 주장이 아니라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주장에 대한 판단만 있으면 충분하며, 판결의 전반적인 취지에서 주장이 받아들여졌는지, 기각되었는지 알 수 있다면 판단누락으로 보지 않는다는 내용입니다.

#판결문#판단누락#재심#핵심주장

민사판례

판결문에 모든 주장이 다 들어가야 할까요?

법원이 판결문에 모든 주장에 대해 일일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판결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당사자 주장에 대한 판단을 명확히 알 수 있거나, 해당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이 뻔한 경우에는 판단누락으로 보지 않는다.

#판단누락#판결취지 명확성#주장 명시적 판단 불필요#묵시적 판단

일반행정판례

재심의 재심은 안된다? 재심청구에 대한 대법원 판결 이야기

이미 재심을 통해 확정된 판결에 대해, 그 재심의 대상이었던 판결이나 그 이전 판결의 잘못을 이유로 다시 재심을 청구할 수는 없습니다.

#재심#확정판결#재심사유#기각

민사판례

재심, 판단유탈이란 무엇일까요?

재판에서 판사가 판결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쟁점에 대해 판단하지 않았을 경우, 재심 사유가 될 수 있다. 하지만 판단 자체는 했지만, 그 이유 설명이 부족하거나 모든 주장에 대한 반박 근거를 제시하지 않았다고 해서 재심 사유가 되는 것은 아니다.

#재심#판단유탈#중요쟁점#판결

민사판례

법원이 내 주장을 빼먹고 판결했어요! 재심 가능할까요? (판단유탈)

재판에서 법원이 당사자가 주장한 내용에 대해 판단을 누락한 경우(판단유탈) 재심을 청구할 수 있는데, 법원이 직권으로 조사해야 할 사항을 빠뜨린 경우에는 당사자가 그 조사를 법원에 요구했을 때만 재심 사유가 됩니다.

#재심#판단유탈#직권조사사항#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