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거보전

사건번호:

2012그21

선고일자:

20120320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문서제출 신청에 관한 결정에 불복하는 이해관계인이 대법원에 특별항고를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344조, 제348조, 제380조, 제449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특별항고인】 청량리제6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설립추진위원회 (소송대리인 변호사 최찬욱) 【원심결정】 서울북부지법 2011. 12. 30.자 2011카기1729 결정 【주 문】 사건을 서울북부지방법원 합의부에 이송한다. 【이 유】 1. 민사소송법 제380조는 “증거보전의 결정에 대하여는 불복할 수 없다.”고 규정하면서도 같은 법 제348조는 “문서제출의 신청에 관한 결정에 대하여는 즉시항고를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증거보전을 허용한 결정 자체에 대하여는 불복할 수 없지만, 그에 기하여 증거조사를 실시하는 결정으로서 법원이 문서제출을 명한 경우에 이에 대하여 불복이 있는 이해관계인은 즉시항고를 제기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위와 같이 즉시항고가 허용되는 경우에는 대법원에 민사소송법 제449조에 규정된 특별항고를 제기할 수는 없다 . 2. 기록에 의하면, 신청외 1 외 11명이 특별항고인을 상대로 주민총회결의무효확인의소를 제기하기 전에 증거를 보전하기 위하여 특별항고인이 소지하고 있는 주민총회 개최를 위한 주민총회 개최요구서 원본 등의 문서제출명령 신청을 하자, 서울북부지방법원은 2011. 12. 30. 문서제출명령에 관한 증거보전을 허용하는 취지의 결정 및 그에 기하여 민사소송법 제344조에 따라 특별항고인에게 특정된 문서들을 제출하도록 명하는 결정을 하였고, 이에 대하여 특별항고인은 2012. 1. 12. 서울북부지방법원에 원본을 소지하지 않고 있다는 사유로 위 문서들의 제출을 명하는 결정에 불복하여 항고를 제기한다는 취지의 항고장을 제출하였는데, 서울북부지방법원은 이를 특별항고로 보아 대법원에 기록을 송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특별항고인이 위 문서들의 제출을 명하는 결정에 불복이 있어 제기한 이 사건 항고는 특별항고가 아니라 민사소송법 제348조에 근거하여 제기된 즉시항고로 취급되어야 할 것이고, 그 관할법원은 서울북부지방법원 합의부이다. 3. 그러므로 이 사건을 관할법원에 이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양창수(재판장) 전수안 이상훈 김용덕(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집행이의신청 기각 결정에 대한 불복 방법: 즉시항고 vs. 특별항고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 기각 결정에 대해 잘못된 항고 방식(즉시항고)을 사용했더라도, 법원은 이를 특별항고로 보고 내용을 심리해야 한다.

#특별항고#즉시항고#집행이의#대법원

민사판례

집행이의 신청에 대한 불복 방법, 즉시항고? 특별항고?

강제집행 과정에 이의를 제기했지만 기각되었을 때, 즉시항고가 아닌 특별항고를 해야 하는 경우에도 잘못하여 즉시항고를 했다면 법원은 이를 특별항고로 보고 내용을 판단해야 한다.

#강제집행#이의신청#즉시항고#특별항고

민사판례

집행이의 신청에 대한 재판, 어떻게 불복해야 할까요?

강제집행 이의신청에 대한 법원의 기각 결정에 불복하려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즉시항고가 아닌 특별항고를 해야 합니다. 만약 항고장에 '특별항고'라고 명시하지 않더라도, 법원은 이를 특별항고로 간주하여 대법원으로 보내야 합니다.

#강제집행#이의신청#기각#불복

민사판례

항고이유서 제출 안 하면 어떻게 될까? 재항고도 마찬가지!

법원의 압류명령 등에 불복하여 재항고할 때, 정해진 기간 안에 이유를 제출하지 않으면 재항고는 각하됩니다. 이는 즉시항고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재항고#이유서 제출기간#각하#즉시항고

민사판례

집행문 부여에 대한 이의, 어떻게 다툴 수 있을까요?

판결 확정 후 집행문 부여에 이의가 있을 경우, 어떤 방법으로 불복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 즉시항고나 집행이의가 아닌 특별항고를 해야 합니다.

#집행문부여이의#특별항고#불복방법#즉시항고불가

일반행정판례

문서 제출 명령, 함부로 내릴 수 없다! 상대방의 의견도 들어야죠!

법원은 문서 제출을 명령하기 전에 상대방에게 해당 문서 제출 신청에 대한 의견을 제출할 기회를 주어야 하며, 충분한 심리 없이 제출 명령을 내리는 것은 위법이다.

#문서제출명령#의견진술기회#상대방#위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