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비밀보호법 위반

사건번호:

2012도4644

선고일자:

201210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통신비밀보호법상 ‘감청’의 의미 및 이미 수신이 완료된 전기통신 내용을 지득하는 등의 행위도 이에 포함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통신비밀보호법 제2조 제3호 및 제7호에 의하면 같은 법상 ‘감청’은 전자적 방식에 의하여 모든 종류의 음향·문언·부호 또는 영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전기통신에 대하여 당사자의 동의 없이 전자장치·기계장치 등을 사용하여 통신의 음향·문언·부호·영상을 청취·공독하여 그 내용을 지득 또는 채록하거나 전기통신의 송·수신을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해당 규정의 문언이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전기통신 행위를 감청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을 뿐 송·수신이 완료되어 보관 중인 전기통신 내용은 대상으로 규정하지 않은 점, 일반적으로 감청은 다른 사람의 대화나 통신 내용을 몰래 엿듣는 행위를 의미하는 점 등을 고려하여 보면, 통신비밀보호법상 ‘감청’이란 대상이 되는 전기통신의 송·수신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만을 의미하고, 이미 수신이 완료된 전기통신의 내용을 지득하는 등의 행위는 포함되지 않는다.

참조조문

통신비밀보호법 제2조 제3호, 제7호

참조판례

대법원 2012. 7. 26. 선고 2011도12407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12. 4. 5. 선고 2011노391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통신비밀보호법 제2조 제3호 및 제7호에 의하면 같은 법상의 “감청”은 전자적 방식에 의하여 모든 종류의 음향·문언·부호 또는 영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전기통신에 대하여 당사자의 동의 없이 전자장치·기계장치 등을 사용하여 통신의 음향·문언·부호·영상을 청취·공독하여 그 내용을 지득 또는 채록하거나 전기통신의 송·수신을 방해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해당 규정의 문언이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전기통신 행위를 감청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을 뿐 송·수신이 완료되어 보관 중인 전기통신 내용은 그 대상으로 규정하지 않은 점, 일반적으로 감청은 다른 사람의 대화나 통신 내용을 몰래 엿듣는 행위를 의미하는 점 등을 고려하여 보면, 통신비밀보호법상의 “감청”이란 그 대상이 되는 전기통신의 송·수신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만을 의미하고, 이미 수신이 완료된 전기통신의 내용을 지득하는 등의 행위는 포함되지 않는다 ( 대법원 2012. 7. 26. 선고 2011도12407 판결 참조).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송·수신이 완료된 전기통신의 내용을 청취·공독하여 지득 또는 채록하는 것은 통신비밀보호법상의 “감청”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판단하여 피고인에 대한 이 사건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민일영(재판장) 이인복 박보영(주심) 김신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몰래 녹음한 통화내용, 재판에서 증거로 쓸 수 있을까?

다른 사람의 통화 내용을 녹음할 때는 통화 당사자 모두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한쪽의 동의만 받고 제3자가 녹음하는 것은 불법 감청으로, 재판에서 증거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수사기관이 이런 방식으로 얻은 증거도 마찬가지입니다.

#불법감청#증거능력#제3자녹음#일방동의

형사판례

남의 대화 녹음파일, 들어도 처벌될까? 통비법 위반 '청취'의 의미

다른 사람의 대화가 녹음된 파일을 듣는 행위는 통신비밀보호법상 '청취'에 해당하지 않아 불법이 아니다. '청취'는 대화가 진행되는 그 순간에 엿듣는 것을 의미한다.

#녹음파일 청취#통신비밀보호법 위반#대법원#무죄

형사판례

몰래 녹음된 대화, 처벌받을 수 있을까?

다른 사람의 대화를 몰래 녹음하는 것은 통신비밀보호법 위반입니다. 대화 당사자가 아닌 제3자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녹음하는 것은 불법이며, 녹음 내용이 공익에 관련된 내용이라도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타인 대화 녹음#통신비밀보호법 위반#제3자 녹음#불법 녹음

민사판례

배우자의 외도 증거, 몰래 녹음한 통화내용은 증거가 될까?

배우자가 제3자를 통해 불법으로 녹음한 배우자와 상간자의 통화 내용은 법원에서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

#배우자 외도#녹음파일#불법감청#증거능력

형사판례

실시간 감청과 사후 열람은 다르다! 카카오톡 대화내용 증거능력 논란

이 판결은 수사기관이 카카오톡 대화내용을 실시간 감청이 아닌, 이미 서버에 저장된 내용을 주기적으로 가져가는 방식으로 수집한 것이 위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렇게 수집된 증거는 통신비밀보호법을 위반했기 때문에 재판에서 유죄의 증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카카오톡#감청#위법#통신비밀보호법

형사판례

직장 동료의 메신저 대화 내용, 몰래 봤다면 처벌될까?

회사 동료 컴퓨터에 저장된 메신저 대화 내용을 동료 몰래 열람하고 다른 사람에게 전송한 행위는 정보통신망법 위반으로 유죄가 인정됨. 컴퓨터에 저장된 정보라도 정보통신망과 연계되어 있다면 정보통신망법 보호 대상이 될 수 있음.

#메신저#대화내용#무단열람#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