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2012도8890
선고일자:
201209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임의동행의 적법성을 인정하기 위한 요건
경찰관직무집행법 제3조 제2항, 형사소송법 제199조 제1항
대법원 2006. 7. 6. 선고 2005도6810 판결(공2006하, 1572), 대법원 2011. 6. 30. 선고 2009도6717 판결(공2011하, 1552)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법무법인 이일 담당변호사 정창래 【원심판결】 수원지법 2012. 7. 4. 선고 2012노190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형사소송법 제199조 제1항은 임의수사 원칙을 명시하고 있다. 수사관이 수사과정에서 동의를 받는 형식으로 피의자를 수사관서 등에 동행하는 것은, 피의자의 신체의 자유가 제한되어 실질적으로 체포와 유사한데도 이를 억제할 방법이 없어서 이를 통해서는 제도적으로는 물론 현실적으로도 임의성을 보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아직 정식 체포·구속단계 이전이라는 이유로 헌법 및 형사소송법이 체포·구속된 피의자에게 부여하는 각종 권리보장 장치가 제공되지 않는 등 형사소송법 원리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수사관이 동행에 앞서 피의자에게 동행을 거부할 수 있음을 알려 주었거나 동행한 피의자가 언제든지 자유로이 동행과정에서 이탈 또는 동행장소에서 퇴거할 수 있었음이 인정되는 등 오로지 피의자의 자발적인 의사에 의하여 수사관서 등에 동행이 이루어졌다는 것이 객관적인 사정에 의하여 명백하게 입증된 경우에 한하여, 동행의 적법성이 인정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 대법원 2011. 6. 30. 선고 2009도6717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적법하게 채택·조사된 증거에 의하여 판시 사실을 인정한 다음, ① 경찰관 공소외인은 피고인을 경찰서로 동행할 당시 피고인에게 언제든지 동행을 거부할 수 있음을 고지한 다음 동행에 대한 동의를 구하였고, 이에 피고인이 고개를 끄덕이며 동의의 의사표시를 하였던 점, ② 피고인은 동행 당시 경찰관에게 욕을 하거나 특별한 저항을 하지도 않고 동행에 순순히 응하였던 점, ③ 비록 동행 당시 피고인이 술에 취한 상태이기는 하였으나, 동행 후 경찰서에서 주취운전자정황진술보고서의 날인을 거부하고 “이번이 3번째 음주운전이다. 난 시청 직원이다. 1번만 봐 달라.”고 말하기도 하는 등 동행 전후 피고인의 언행에 비추어 피고인이 당시 경찰관의 임의동행 요구에 대하여 이에 따를 것인지 여부에 관한 판단을 할 정도의 의사능력은 충분히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점 등 그 판시와 같은 사정을 종합하여, 피고인에 대한 임의동행은 피고인의 자발적인 의사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적법하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난 위법이 없다. 한편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4호에 의하면 사형,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가 선고된 사건에서만 양형 부당을 사유로 한 상고가 허용되므로 피고인에 대하여 그보다 가벼운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는 취지의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상훈(재판장) 신영철(주심) 김용덕
형사판례
경찰이 피의자를 '임의동행' 형식으로 경찰서에 데려갔지만, 법원은 이를 사실상의 강제연행(불법체포)으로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그 이후 이뤄진 긴급체포도 위법하며, 불법체포 상태에서는 도주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형사판례
경찰의 임의동행 요구에 응했더라도, 당사자는 언제든지 퇴거할 자유가 있으며, 경찰은 6시간 동안 당사자를 경찰서에 구금할 수 없습니다.
민사판례
수사기관이 '임의동행' 형식으로 사람을 데려가 조사하는 경우, 진정한 임의성이 있었는지 엄격하게 판단해야 하며, 영장 없이 체포한 뒤 48시간 내에 사후구속영장을 받지 않고 통상의 구속영장을 발부받았다 하더라도 불법체포에 해당한다는 판결입니다.
형사판례
마약 투약 혐의가 있는 사람을 경찰서로 임의동행하여 소변과 모발 검사를 한 경우, 단순 질서 유지를 위한 동행이 아닌 수사를 위한 임의동행으로 볼 수 있다는 판결. 따라서 동행 과정에서 위법적인 강제력이 없었다면, 제출된 소변과 모발은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
형사판례
경찰이 적법한 절차 없이 강제로 연행하여 얻은 진술은 증거로 사용할 수 없으며, 임의동행이라도 진정한 동의 없이 이루어졌다면 위법하다.
형사판례
경찰 수사를 위해 자발적으로 경찰서에 간 사람(임의동행)도 변호사를 만날 권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