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2013다215515

선고일자:

201502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등기부취득시효의 요건인 ‘부동산의 소유자로 등기한 자’에서 말하는 등기는 적법·유효한 등기여야 하는지 여부(소극) [2] 공유자 중 1인이 1필지 토지 중 특정부분만을 점유하여 온 경우, 등기부취득시효 완성의 범위(=특정부분에 대한 공유지분의 범위 내) 및 그 1필지 토지가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었던 토지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인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법 제245조 제2항 / [2] 민법 제245조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4. 2. 8. 선고 93다23367 판결(공1994상, 1003), 대법원 1998. 1. 20. 선고 96다48527 판결(공1998상, 557) / [2] 대법원 1986. 5. 27. 선고 86다카280 판결(공1986, 815), 대법원 1993. 8. 27. 선고 93다4250 판결(공1993하, 2616)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대한민국 (소송대리인 정부법무공단 담당변호사 박시준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3. 10. 11. 선고 2012나105484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채택 증거를 종합하여 소외인을 비롯한 이 사건 토지의 공유자들이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다고 인정한 것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관한 법리오해, 채증법칙 위반, 심리미진 등의 위법이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민법 제245조 제2항이 정한 등기부취득시효의 요건인 ‘부동산의 소유자로 등기한 자’에서 말하는 등기는 적법·유효한 등기일 필요는 없고 무효의 등기라도 관계없다(대법원 1994. 2. 8. 선고 93다23367 판결, 대법원 1998. 1. 20. 선고 96다48527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를 이러한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이 사건 (주소 생략) 토지의 등기부상 공유지분의 합계가 1을 초과하고 소외인 명의의 공유지분이전등기가 무효라고 하더라도 이 사건 (주소 생략) 토지의 등기는 부동산등기법 제15조가 규정한 1부동산 1용지주의에 위배되지 아니하므로 이를 기초로 하는 등기부취득시효가 인정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등기부취득시효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3. 상고이유 제3점에 대하여 공유자 중 1인이 1필지 토지 중 특정부분만을 점유하여 왔다면 민법 제245조 제2항이 정한 ‘부동산의 소유자로 등기한 자’와 ‘그 부동산을 점유한 때’라는 등기부취득시효의 요건 중 특정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관하여는 부동산의 점유라는 요건을 갖추지 못하였고, 그 특정부분 점유자가 1필지 토지에 관하여 가지고 있는 공유지분등기가 그 특정부분 자체를 표상하는 등기라고 볼 수는 없으므로, 결국 그 특정부분에 대한 공유지분의 범위 내에서만 등기부취득시효가 완성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고(대법원 1986. 5. 27. 선고 86다카280 판결, 대법원 1993. 8. 27. 선고 93다4250 판결 등 참조), 그 1필지 토지가 원래 2인 이상이 내부적으로는 위치와 면적을 특정하여 구분소유하기로 하고 그들의 공유로 등기한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었던 토지라고 하여 달리 볼 수 없다.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주소 생략) 토지의 공유자들은 서로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었는데, 소외인은 이 사건 (주소 생략) 토지 중 7,485분의 13.25 지분을 매수하여 1975. 5. 21. 그 공유지분이전등기를 마치고 이 사건 (주소 생략) 토지 중 전체 면적의 7,485분의 13.25에 해당하는 약 21.02㎡ 부분(이하 ‘특정부분’이라 한다)을 특정하여 10년 이상 점유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이러한 경우 소외인은 특정부분에 대한 7,485분의 13.25 지분 범위 내에서만 등기부취득시효의 요건을 구비한 것일 뿐, 이 사건 (주소 생략) 토지 전체에 대한 7,485분의 13.25 지분이나 특정부분 자체에 관하여 등기부취득시효의 요건을 충족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소외인이 이 사건 (주소 생략) 토지 중 7,485분의 13.25 지분 전체에 관하여 등기부취득시효의 요건을 충족하여 소유권을 취득하였다고 판단하였으니, 원심의 이러한 판단에는 공유지분등기에 기한 등기부취득시효 완성의 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이를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4. 상고이유 제4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원고 측이 등기부취득시효 완성의 이익을 포기하지 아니하였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시효이익 포기에 관한 법리오해나 심리미진 등의 위법이 없다. 5.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희대(재판장) 신영철 이상훈(주심) 김창석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내 땅이라고 우기려면? 땅의 일부를 점유할 때도 주의할 점!

토지의 일부 지분을 시효취득했다고 주장할 때, 전체 토지 중 특정 부분만 점유했다면 그 부분을 점유했다는 명확한 증거가 필요하지만, 전체 토지를 점유하면서 일부 지분만 시효취득했다고 주장하는 경우에는 그런 명확한 증거가 필요하지 않다는 판례입니다.

#토지 지분 시효취득#점유 범위#객관적 징표#부분점유

민사판례

내 땅인데 남의 이름으로 되어있다고? 등기부 시효취득, 그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다른 사람 땅의 일부 지분을 자기 앞으로 등기한 사람이 10년 이상 점유했다고 해서 무조건 시효취득하는 것은 아닙니다. 법원은 그 사람이 실제로 어떤 부분을, 어떻게, 얼마나 점유했는지를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공유지분#시효취득#점유#등기

상담사례

내 땅인데 왜 못 쓰죠? - 공유토지 시효취득과 인도청구

공유토지에서 시효취득자가 소유권을 얻기 전이라도 소수 지분권자는 시효취득자에게 인도청구를 할 수 없다.

#공유토지#시효취득#인도청구#소수 지분권자

상담사례

내 땅인데, 왜 내 땅이 아니라고 할까요? (취득시효에 관하여)

등기된 소유권자가 자신의 땅을 점유하고 있다면 취득시효는 필요 없으며, 취득시효는 등기와 점유가 일치하지 않을 때 소유권을 되찾는 수단이다.

#취득시효#등기#토지소유권#점유

민사판례

공유토지 점유와 취득시효, 그리고 선택적 청구의 상고

여러 사람이 함께 소유하는 땅에서 각자 자기 땅이라고 생각하고 오랫동안 사용해 온 경우, 자기 땅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지(취득시효)에 대한 판결입니다. 또한, 여러 가지 주장을 한꺼번에 했는데, 법원이 모두 기각했을 때, 상고심에서 그중 하나라도 이유가 있다면 어떻게 판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공유토지#취득시효#선택적 청구#상고심 파기

민사판례

땅의 일부를 오랫동안 점유하면 내 땅이 될까? 그리고 공동 소유 땅의 등기 문제!

이 판례는 토지 일부에 대한 시효취득 요건과 공유자 중 한 명이 다른 공유자의 지분까지 자기 명의로 등기했을 때, 진짜 주인인 공유자가 잘못된 등기를 얼마나 말소해달라고 청구할 수 있는지를 다룹니다. 쉽게 말해, 남의 땅을 오랫동안 점유하면 내 땅이 될 수 있는지, 그리고 공동 소유의 땅을 다른 공유자가 몰래 자기 앞으로 등기했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시효취득#공유자#등기말소#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