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품대금

사건번호:

2013다72664

선고일자:

201402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제3조 제2항에서 정한 ‘채무자가 그 이행의무의 존재 여부나 범위에 관하여 항쟁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의 의미 및 채무자가 이행의무의 존재 여부와 범위를 다투어 제1심에서 그 주장이 받아들여졌으나 항소심에서 배척된 경우,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제3조 제2항에 따라 항소심판결 선고 시까지는 같은 조 제1항에서 정한 지연손해금 이율의 적용이 배제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제3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1987. 5. 26. 선고 86다카1876 전원합의체 판결(공1987, 1058), 대법원 2005. 11. 25. 선고 2004다39092 판결(공2006상, 18), 대법원 2013. 4. 11. 선고 2012다106713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케이지케미칼 주식회사 외 1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지후 담당변호사 서용구) [피고, 상고인] 한라마이스터 유한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유한) 영진 담당변호사 노성환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3. 8. 23. 선고 2012나88138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의 피고 패소 부분 중 원고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읍시농산물유통에게 215,035,000원 및 그중 44,160,000원에 대하여는 2011. 8. 2.부터, 68,100,000원에 대하여는 2011. 8. 5.부터, 47,850,000원에 대하여는 2011. 8. 9.부터, 41,175,000원에 대하여는 2011. 8. 10.부터, 22,875,000원에 대하여는 2011. 8. 13.부터, 22,875,000원에 대하여는 2011. 8. 14.부터 각 2013. 8. 23.까지는 연 5%의, 그 다음 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연 20%의 각 비율로 계산한 돈을 초과하여 지급을 명한 부분을 파기하고, 그 부분에 해당하는 원고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읍시농산물유통의 항소를 기각한다. 피고의 원고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읍시농산물유통에 대한 나머지 상고와 원고 케이지케미칼 주식회사에 대한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원고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읍시농산물유통과 피고 사이의 소송총비용과 원고 케이지케미칼 주식회사에 대한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1. 상고이유에 관한 판단 가. 원고 케이지케미칼 주식회사(이하 ‘원고 케이지케미칼’이라 한다)에 대한 상고이유 주장에 관하여 원심판결 이유를 원심이 채택한 증거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원고 케이지케미칼은 2011. 8. 중순경 피고와 쌀 2,174포에 관한 양곡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이를 피고가 지시한 대로 주식회사 피앤제이벤쳐스에 납품하였다고 인정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고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는 등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없다. 나. 원고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정읍시농산물유통(이하 ‘원고 정읍유통’이라 한다)에 대한 상고이유 주장에 관하여 원심판결 이유를 원심이 채택한 증거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원고 정읍유통은 피고와 양곡공급계약을 체결하고 2011. 7. 22.부터 같은 해 8. 22.까지 합계 622,524,240원의 양곡을 공급하였는데, 피고는 그 대금 중 407,489,240원만을 지급하였으므로, 피고는 원고에게 나머지 대금 215,035,000원 및 그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고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는 등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없다. 2. 직권 판단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특례법’이라 한다) 제3조 제2항은 "채무자에게 그 이행의무가 있음을 선언하는 사실심판결이 선고되기 전까지 채무자가 그 이행의무의 존재 여부나 범위에 관하여 항쟁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타당한 범위에서 제1항을 적용하지 아니한다"고 규정함으로써 금전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액 산정의 기준이 되는 법정이율의 특례를 규정한 특례법 제3조 제1항의 적용을 배제할 수 있는 경우를 들고 있다. 특례법 제3조 제2항이 정한 ‘채무자가 그 이행의무의 존재 여부나 범위에 관하여 항쟁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라 함은 그 이행의무의 존재 여부나 범위에 관하여 항쟁하는 채무자의 주장에 타당한 근거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때를 가리키는 것이고, 채무자가 위와 같이 항쟁하는 것이 타당한 것인지의 여부는 해당 사건에 관한 법원의 사실인정과 평가에 관한 문제라고 할 것인데(대법원 1987. 5. 26. 선고 86다카1876 전원합의체 판결, 대법원 2005. 11. 25. 선고 2004다39092 판결 등 참조), 채무자가 이행의무의 존재 여부와 범위를 다투어 제1심에서 그 주장이 받아들여졌다면 비록 항소심에서 그 주장이 배척되더라도 그 주장은 타당한 근거가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경우에는 특례법 제3조 제2항에 따라 항소심판결 선고 시까지는 같은 조 제1항이 정한 지연손해금 이율을 적용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대법원 1998. 5. 8. 선고 97다50725 판결, 대법원 2013. 4. 11. 선고 2012다106713 판결 등 참조). 이 사건에서 제1심은 피고의 주장을 받아들여 원고 정읍유통의 청구를 모두 기각하였으나, 원심은 제1심의 결론을 뒤집어 원고 정읍유통의 양곡대금 215,035,000원 청구를 인용하였는바, 그 부분에 대한 피고의 주장이 제1심에서 받아들여진 이상 그 주장이 타당한 근거가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므로, 원심으로서는 원고 정읍유통의 청구를 위와 같이 인용하더라도 특례법 제3조 제2항에 의하여 원심판결 선고일까지는 같은 조 제1항이 정한 지연손해금 이율을 적용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원심이 피고에게 원고 정읍유통에 대하여 위 215,035,000원 및 그중 각 거래대금에 대하여 그 변제기 다음 날부터 이 사건 소장 부본 송달일인 2012. 2. 6.까지는 민법이 정한 연 5%의, 그 다음 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특례법이 정한 연 20%의 비율에 의한 지연손해금의 지급을 명한 것은 특례법 제3조 제1항, 제2항의 적용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라고 할 것이다. 3.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의 피고 패소 부분 중 원고 정읍유통에게 215,035,000원 및 그중 44,160,000원에 대하여는 2011. 8. 2.부터, 68,100,000원에 대하여는 2011. 8. 5.부터, 47,850,000원에 대하여는 2011. 8. 9.부터, 41,175,000원에 대하여는 2011. 8. 10.부터, 22,875,000원에 대하여는 2011. 8. 13.부터, 22,875,000원에 대하여는 2011. 8. 14.부터 각 원심판결 선고일인 2013. 8. 23.까지는 민법이 정한 연 5%의, 그 다음 날부터 다 갚는 날까지는 특례법이 정한 연 20%의 각 비율로 계산한 돈을 초과하여 지급을 명한 부분을 파기하되, 이 부분은 이 법원이 직접 재판하기에 충분하므로 민사소송법 제437조에 따라 자판하기로 하여, 위 파기 부분에 해당하는 원고 정읍유통의 항소를 기각하고, 피고의 원고 정읍유통에 대한 나머지 상고와 원고 케이지케미칼에 대한 상고를 모두 기각하며, 원고 정읍유통과 피고 사이의 소송총비용과 원고 케이지케미칼에 대한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덕(재판장) 신영철(주심) 이상훈 김소영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돈 빌려줬는데 갚으라는 소송에서 이자가 문제?! 지연손해금 이자율, 제대로 알고 청구하세요!

돈을 갚으라는 소송에서 채무자가 빚의 존재 자체나 금액에 대해 다투는 것이 타당한 경우, 1심에서 승소했더라도 2심에서 패소하면 1심 판결 선고 전까지는 높은 지연이자(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에서 정한 이율)를 받을 수 없다.

#지연이자#소송#1심 승소#2심 패소

민사판례

빚 갚으라는 판결 나왔는데, 이자는 언제부터 계산해야 할까요?

돈을 갚아야 할 의무가 있는 사람(채무자)이 갚아야 할 돈의 액수나 갚아야 할지 여부에 대해 다툴 만한 상당한 근거가 있다면, 법정 최고 이율(연 20% -> 현재는 연 12%)의 지연손해금이 아닌 일반 이율(연 5% -> 현재는 연 6%)의 지연손해금을 적용해야 한다.

#지연손해금#항쟁#상당한 근거#일반 이율

민사판례

돈 갚으라는 소송에서 1심 이겼다가 2심에서 졌을 때, 높은 이자(지연손해금)는 언제부터 내야 할까?

돈을 갚으라는 소송에서 채무자가 1심에서 이겼지만 2심에서 패소한 경우, 2심 판결이 나기 전까지는 높은 지연이자를 청구할 수 없다.

#지연손해금#1심 승소 후 2심 패소#이자 적용 시점#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민사판례

돈 빌려줬는데 갚지 않으면 언제부터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을까?

돈을 갚으라고 소송을 했을 때 붙는 이자(지연손해금) 계산은 복잡할 수 있습니다. 소송 과정에서 청구 금액이 늘어나거나, 채무자가 돈을 갚을 의무가 있는지 다투는 경우 이자가 붙는 시작 시점과 이율이 달라집니다. 이 판례는 소송 과정에서 청구 금액 확장과 채무자의 항변이 있을 경우 지연손해금 계산 방법을 명확히 제시합니다.

#지연손해금#소송#청구금액 확장#채무자 항변

민사판례

항소심에서 금액이 줄어들면 이자도 줄어들까? 지연손해금 계산은 어떻게?

항소심에서 피고의 항소가 일부 인정되어 배상액이 줄어든 경우, 1심 판결부터 항소심 판결까지 높은 이자율(소송촉진 특례법상 이율)이 아니라 낮은 이자율(민법상 이율)을 적용해야 할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피고가 금액에 대해 정당하게 다퉜다고 인정되면, 낮은 이자율을 적용하는 것이 맞습니다.

#지연손해금#이자율#항소심#감액

일반행정판례

땅 남았는데 왜 돈은 안 주지? 잔여지 손실보상금, 언제부터 이자 붙나요?

국토 개발 사업으로 땅의 일부가 수용될 때 남은 땅(잔여지)의 가치가 떨어지면 보상을 받을 수 있는데, 이 보상금(잔여지 손실보상금) 지급이 늦어질 경우 받는 지연손해금은 언제부터 계산해야 할까요? 대법원은 잔여지 소유자가 보상을 청구한 다음 날부터 계산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잔여지#손실보상금#지연손해금#청구일 다음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