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명도등

사건번호:

2013다80481

선고일자:

201402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임대차계약 종료 후 재계약을 하거나 임대차계약 종료 전 당사자의 합의로 차임 등을 증액하는 경우,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1조가 적용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1조 제1항에서 “차임 또는 보증금이 임차건물에 관한 조세, 공과금, 그 밖의 부담의 증감이나 경제사정의 변동으로 인하여 상당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에는 당사자는 장래의 차임 또는 보증금에 대하여 증감을 청구할 수 있다. 그러나 증액의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른 비율을 초과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제2항에서 “제1항에 따른 증액 청구는 임대차계약 또는 약정한 차임 등의 증액이 있은 후 1년 이내에는 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 규정은 임대차계약의 존속 중 당사자 일방이 약정한 차임 등의 증감을 청구한 경우에 한하여 적용되고, 임대차계약이 종료한 후 재계약을 하거나 임대차계약 종료 전이라도 당사자의 합의로 차임 등을 증액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참조조문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1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피고, 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비전인터내셔널 담당변호사 정재헌)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13. 9. 27. 선고 2012나5471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살펴본다. 1.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1조 제1항에서 “차임 또는 보증금이 임차건물에 관한 조세, 공과금, 그 밖의 부담의 증감이나 경제사정의 변동으로 인하여 상당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에는 당사자는 장래의 차임 또는 보증금에 대하여 증감을 청구할 수 있다. 그러나 증액의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른 비율을 초과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제2항에서 “제1항에 따른 증액 청구는 임대차계약 또는 약정한 차임 등의 증액이 있은 후 1년 이내에는 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 규정은 임대차계약의 존속 중 당사자 일방이 약정한 차임 등의 증감을 청구한 경우에 한하여 적용되고, 임대차계약이 종료한 후 재계약을 하거나 임대차계약 종료 전이라도 당사자의 합의로 차임 등을 증액하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2.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원고와 피고가 임대차계약을 다시 체결하면서 합의에 의하여 이 사건 차임을 증액한 이 사건에서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1조의 적용을 배제하고, 피고의 다음과 같은 주장, 즉 피고가 위 규정에서 정한 증액한도를 초과하여 차임을 지급하였으므로 차임 연체를 이유로 한 이 사건 임대차계약의 해지는 적법하지 않다는 주장을 배척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1조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보영(재판장) 민일영(주심) 이인복 김신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상가 임대료, 마음대로 올려도 된다고? 😱 계약서 꼼꼼히 확인하세요!

상가 임대료는 임대인과 임차인의 합의 시 법정 최고 인상률(5%)을 초과할 수 있으므로, 계약 전 계약서 내용과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상가 임대료#임대차 계약#법정 인상률(5%)#합의

상담사례

상가 임대차 재계약, 월세 마음대로 올려도 될까요? (feat. 상가임대차보호법)

상가 임대차 재계약 시에는 임대차보호법상 임대료 인상 제한(5%)이 적용되지 않아 임대인과 임차인이 자유롭게 임대료를 협의하여 정할 수 있다.

#상가임대차보호법#월세 인상#재계약#인상률 제한

상담사례

상가 재계약, 임대료 15% 인상?! 괜찮을까요? 🤔

상가 임대차 재계약 시 임대료 인상률 9% 제한은 적용되지 않으므로, 15% 인상 요구는 법적으로 문제없지만, 협상을 통해 합리적인 임대료를 결정해야 합니다.

#상가임대차#재계약#임대료 인상#9%룰

상담사례

50% 임대료 인상?! 너무 억울해요! 상가 임대료 인상, 어디까지 허용될까요?

상가 임대료는 상가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최대 9%까지만, 1년에 한 번만 인상 가능하며, 임차인은 최대 5년까지 계약 갱신을 요구할 수 있다.

#상가임대료#인상#상가임대차보호법#9%

민사판례

전세 계약 갱신, 월세 올릴 때 얼마까지 가능할까?

전세 또는 월세 계약이 끝나고 새로 계약(재계약)할 때는 임대료 증액 제한 규정(5% 제한)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임대료 증액 제한#재계약#5% 제한#주택임대차보호법 제7조

상담사례

권리금과 임대료: 새 임차인과 얼마나 올릴 수 있을까?

새 임차인과의 임대료는 이전 계약과 무관하게 주변 시세 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새롭게 협의하여 결정해야 한다.

#권리금#임대료#새 임차인#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