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법위반

사건번호:

2013도2630

선고일자:

201306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이미 용도변경된 건물의 승계인이 변경된 용도로 계속 사용하는 행위가 건축법상 용도변경행위에 포함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건축법(2013. 3. 23. 법률 제1169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9조 제2항 제2호, 건축법 제108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2. 9. 22. 선고 92도1647 판결(공1992, 3042), 대법원 2001. 9. 25. 선고 2001도3990 판결(공2001하, 2397), 대법원 2005. 9. 29. 선고 2005도4592 판결(공2005하, 1744)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김현수 【원심판결】 수원지법 2013. 2. 7. 선고 2012노492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경과한 후에 제출된 피고인의 탄원서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건축법상의 용도변경행위에는 유형적으로 건축물의 용도를 변경하는 행위뿐만 아니라 이미 용도변경된 건물의 승계인이 그 변경된 용도로 계속 사용하는 행위까지 포함된다(대법원 1992. 9. 22. 선고 92도1647 판결, 대법원 2005. 9. 29. 선고 2005도4592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를 위 법리와 원심이 유지한 제1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들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칙에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건축법 제108조, 제19조의 ‘용도변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상훈(재판장) 신영철 김용덕 김소영(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건물 용도변경과 관련된 법률 이야기

무허가로 대학교 부설 사회복지대학을 설립하고 건물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한 행위에 대해, 단순히 법을 몰랐다는 주장만으로는 처벌을 피할 수 없다는 판결.

#무허가 대학설립#건물 용도변경#법률 무지#처벌

형사판례

건물 용도변경, 한 번 걸렸다고 끝이 아닙니다!

건물을 허가 없이 용도 변경한 뒤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은 최초의 용도변경 행위와는 별개의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이전에 용도변경 자체로 처벌받았더라도, 그 이후에도 계속해서 불법 용도로 사용한다면 추가 처벌이 가능합니다.

#무허가 건물 용도변경#계속 사용#별개 위반#계속범

형사판례

건물 용도변경, 뭘까요? 처벌과 공소시효에 대한 법원 이야기

건축물의 무단 용도변경은 계속되는 범죄이므로 공소시효가 진행되지 않지만, 관련 법률 개정 및 위헌 결정으로 시기별로 적용 법률과 유무죄 판단을 달리해야 한다.

#건축물#무단 용도변경#공소시효#계속범

형사판례

건물 용도 변경, 생각보다 훨씬 넓은 범위! 무허가 용도변경, 처벌받을 수 있어요!

건물의 사용 목적을 바꾸는 것도 건축법상 '용도변경'으로 보고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단순히 건물 구조를 바꾸는 것뿐 아니라,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는지가 중요합니다. 이전 소유자가 무허가로 용도를 바꾼 건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건축물 용도변경#허가#건축법 위반#무단 용도변경

일반행정판례

건물 용도 바꿨는데, 신고 안 하면 불법일까요? 🏢

건물 용도를 바꿨는데, 법이 바뀌기 전에는 신고 대상이 아니었지만 건축물대장 변경 신청 대상이었음. 소유자가 이를 하지 않았는데 법이 바뀌어 신고 대상이 되었고, 이에 따라 시정명령과 이행강제금이 부과되었는데, 이는 적법함.

#건축물 용도변경#미신고#이행강제금#적법

형사판례

건물 용도변경, 꼭 고쳐야만 하는 건 아니에요!

건물의 용도를 허가 없이 바꿔 사용하는 것은 실제 건물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았더라도 위법입니다.

#건물 용도변경#무허가 사용#위법#건축법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