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법위반 이의 결정에 대한 즉시 항고

사건번호:

2013마499

선고일자:

20130614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상법 제635조 제1항 제8호에서 정한 과태료 부과 사유가 있는 경우, 법원이 법무부장관의 과태료 처분 이전에 직권으로 과태료 재판을 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상법 제635조 제1항 제8호, 제637조의2

참조판례

판례내용

【위반자, 재항고인】 【원심결정】 서울서부지법 2013. 3. 18.자 2010라239 결정 【주 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서부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판단한다. 상법 제635조 제1항 제8호는 ‘법률 또는 정관에서 정한 이사 또는 감사의 인원수를 궐(闕)한 경우에 그 선임절차를 게을리한 경우’에는 그 선임을 위한 총회소집절차를 밟아야 할 지위에 있는 자에게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제637조의2는 위 규정에 따른 과태료는 법무부장관이 부과·징수하고(제1항), 그 과태료 처분에 불복하는 자가 이의를 제기한 때에는 법무부장관은 그 사실을 관할 법원에 통보하여야 하며, 그 통보를 받은 관할 법원은 비송사건절차법에 따른 과태료 재판을 하도록(제2항, 제3항) 규정하고 있다. 위 각 규정에 의하면, 상법 제635조 제1항 제8호가 정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과태료를 부과할 권한은 본래 법무부장관에게 있으므로, 법원은 법무부장관의 과태료 처분 이전에 상법 제635조 제1항 제8호가 정한 사유가 있음을 알게 된다고 하더라도 직권으로 과태료 재판을 할 수는 없고, 법무부장관의 과태료 처분 이후에 그 처분에 대한 이의가 제기되어야 과태료 재판을 할 수 있게 된다. 원심결정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서울중앙지방법원 상업등기소 등기관은 재항고인이 이사·감사의 퇴임등기를 게을리하여 상법 제635조 제1항 제1호가 정한 과태료 부과 사유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면서 이를 서울서부지방법원에 통지한 사실, 위 법원은 2009. 3. 13. 이사·감사의 퇴임등기를 게을리하였다는 이유로 상법 제635조 제1항 제1호를 적용하여 재항고인을 과태료 400만 원에 처하는 결정을 한 사실, 이에 대하여 재항고인이 이의신청을 하자, 제1심법원은 심문을 거친 후 등기관의 통지 내용을 토대로 하여 재항고인이 이사·감사의 선임절차를 게을리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이유로 상법 제635조 제1항 제8호를 적용하여 재항고인을 과태료 300만 원에 처하는 결정을 한 사실, 이에 대하여 재항고인이 즉시항고를 하자 원심법원은 상법 제635조 제1항 제8호에 의하여 재항고인을 과태료에 처한 것은 정당하다는 이유로 항고를 기각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위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건대, 제1심법원은 등기관의 통지 내용을 토대로 하여 재항고인이 이사·감사의 선임절차를 게을리한 사실을 알게 되자 법무부장관의 과태료 처분이 있기도 전에 직권으로 상법 제635조 제1항 제8호를 적용하여 과태료 재판을 하였으므로, 그 과태료 재판은 위법하다. 그럼에도 원심은 상법 제635조 제1항 제8호를 적용하여 재항고인을 과태료에 처한 제1심결정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니, 이러한 원심결정에는 과태료 부과의 권한 및 절차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재판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그러므로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김용덕(재판장) 신영철(주심) 이상훈 김소영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이사/대표이사 퇴임과 등기, 그리고 과태료에 대한 오해와 진실

이사나 대표이사가 퇴임했지만, 정관에서 정한 최소 인원을 채우지 못하는 경우, 퇴임한 사람은 후임자가 올 때까지 직무를 계속 수행해야 하며, 이 기간 동안의 등기와 과태료 부과는 특수한 규칙을 따릅니다.

#이사 퇴임#대표이사 퇴임#등기#과태료

민사판례

회사 지점 등기 해태 과태료, 어떻게 부과될까? 대표이사 변경등기 꼭 기억하세요!

회사의 지점 등기 해태에 대한 과태료는 본점과 지점 각각 부과되며, 대표자가 변경된 경우 이전 대표자는 자신이 재임했던 기간 동안의 등기 해태에 대해서만 책임을 진다.

#지점등기#과태료#본점#지점

생활법률

과태료 재판, 억울하다면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억울한 과태료 처분에 대해 이의제기부터 항고까지, 과태료 재판의 절차, 관할, 대리인 선임, 법관 제척·기피·회피, 비용 부담 등을 혼자서도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

#과태료#재판#이의제기#절차

민사판례

사전처분 위반 과태료 재판, 누가 항고할 수 있을까요?

법원이 사전처분(이혼 소송 중 양육비 지급 등과 같은 임시적인 처분) 위반에 대해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기로 결정했을 때, 과태료 부과를 신청했던 사람도 즉시항고를 할 수 있다.

#사전처분#과태료#즉시항고#권리자

생활법률

직원 잘못, 사장님도 책임져야 할까요? 법인 & 고용주 과태료에 대한 쉬운 설명!

회사 차량의 교통 위반 과태료는 직원의 업무 중 위반이면 회사가, 운전자가 불명확하면 고용주 등이 부담하며, 고의나 과실 여부와 관계없이 부과된다.

#회사차량#직원#교통위반#과태료

민사판례

긴급이행명령 위반 과태료, 어느 법원이 담당할까?

노동조합 관련 분쟁에서 법원이 내린 긴급이행명령을 어기면 과태료를 물게 되는데, 이 과태료 재판은 원래 행정소송을 맡았던 법원에서만 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긴급이행명령#과태료#재판관할#행정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