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금반환청구

사건번호:

2014다229016

선고일자:

20141222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명령

판시사항

판결 선고 후 판결문을 전자문서로 전산정보처리시스템에 등재하고 그 사실을 전자적으로 통지하였는데 등록사용자가 판결문을 1주 이내에 확인하지 아니한 경우, 판결문 송달의 효력이 발생하는 시기 및 상소기간

판결요지

판결 선고 후 판결문을 전자문서로 전산정보처리시스템에 등재하고 그 사실을 전자적으로 통지하였지만 등록사용자가 판결문을 1주 이내에 확인하지 아니한 경우 판결문 송달의 효력이 발생하는 시기는 등재사실을 등록사용자에게 통지한 날의 다음 날부터 기산하여 7일이 지난 날의 오전 영시가 되고, 상소기간은 민법 제157조 단서에 따라 송달의 효력이 발생한 당일부터 초일을 산입해 기산하여 2주가 되는 날에 만료한다.

참조조문

민사소송 등에서의 전자문서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제11조 제3항, 제4항, 민법 제157조, 민사소송법 제170조, 제396조, 제425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주식회사 벤트코리아의 소송수계인 회생채무자 주식회사 벤트코리아의 관리인 【피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하나자산신탁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4. 9. 23. 선고 2014나2009234 판결 【주 문】 상고장을 각하한다. 【이 유】 1. ‘민사소송 등에서의 전자문서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제11조는 전자적 송달은 법원사무관 등이 송달할 전자문서를 전산정보처리시스템에 등재하고 그 사실을 송달받을 자에게 전자적으로 통지하는 방법으로 하며(제3항), 이 경우 송달받을 자가 등재된 전자문서를 확인한 때에 송달된 것으로 보되, 그 등재사실을 통지한 날부터 1주 이내에 확인하지 아니한 때에는 등재사실을 통지한 날부터 1주가 지난 날에 송달된 것으로 본다(제4항)고 규정하고, 민법 제157조는 기간을 일, 주, 월 또는 연으로 정한 때에는 기간의 초일은 산입하지 아니하되, 그 기간이 오전 영시로부터 시작하는 때에는 초일을 산입한다고 규정하며, 민사소송법 제170조는 기간의 계산은 민법에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판결 선고 후 판결문을 전자문서로 전산정보처리시스템에 등재하고 그 사실을 전자적으로 통지하였지만 등록사용자가 판결문을 1주 이내에 확인하지 아니한 경우 판결문 송달의 효력이 발생하는 시기는 등재사실을 등록사용자에게 통지한 날의 다음 날부터 기산하여 7일이 지난 날의 오전 영시가 되고, 상소기간은 민법 제157조 단서에 따라 송달의 효력이 발생한 당일부터 초일을 산입해 기산하여 2주가 되는 날에 만료한다. 2. 기록에 의하면, 전자소송으로 진행된 이 사건 원심판결문의 전산정보처리시스템 등재사실이 2014. 9. 24. 전자우편과 휴대전화번호로 상고인에게 통지되었으나, 그로부터 1주 이내에 상고인이 판결문을 확인하지 않은 사실, 상고인은 2014. 10. 16.이 되어서야 상고장을 원심법원에 제출한 사실을 알 수 있는바, 원심판결문의 상고인에 대한 송달 효력이 발생한 시기는 전자우편 등으로 등재사실이 통지된 날의 다음 날부터 기산하여 7일이 지난 2014. 10. 2.의 오전 영시가 되고, 상고기간은 2014. 10. 2. 당일부터 기산하여 14일이 되는 2014. 10. 15. 만료하므로, 2014. 10. 16. 제출된 이 사건 상고장은 상고기간을 도과한 것으로서 그 흠결을 보정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민사소송법 제425조, 제402조 제2항에 의하여 이 사건 상고장을 각하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명령한다. 대법관 민일영(재판장)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전자소송, 판결문 확인 안 했는데 상소기간 지났다고요?! 😱

전자소송에서 판결문을 직접 확인하지 않았더라도, 법원의 등록 통지 다음 날부터 7일 후 송달 효력이 발생하여 상소기간(보통 2주)이 시작되므로, 판결문 등록 알림을 받으면 즉시 확인해야 권리 행사에 차질이 없다.

#전자소송#판결문#송달#상소기간

민사판례

회사 직원이 소송 서류 받았다면? 송달 효력 발생 시점과 상소기간 도과 책임

법원이 소송 서류를 회사 직원에게 전달하면, 그 시점에 송달 효력이 발생합니다. 본인이 직접 서류를 받지 못했거나 소송 진행 상황을 몰랐더라도 기간 내 상소하지 않으면 책임을 져야 합니다.

#송달#회사직원#효력발생#상소기간

상담사례

전자소송, 문자 못 받았다고 보정명령 못 본 건 아니죠! 📱❌

전자소송에서 이메일 또는 휴대전화 번호 중 하나로든 전자문서 등재 통지가 도착하면 유효하므로, 문자 미수신을 이유로 보정명령 등을 못 봤다고 주장할 수 없고, 전자소송 시스템을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

#전자소송#전자문서#보정명령#송달

민사판례

소송 서류 못 받았는데 항소기간 지났다고? 억울한 사연!

회사가 재판 결과를 모르고 있다가 나중에 알게 되었더라도, 법원에서 보낸 판결문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면 항소 기간은 지나지 않은 것으로 본다는 대법원 판결.

#판결문 송달#항소기간#추완항소#대법원

민사판례

소장과 판결문 못 받았다면? 추완항소 가능할까?

소장이나 판결문을 법원이 공시송달(법원 게시판 등에 게시하는 방법)한 경우, 당사자가 본인의 잘못 없이 판결 사실을 몰랐다면 나중에라도 항소할 수 있다.

#공시송달#추완항소#판결확인시점

민사판례

판결문 못 받았는데 항소기간 지났다고요? 억울합니다!

법원 판결문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면, 항소 기간은 시작되지 않고 판결도 확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나중에 판결문을 받고 항소하더라도 유효합니다.

#판결문#송달#항소기간#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