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2014두36235
선고일자:
2016081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분할신설법인이 분할등기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종료일 이전에 분할법인으로부터 승계한 사업용 고정자산가액의 2분의 1 이상을 처분하거나 승계한 사업에 ‘직접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구 조세특례제한법 제119조, 제120조에 의하여 등록세 및 취득세가 면제되는지 여부(소극) 및 이때 ‘직접 사용’의 범위를 판단하는 기준
구 조세특례제한법(2010. 1. 1. 법률 제992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조특법’이라 한다) 제119조 제1항 제10호, 제120조 제1항 제9호, 구 법인세법(2009. 12. 31. 법률 제989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6조 제1항 제3호, 제4항, 구 법인세법 시행령(2010. 6. 8. 대통령령 제2218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0조 제3항 전단, 제82조 제4항의 문언 내용과 체계 등에 비추어 보면, 분할신설법인이 분할등기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종료일 이전에 분할법인으로부터 승계한 사업용 고정자산가액의 2분의 1 이상을 처분하거나 승계한 사업에 ‘직접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승계받은 사업을 계속 영위한 것으로 볼 수 없으므로 구 조특법 제119조 및 제120조에 의하여 등록세 및 취득세가 면제되지 아니하고, 이때 ‘직접 사용’의 범위는 사업의 내용을 고려하여 실제의 사용관계를 기준으로 객관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구 조세특례제한법(2010. 1. 1. 법률 제992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19조 제1항 제10호(현행 삭제), 제120조 제1항 제9호(현행 지방세특례제한법 제57조의2 제3항 제2호 참조), 구 법인세법(2009. 12. 31. 법률 제989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4조 제1항 제3호(현행 제44조 제2항 제3호 참조), 제46조 제1항 제3호(현행 제46조 제2항 제3호 참조), 제4항(현행 제46조 제3항 참조), 구 법인세법 시행령(2010. 6. 8. 대통령령 제2218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0조 제3항(현행 제80조의2 제6항 참조), 제82조 제4항(현행 제82조의2 제9항 참조)
【원고, 상고인】 주식회사 지사환경 【피고, 피상고인】 부산광역시 강서구청장 【원심판결】 부산고법 2014. 3. 26. 선고 2013누2032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구 조세특례제한법(2010. 1. 1. 법률 제992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조특법’이라 한다) 제119조 제1항 제10호 및 제120조 제1항 제9호는 ‘법인세법 제46조 제1항 각 호의 요건을 갖춘 분할’로 인하여 취득하는 재산의 등기에 대한 등록세 및 그 취득에 대한 취득세를 각 면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구 법인세법(2009. 12. 31. 법률 제989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46조 제1항은 제3호에서 ‘분할신설법인이 분할등기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종료일까지 분할법인으로부터 승계받은 사업을 계속 영위할 것’을 요건 중 하나로 규정하고 있고, 같은 조 제4항은 위 제1항의 규정을 적용할 때 승계받은 사업의 계속 또는 폐지에 관한 판정기준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 위임을 받은 구 법인세법 시행령(2010. 6. 8. 대통령령 제2218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82조 제4항은 분할신설법인의 사업의 계속 또는 폐지의 판정 등에 관하여 합병에 대한 제80조 제3항 및 제6항을 준용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합병에 대하여 구 법인세법 제46조 제1항 제3호와 동일한 취지로 규정하고 있는 제44조 제1항 제3호에 관하여 구 법인세법 시행령 제80조 제3항 전단은 ‘합병법인이 합병등기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종료일 이전에 피합병법인으로부터 승계한 사업용 고정자산가액의 2분의 1 이상을 처분하거나 승계한 해당 사업에 직접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이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들 규정의 문언 내용과 체계 등에 비추어 보면, 분할신설법인이 분할등기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종료일 이전에 분할법인으로부터 승계한 사업용 고정자산가액의 2분의 1 이상을 처분하거나 승계한 해당 사업에 ‘직접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승계받은 사업을 계속 영위한 것으로 볼 수 없으므로 구 조특법 제119조 및 제120조에 의하여 등록세 및 취득세가 면제되지 아니한다고 할 것이고, 이때 ‘직접 사용’의 범위는 해당 사업의 내용을 고려하여 그 실제의 사용관계를 기준으로 객관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2. 원심은 그 채택 증거에 의하여, 원고가 2009. 3. 31. 주식회사 화원(이하 ‘화원’이라 한다)의 사업부문 중 폐기물최종처리사업부문 등을 분할하여 설립된 법인인 사실, 화원 소유였던 부산 강서구 (주소 생략) 잡종지 23,801.4㎡(이하 ‘이 사건 토지’라 한다)에 관하여 2009. 4. 30.에 2009. 3. 31. 회사분할을 원인으로 한 원고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사실 등을 인정하였다. 그런 다음 원심은, 분할신설법인인 원고가 분할법인인 화원으로부터 폐기물처리사업 등을 승계한 이후 분할등기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종료일인 2009. 12. 31.에 이르기까지 주식회사 삼영기술과 이 사건 토지에 관한 토목설계 및 실시계획인가에 관한 용역계약을 체결하고, 해당 관청에 폐기물처리시설 사업시행자 지정 및 실시계획인가신청서만 제출하였을 뿐인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원고가 2009. 12. 31.까지 이 사건 토지를 폐기물처리사업에 직접 사용하였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구 조특법 제119조 및 제120조에서 정한 감면사유가 존재하지 아니한다고 보아 등록세 및 취득세 등을 부과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하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규정과 법리에 비추어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구 조특법 제119조 및 제120조의 등록세 및 취득세 감면요건인 ‘직접 사용’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덕(재판장) 이인복 김소영 이기택(주심)
세무판례
회사가 사업의 일부를 자회사로 분할(물적분할)할 때, 특정 요건을 충족하면 취득세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이 판례는 그 요건을 명확히 하고, 실제 사업 운영과 관계없이 형식적인 요건만 갖춘 경우에는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없음을 보여줍니다.
세무판례
회사 분할 후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은 회사가 분할받은 사업을 폐지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때, 지배목적으로 보유하는 주식의 가치도 고려해야 하며, 사업 폐지 여부는 분할받은 사업 전체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세무판례
회사가 분할 후 바로 다른 회사에 합병되어도, 분할된 사업이 계속 운영되면 세금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세무판례
회사가 업무용 토지를 팔고 다른 자산을 취득할 때 특별부가세를 면제받으려면, 원래는 양도와 취득 시점 모두에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했지만, 이 판례에서는 **대체취득자산을 먼저 취득한 경우에는 양도 시점에만 서류를 제출해도 된다**고 판결했습니다.
세무판례
회사가 사업의 일부를 분리하여 자회사를 설립하는 물적분할 시, 특정 요건을 충족하면 세금 납부를 미룰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토지의 가치를 높이는 자본적 지출 관련 부가가치세는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일반행정판례
하나의 회사가 여러 사업을 운영하다가 일부 사업 부문을 분할하여 새로운 회사를 설립한 경우, 분할 전 회사에 적용되던 산재보험료 할인율(개별실적요율)을 새 회사도 이어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법원은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승계가 가능하다고 판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