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2014두5613

선고일자:

201503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법인세법 제57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외국법인세액 공제한도를 계산할 때 ‘국외원천소득금액’의 산정 방법(=국외에 원천을 둔 익금 총액에서 관련된 손금 총액을 공제) 및 내국법인이 국외원천소득이 발생한 원천지국에 고정사업장을 두지 아니하여 국외원천소득에 대하여 수입금액에 일정한 원천징수세율을 곱하여 산출된 법인세를 부담하였던 경우에도 마찬가지인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법인세법(2010. 12. 30. 법률 제1042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4조 제1항, 제57조 제1항 제1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겸 피상고인】 케이비에스미디어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광장 담당변호사 손병준 외 2인) 【피고, 피상고인 겸 상고인】 마포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4. 2. 19. 선고 2012누32996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각자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원고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구 법인세법(2010. 12. 30. 법률 제1042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57조 제1항 제1호는 내국법인의 각 사업연도의 과세표준에 국외원천소득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국외원천소득에 대하여 납부하였거나 납부할 외국법인세액(이하 ‘외국법인세액’이라고 한다)이 있는 때에는 해당 사업연도의 법인세액에 국외원천소득이 해당 사업연도의 과세표준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곱하여 산출한 금액을 한도로 외국법인세액을 해당 사업연도의 법인세액에서 공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구 법인세법 제57조 제1항 제1호는 국제적인 이중과세를 조정하기 위하여 외국법인세액을 해당 사업연도의 법인세액에서 공제할 수 있도록 하면서, 그 공제한도를 ‘해당 사업연도의 법인세액에 국외원천소득이 해당 사업연도의 과세표준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곱하여 산출한 금액’으로 정하여, 국외원천소득에 대하여 우리나라에 납부하여야 할 법인세액의 범위 내에서만 외국법인세액의 공제를 허용하고 있다. 이는 국외원천소득이 발생한 원천지국에서 우리나라보다 높은 법인세율을 규정하고 있는 경우 그에 따른 외국법인세액을 전부 공제할 수 있도록 허용하게 되면 국내원천소득에 대하여 납부하여야 할 법인세의 일부로 외국법인세액을 납부하도록 하는 결과가 되므로 이를 막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 법인세법 제57조 제1항 제1호의 문언 내용과 취지, 구 법인세법 제14조 제1항이 내국법인의 각 사업연도의 소득은 그 원천이 국내인지 아니면 국외인지를 묻지 않고 그 사업연도에 속하는 익금의 총액에서 그 사업연도에 속하는 손금의 총액을 공제한 금액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구 법인세법 제57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외국법인세액 공제한도를 계산할 때 ‘국외원천소득금액’은 내국법인의 해당 사업연도에 속하는 국외에 원천을 둔 익금 총액에서 그와 관련된 손금 총액을 공제하여 산정하여야 하고, 이는 내국법인이 국외원천소득이 발생한 원천지국에 고정사업장을 두지 아니하여 그 국외원천소득에 대하여 수입금액에 일정한 원천징수세율을 곱하여 산출된 법인세를 부담하였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국외 고정사업장을 두지 아니한 원고가 외국방송사에 방송프로그램을 판매하여 얻은 이 사건 국외원천소득에 대하여 외국에서 그 수입금액에 일정한 원천징수세율을 곱하여 산출된 법인세를 부담하였다고 하더라도, 구 법인세법 제57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외국법인세액 공제한도를 계산할 때는 그 수입금액에서 그와 관련된 경비를 공제하여 국외원천소득금액을 산정하여야 한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다. 거기에는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구 법인세법 제57조 제1항 제1호에서 정한 외국법인세액 공제제도와 그 공제한도 또는 국외원천소득금액의 계산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2. 피고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사건 사업의 경우 원고의 국내원천소득과 국외원천소득에 공통되는 경비인 관리부문의 일반관리비(이하 ‘공통경비’라고 한다)는 그 발생원인이 각 사업부문별 인건비와 합리적 관련성이 있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배분함이 타당하다고 보아, 이와 달리 피고가 저작권 사용료가 포함된 각 사업부문별 총제조원가를 기준으로 공통경비를 배분하여 한 이 사건 처분은 각 사업부문별 인건비를 기준으로 공통경비를 배분하여 산정한 정당한 세액을 초과하는 범위에서 위법하다고 판단하였다.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고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국내외 공통경비의 합리적 배분기준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각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상훈(재판장) 김창석 조희대(주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해외 소득에 대한 세금, 제대로 계산하고 있나요? (외국납부세액공제 한도 계산)

해외에서 번 돈에 대한 세금을 국내에서 공제받을 때, 해외 소득에서 관련 비용을 뺀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는 판결. 해외에서 세금을 원천징수 당했더라도 마찬가지다.

#해외소득#세금공제#순수익#비용차감

세무판례

방송사 세금, 어디까지 공제받을 수 있을까?

문화방송(MBC)이 세무서와 여러 세금 문제로 다툰 사건으로, 해외 지사의 세금 계산 방식, 위성방송 사업 투자 실패 관련 비용 처리, 협찬과 관련된 부가가치세, 방송 프로그램 저작권료, 외국 방송사 뉴스 수신료 등이 쟁점이 되었습니다. 대법원은 일부 MBC의 주장을 인정하고 일부는 세무서의 주장을 인정하여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파기환송했습니다.

#MBC#세금#분쟁#해외지사

세무판례

해외 항공사, 한국에서 세금 얼마나 내야 할까? - 항공기 리스와 국내원천소득 계산

리스로 항공기를 운용하는 외국 항공사의 국내에서 발생한 소득을 계산할 때, 리스 항공기도 회사가 소유한 자산처럼 취급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즉, 10년 이상의 장기리스 항공기는 마치 회사 소유 항공기처럼 감가상각을 고려하여 세금을 계산해야 합니다.

#국제항공운송#외국법인#국내원천소득#장기리스

세무판례

국제운송업 외국법인의 국내원천소득과 증명책임에 관하여

국내사업장을 가진 외국법인이 국제운송업을 할 때, 국내에서 발생한 소득만 과세대상이고, 과세 근거와 범위는 과세관청이 입증해야 한다는 판결.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 여부는 외국법인이 입증해야 하지만, 영세율 과세표준은 과세관청이 입증해야 한다.

#국제운송#외국법인#국내원천소득#증명책임

세무판례

외국계 기업 지점의 세금,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외국 법인의 한국 지점이 본점에 내는 경비는 어떻게 세금 계산에 반영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본점 경비, 환율 적용, 업무 관련성 없는 대출, 그리고 회계 처리 변경에 대한 세금 계산 방법을 다룹니다.

#외국법인지점#세금계산#본점경비#환율

세무판례

조세피난처에 있는 내 회사, 세금은 어떻게 계산될까? (feat. 배당 가능 유보소득)

조세피난처에 있는 외국법인의 배당 가능한 유보소득을 계산할 때는, 원칙적으로 그 나라의 회계기준을 따라야 하며, 그 나라 회계기준이 우리나라 기준과 매우 다를 때만 우리나라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회계기준 차이가 크다는 것을 주장하는 쪽이 입증 책임을 진다.

#조세피난처#외국법인#배당가능 유보소득#해당국가 회계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