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허위세금계산서교부등)·횡령

사건번호:

2014오2

선고일자:

201412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피고인이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허위세금계산서교부등)으로 기소되었는데, 원심이 벌금 24억 원을 병과하면서 800만 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노역장유치를 명한 사안에서, 2014. 5. 14. 법률 제12575호로 개정된 형법 시행 후에 공소가 제기되었으므로 개정 형법 제70조 제2항에 따라 500일 이상의 유치기간을 정하였어야 함에도, 300일의 유치기간만을 정한 것은 심판이 법령에 위반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법 제70조 제1항, 제2항, 부칙(2014. 5. 14.) 제1조, 제2조 제1항,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8조의2 제1항 제1호, 제2항, 조세범 처벌법 제10조 제3항, 형사소송법 제441조, 제446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비상상고인】 검찰총장 【원 판 결】 대구지법 서부지원 2014. 8. 7. 선고 2014고합64, 83 판결 【주 문】 원판결 중 노역장유치에 관한 부분을 파기한다. 【이 유】 비상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형법이 2014. 5. 14. 법률 제12575호로 개정되면서 “선고하는 벌금이 1억 원 이상 5억 원 미만인 경우에는 300일 이상, 5억 원 이상 50억 원 미만인 경우에는 500일 이상, 50억 원 이상인 경우에는 1,000일 이상의 유치기간을 정하여야 한다.”고 규정한 제70조 제2항이 신설되었다. 그리고 그 부칙 제1조는 개정된 형법을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고 규정하고, 제2조 제1항은 “제70조 제2항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후 최초로 공소가 제기되는 경우부터 적용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은 2014. 5. 28. 원심에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으로 인한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위반(허위세금계산서교부등)죄로 공소가 제기되고 피고인에 대하여 2013. 10. 30. 대구지방법원 2013고단6020호로 공소가 제기되었던 횡령 사건이 병합된 다음, 원심이 2014. 8. 7. 피고인에 대하여 징역 2년을 선고하고「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위반(허위세금계산서교부등)의 점에 대하여 벌금 24억 원을 병과하면서 피고인이 벌금을 납입하지 아니하는 경우 800만 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 피고인을 노역장에 유치할 것을 명한 사실, 피고인은 2014. 8. 12. 원판결에 대하여 항소하였으나 2014. 8. 29. 항소를 취하함으로써 원판결이 그대로 확정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관계에 의하면「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위반(허위세금계산서교부등)의 점은 개정된 형법이 시행된 후에 공소가 제기되었으므로, 원심이 그에 대하여 벌금 24억 원을 병과하는 경우에는 벌금이 5억 원 이상 50억 원 미만에 해당하기 때문에 개정된 형법 제70조 제2항에 따라 500일 이상의 유치기간을 정하였어야 한다. 그럼에도 원심이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위반(허위세금계산서교부등)의 점에 대하여 벌금 24억 원을 병과하면서 800만 원을 1일로 환산한 기간을 유치기간으로 정함으로써 피고인에 대하여 300일의 유치기간만을 정한 것은 심판이 법령에 위반한 경우에 해당한다. 이 점을 지적하는 비상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판결 중 노역장유치에 관한 부분을 파기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희대(재판장) 신영철 이상훈(주심) 김창석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벌금 못 내면 감옥 가는 기간, 헌법재판소가 바꿨습니다!

벌금을 내지 않을 경우 노역장에 유치되는 기간의 하한을 정한 법 조항이 위헌 결정된 후, 해당 조항이 적용된 이전 판결이 파기되어 다시 재판을 받게 된 사례입니다.

#벌금미납#노역장유치#위헌#형벌불소급원칙

형사판례

벌금 미납 시 노역장 유치 기간은 최대 3년!

벌금을 내지 않을 경우 법원은 노역장에 유치할 수 있는데, 이 유치기간은 최대 3년을 넘길 수 없습니다. 이 판례는 벌금 미납 시 3년을 초과하는 유치기간을 선고한 원심 판결을 파기한 사례입니다.

#벌금#미납#유치기간#3년

형사판례

벌금 대신 노역장에 간 기간, 형량에서 빼주나요?

벌금을 못 내서 노역장에 유치된 기간은 미결구금일수로 인정되지 않아 형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벌금형#노역장#미결구금일수#형집행

형사판례

벌금 못 내면 노역장 가야 하나요? 압류해도 돈이 없으면요?

벌금을 내지 못해 압류를 했지만 돈이 없어 집행이 안 된 경우에도, 벌금 시효는 중단되고 노역장에 유치될 수 있다. 또한, 노역장 유치가 끝난 후에는 이의신청을 할 수 없다.

#벌금#압류#미납#노역장

형사판례

징역형 감소 시 벌금형 환형유치기간 증가는 불이익한 변경 아니다

징역형이 줄어든 경우, 벌금과 그에 따른 환형유치 기간이 늘어나더라도 전체적으로 형벌이 무거워진 것은 아니라는 판결.

#징역형 감형#벌금형 유지#환형유치기간 증가#불이익 변경 아님

형사판례

세금계산서와 관련된 형사 사건, 쟁점은 무엇이었을까?

이 판례는 무거래 세금계산서 교부죄의 공소사실 특정 요건과 항소심에서 벌금형이 감경되었을 때 노역장 유치기간이 늘어나도 불이익 변경이 아님을 설명합니다. 또한 벌금형에 대한 노역장 유치기간이 선택형인 징역형의 장기보다 길어도 위법이 아님을 판시합니다.

#무거래 세금계산서 교부죄#공소사실 특정#불이익변경금지원칙#벌금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