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성년자약취

사건번호:

2015도10032

선고일자:

201712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미성년자약취죄의 구성요건 중 ‘약취’의 의미와 판단 기준 [2] 미성년자를 보호·감독하는 사람이 해당 미성년자에 대한 약취죄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 여부(한정 적극) / 부모가 이혼하였거나 별거하는 상황에서 미성년의 자녀를 부모의 일방이 평온하게 보호·양육하고 있는데, 상대방 부모가 폭행, 협박 또는 불법적인 사실상의 힘을 행사하여 그 보호·양육 상태를 깨뜨리고 자녀를 탈취하여 자기 또는 제3자의 사실상 지배하에 옮긴 행위가 미성년자에 대한 약취죄를 구성하는지 여부(원칙적 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287조 / [2] 형법 제287조

참조판례

[1][2] 대법원 2013. 6. 20. 선고 2010도14328 전원합의체 판결(공2013하, 1399) / [1] 대법원 2009. 7. 9. 선고 2009도3816 판결 / [2] 대법원 2008. 1. 31. 선고 2007도8011 판결(공2008상, 341)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법무법인 케이씨엘 담당변호사 김용직 【원심판결】 부산지법 2015. 6. 18. 선고 2014노57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형법 제287조의 미성년자약취죄의 구성요건요소로서 약취란 폭행, 협박 또는 불법적인 사실상의 힘을 수단으로 사용하여 피해자를 그 의사에 반하여 자유로운 생활관계 또는 보호관계로부터 이탈시켜 자기 또는 제3자의 사실상 지배하에 옮기는 행위를 의미하고, 구체적 사건에서 어떤 행위가 약취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행위의 목적과 의도, 행위 당시의 정황, 행위의 태양과 종류, 수단과 방법, 피해자의 상태 등 관련 사정을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09. 7. 9. 선고 2009도3816 판결 등 참조). 한편 미성년자를 보호·감독하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다른 보호감독자의 보호·양육권을 침해하거나 자신의 보호·양육권을 남용하여 미성년자 본인의 이익을 침해하는 때에는 미성년자에 대한 약취죄의 주체가 될 수 있으므로(대법원 2008. 1. 31. 선고 2007도8011 판결 등 참조), 부모가 이혼하였거나 별거하는 상황에서 미성년의 자녀를 부모의 일방이 평온하게 보호·양육하고 있는데, 상대방 부모가 폭행, 협박 또는 불법적인 사실상의 힘을 행사하여 그 보호·양육 상태를 깨뜨리고 자녀를 탈취하여 자기 또는 제3자의 사실상 지배하에 옮긴 경우, 그와 같은 행위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미성년자에 대한 약취죄를 구성한다(대법원 2013. 6. 20. 선고 2010도14328 전원합의체 판결). 2. 원심은, ① 피고인의 배우자였던 공소외인은 피고인을 상대로 미합중국 오레곤주의 벤튼 카운티 순회법원(Benton County Circuit Court)에 공소외인과 자녀들에 대한 접근금지를 신청하여, 위 법원은 접근금지명령과 함께 자녀들에 대한 Temporary custody(임시 보호)를 공소외인에게 부여하는 결정을 하였는데, 피고인은 2009. 11. 7. 그에게 주어진 Parenting time(면접교섭 시간)을 이용하여 자녀들을 인계받은 후, 공소외인의 동의 없이 곧바로 미국을 떠나 대한민국으로 입국한 점, ② Temporary custody(임시 보호)에는 미성년자에 대한 일방 보호감독자의 책임의 의미도 있다고 할 것인데, 피고인은 위와 같이 자녀들과 함께 대한민국으로 입국함으로써 공소외인의 자녀들에 대한 보호·양육 책임을 일방적으로 부인하였을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공소외인이 자녀들과 만나지 못하도록 하는 등 공소외인의 자녀들에 대한 보호·양육권을 현저히 침해하고 있는 점 등 그 판시와 같은 사정을 종합하여 보면, 피고인의 행위는 불법적인 사실상의 힘을 수단으로 사용하여 당시 6세, 4세인 자녀들의 의사에 반하여 그들을 자유로운 생활관계 또는 공소외인의 보호관계로부터 이탈시켜 피고인의 사실상 지배하에 옮기는 행위라고 평가할 수 있다는 이유로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하였다. 3. 원심판결 이유를 적법하게 채택된 증거들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미성년자약취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위법이 없다. 나아가 원심판결에 정당행위 내지 책임조각사유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는 취지의 주장은 피고인이 이를 항소이유로 삼거나 원심이 직권으로 심판대상으로 삼은 바가 없는 것을 상고이유에서 비로소 주장하는 것으로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신(재판장) 김용덕 박상옥 박정화(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아이 데려오고 안 돌려주면 미성년자 약취죄?

이혼 소송 중인 부부 중 한쪽이 면접교섭을 위해 해외에서 데려온 자녀를 기간 만료 후에도 돌려보내지 않고 양육권 분쟁을 이어간 경우, 미성년자 약취죄가 성립할 수 있다.

#면접교섭#해외자녀#미성년자약취#양육권분쟁

형사판례

아이 데리고 외국 갔다고 무조건 범죄? '미성년자 약취'란 무엇일까

배우자 동의 없이 미성년 자녀를 데리고 해외로 나간 행위가 미성년자 약취죄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약취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 판결. 하지만, 반대 의견에서는 자녀의 복리 침해와 국제적 아동탈취 협약 위반 가능성을 들어 약취죄 성립을 주장하며 논란이 있었음.

#미성년자약취#국외이송약취#친권#배우자동의

형사판례

아이를 납치한 건가요? 미성년자 약취죄, 어디까지 인정될까?

이 판례는 미성년자 약취죄가 성립하려면 단순히 미성년자를 폭행·협박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미성년자를 기존의 생활관계 및 보호관계로부터 **실질적으로 이탈**시키려는 의도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명확히 했습니다. 특히, 강도 범행 과정에서 미성년자를 협박했더라도 그 목적이 금품 갈취에 있었다면 약취죄는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미성년자 약취죄#실질적 이탈#범인의 의도#기존 생활관계

상담사례

아이를 함부로 데려갔어요! 누가 데려올 수 있을까요? (친권 vs 양육권)

양육권자가 아이를 데려간 경우, 친권자라도 양육권자에게 아이 인도청구권이 우선한다.

#친권#양육권#아이 인도청구권#양육자 우선

형사판례

아이를 유괴하고 돈을 요구했지만 받지 못했다면? 미수죄 vs. 기수죄

돈을 목적으로 미성년자를 납치한 후 돈을 요구했지만 받지 못한 경우, 검찰은 '재물요구죄'뿐만 아니라 '재물취득 미수죄'로도 기소할 수 있으며, 법원은 피고인의 방어권을 고려하여 기소된 죄명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는 판결.

#미성년자 약취#재물요구죄#재물취득미수죄#기소

형사판례

미성년자 약취, 동의가 있어도 처벌될까? 양형 부당만 항소하면 나중에 다른 이유로 상고할 수 있을까?

1심에서 형량이 부당하다고 항소했다가 기각되면, 대법원 상고 시 사실관계나 법리 적용의 오류를 다툴 수 없습니다. 또한 미성년자가 동의했더라도 부모 등 보호자의 동의 없이 미성년자를 데려가면 미성년자 약취죄가 성립합니다.

#양형부당#상고이유#미성년자 약취죄#항소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