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법위반

사건번호:

2015도14966

선고일자:

2017022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법률의 시행령이 형사처벌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면서 법률의 명시적인 위임 범위를 벗어나 처벌의 대상을 확장하는 경우, 위임입법의 한계를 벗어나 무효인지 여부(적극) [2] 의료법 시행령 제18조 제1항이 위임입법의 한계를 벗어나 무효인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헌법 제12조 제1항, 제75조, 형법 제1조 제1항 / [2] 헌법 제12조 제1항, 제75조, 형법 제1조 제1항, 구 의료법(2016. 12. 20. 법률 제1443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1조(현행 제41조 제1항 참조), 제90조, 의료법 시행령 제18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8. 10. 15. 선고 98도1759 전원합의체 판결(공1998하, 2643), 대법원 1999. 2. 11. 선고 98도2816 전원합의체 판결(공1999상, 514) / [2] 대법원 2017. 2. 16. 선고 2015도16014 전원합의체 판결(공2017상, 665)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법무법인 유석 담당변호사 박흥대 외 8인 【원심판결】 부산지법 2015. 9. 11. 선고 2015노80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법률의 시행령은 모법인 법률의 위임 없이 법률이 규정한 개인의 권리·의무에 관한 내용을 변경·보충하거나 법률에서 규정하지 아니한 새로운 내용을 규정할 수 없고, 특히 법률의 시행령이 형사처벌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면서 법률의 명시적인 위임 범위를 벗어나 그 처벌의 대상을 확장하는 것은 죄형법정주의의 원칙에도 어긋나므로, 그러한 시행령은 위임입법의 한계를 벗어난 것으로서 무효이다(대법원 1998. 10. 15. 선고 98도1759 전원합의체 판결, 대법원 1999. 2. 11. 선고 98도2816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의료법(2016. 12. 20. 법률 제1443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41조는 “각종 병원에는 응급환자와 입원환자의 진료 등에 필요한 당직의료인을 두어야 한다.”라고 규정하는 한편, 제90조에서 제41조를 위반한 사람에 대한 처벌규정을 두었다. 이와 같이 의료법 제41조는 각종 병원에 응급환자와 입원환자의 진료 등에 필요한 당직의료인을 두어야 한다고만 규정하고 있을 뿐, 각종 병원에 두어야 하는 당직의료인의 수와 자격에 아무런 제한을 두고 있지 않고 이를 하위 법령에 위임하고 있지도 않다. 그런데도 의료법 시행령 제18조 제1항(이하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이라 한다)은 “법 제41조에 따라 각종 병원에 두어야 하는 당직의료인의 수는 입원환자 200명까지는 의사·치과의사 또는 한의사의 경우에는 1명, 간호사의 경우에는 2명을 두되, 입원환자 200명을 초과하는 200명마다 의사·치과의사 또는 한의사의 경우에는 1명, 간호사의 경우에는 2명을 추가한 인원 수로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의료법 제41조가 “환자의 진료 등에 필요한 당직의료인을 두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을 뿐인데도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은 그 당직의료인의 수와 자격 등 배치기준을 규정하고 이를 위반하면 의료법 제90조에 의한 처벌의 대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형사처벌의 대상을 신설 또는 확장하였다. 그러므로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은 위임입법의 한계를 벗어난 것으로서 무효라고 할 것이다(대법원 2017. 2. 16. 선고 2015도16014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2.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의료법의 위임 없이 이 사건 시행령 조항에 규정된 당직의료인의 수를 준수하지 아니한 행위를 의료법 제90조에 따라 처벌하는 것은 죄형법정주의 원칙에 위반된다고 판단하여,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무죄를 선고하였다.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앞서 본 법리에 기초한 것으로서 정당하다. 거기에 죄형법정주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상훈(재판장) 김창석 조희대(주심) 박상옥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야간 당직 의료인 수, 시행령으로 정할 수 있을까? - 위임입법의 한계

병원에 법으로 정된 최소 당직의료인 수 미달 시 처벌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의료법 시행령에서 정한 당직의료인 수 기준은 법률의 위임 없이 만들어진 것이므로 효력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시행령상 기준에 미달한다는 이유만으로 처벌할 수는 없습니다.

#당직의료인#시행령#위임입법#죄형법정주의

형사판례

병원 운영자도 처벌받을 수 있다? 의료법 위반과 양벌규정에 대한 이야기

병원에서 간호사가 진료기록부를 거짓으로 작성했을 경우, 병원 운영자도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단, 병원 운영자가 거짓 작성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주의와 감독을 기울였다면 처벌을 면할 수 있습니다. 법원은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병원 운영자의 주의 및 감독 의무 준수 여부를 판단합니다.

#진료기록부 거짓 작성#병원 운영자 처벌#양벌규정#주의 의무

민사판례

의사 진료정지, 언제까지 가능할까? - 장기간 진료정지의 위법성

회사가 직원에게 대기발령이나 진료정지처럼 잠정적인 불이익 처분을 내릴 수는 있지만, 정당한 이유 없이 이를 장기간 유지하는 것은 위법입니다.

#대기발령#진료정지#잠정적 불이익 처분#기간 제한

일반행정판례

자동차보험 진료수가 허위청구, 어떻게 처벌할까요?

의사가 자동차보험 진료비를 허위로 청구한 경우, 국민건강보험 등의 허위청구에 대한 처벌 규정을 유추 적용할 수 있으며, 처벌 수위를 정할 때는 허위 청구가 발생한 자동차보험 영역만 고려해도 된다는 대법원 판결.

#자동차보험진료수가#허위청구#의사면허정지#유추적용

일반행정판례

응급실 간호사 인력 부족해도 응급의료관리료 환수는 어려워

병원이 응급실 전담 간호사 인력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더라도, 실제로 응급환자에게 응급처치를 했다면 건강보험공단이 응급의료관리료를 부당이득으로 환수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응급실#간호사 인력 기준#응급의료관리료#환수

민사판례

의료사고, 어디까지 책임져야 할까? - 수인한도를 넘는 불성실한 진료

분만 과정에서 태아가 사망한 사건에서, 의사의 진료가 **일반인의 수인한도를 넘어 현저하게 불성실했는지** 여부가 손해배상 책임의 핵심 쟁점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의사의 진료가 그 정도로 불성실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대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

#태아 사망#의료과실#수인한도#불성실 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