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령(공소시효 정지 사건)

사건번호:

2015도5916

선고일자:

201506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공소시효 정지사유를 규정한 형사소송법 제253조 제3항의 입법 취지 / 위 규정에서 정한 ‘범인이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으로 국외에 있는 경우’에 범인이 국외에서 범죄를 저지르고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으로 국외에서 체류를 계속하는 경우가 포함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형사소송법 제253조 제3항은 “범인이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으로 국외에 있는 경우 그 기간 동안 공소시효는 정지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위 규정의 입법 취지는 범인이 우리나라의 사법권이 실질적으로 미치지 못하는 국외에 체류한 것이 도피의 수단으로 이용된 경우에 체류기간 동안은 공소시효가 진행되는 것을 저지하여 범인을 처벌할 수 있도록 하여 형벌권을 적정하게 실현하고자 하는 데 있다. 따라서 위 규정이 정한 ‘범인이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으로 국외에 있는 경우’는 범인이 국내에서 범죄를 저지르고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으로 국외로 도피한 경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범인이 국외에서 범죄를 저지르고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으로 국외에서 체류를 계속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참조조문

형사소송법 제253조 제3항

참조판례

대법원 2008. 12. 11. 선고 2008도4101 판결(공2009상, 56)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인천지법 2015. 4. 9. 선고 2014노343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형사소송법 제253조 제3항은 “범인이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으로 국외에 있는 경우 그 기간 동안 공소시효는 정지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위 규정의 입법 취지는 범인이 우리나라의 사법권이 실질적으로 미치지 못하는 국외에 체류한 것이 도피의 수단으로 이용된 경우에 그 체류기간 동안은 공소시효가 진행되는 것을 저지하여 범인을 처벌할 수 있도록 하여 형벌권을 적정하게 실현하고자 하는 데 있다(대법원 2008. 12. 11. 선고 2008도4101 판결 참조). 따라서 위 규정이 정한 ‘범인이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으로 국외에 있는 경우’는 범인이 국내에서 범죄를 저지르고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으로 국외로 도피한 경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범인이 국외에서 범죄를 저지르고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으로 국외에서 체류를 계속하는 경우도 포함된다고 볼 것이다. 한편 여기에서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은 국외 체류의 유일한 목적으로 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범인이 가지는 여러 국외 체류 목적 중에 포함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범인이 국외에 있는 것이 형사처분을 면하기 위한 방편이었다면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이 있었다고 볼 수 있고,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과 양립할 수 없는 범인의 주관적 의사가 명백히 드러나는 객관적 사정이 존재하지 않는 한 국외 체류기간 동안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은 계속 유지된다고 볼 것이다(대법원 2005. 12. 9. 선고 2005도7527 판결, 대법원 2012. 7. 26. 선고 2011도8462 판결 등 참조).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피고인이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으로 국외에 체류하였다고 판단하고, 이 사건 범행에 관한 공소시효 완성을 주장하는 피고인의 항소이유 주장을 받아들이지 아니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관련 법리와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들에 비추어 살펴보면,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공소시효 정지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상옥(재판장) 이상훈 김창석(주심) 조희대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공소시효 정지, 어디까지 될까요? - 해외 도피와 공소시효 완성 간주

범죄자가 기소된 후 해외로 도피하더라도, 공소제기 후 일정 기간(15년)이 지나면 공소시효가 완성된 것으로 간주하는 규정의 적용은 정지되지 않는다.

#공소시효#해외도피#기소후 도피#15년 경과

형사판례

공소시효 정지, 정말 형사처분 피하려고 외국 갔을까?

피고인이 형사처분을 피하려고 외국에 간 것이 명확하지 않다면, 외국 체류 기간 동안 공소시효 진행이 멈추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

#형사처분 면탈#외국 체류#공소시효 정지#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도피 목적 없었다면 공소시효는 흘러간다!

다른 사건으로 처벌받을 위기에 놓여 해외에 도피한 경우, 현재 사건의 처벌을 피하려고 해외에 있었다고 볼 수는 없다. 특히 현재 사건으로 처벌받을 가능성을 인지하지 못했다면 더욱 그렇다.

#해외도피#형사처벌#공소시효#면소

형사판례

외국 감옥에서의 시간, 도피로 볼 수 있을까? - 공소시효 정지에 대한 이야기

해외에서 다른 범죄로 장기간 수감된 경우, 국내 범죄에 대한 공소시효가 정지되는지 여부는 '형사처분을 면할 목적'이 있었는지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단순히 해외에 있다는 사실만으로는 공소시효가 정지되지 않는다.

#해외수감#공소시효#형사처분 면할 목적#공소시효 정지

형사판례

도박 빚 때문에 해외 도피? 공소시효 정지에 관한 오해와 진실

해외에서 도박자금을 빌리고 국내에서 갚은 피고인에 대해, 검찰이 공소시효가 지났다고 주장하며 면소 판결을 받았으나, 대법원은 피고인이 형사처분을 피하려고 해외에 체류한 기간 동안 공소시효가 정지된다는 법 개정을 소급적용하여 면소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돌려보냈습니다.

#도박자금#해외송금#외국환관리법 위반#공소시효

형사판례

병역기피 목적의 해외 체류, 공소시효는 멈춘다!

해외 체류 중 병역 의무자가 허가된 기간 내 귀국하지 않고 기간 연장도 하지 않은 경우, 이 범죄의 공소시효는 언제부터 시작하며, 해외 체류가 형사처분을 피하기 위한 목적이었다면 공소시효 진행이 정지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병역법 위반#국외여행허가의무#공소시효#기산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