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집단·흉기등폭행)(인정된죄명:특수폭행)

사건번호:

2016도9302

선고일자:

201610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폭행죄에서 말하는 ‘폭행’의 의미와 판단 기준 / 자신의 차를 가로막는 피해자를 부딪칠 듯이 차를 조금씩 전진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행위가 ‘폭행’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법 제260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3. 1. 10. 선고 2000도5716 판결(공2003상, 654), 대법원 2008. 7. 24. 선고 2008도4126 판결, 대법원 2009. 9. 24. 선고 2009도6800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안봉진 【원심판결】 춘천지법 2016. 6. 2. 선고 2015노23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폭행죄에서 말하는 폭행이란 사람의 신체에 대하여 육체적·정신적으로 고통을 주는 유형력을 행사함을 뜻하는 것으로서 반드시 피해자의 신체에 접촉함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고, 그 불법성은 행위의 목적과 의도, 행위 당시의 정황, 행위의 태양과 종류, 피해자에게 주는 고통의 유무와 정도 등을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2003. 1. 10. 선고 2000도5716 판결, 대법원 2008. 7. 24. 선고 2008도4126 판결, 대법원 2009. 9. 24. 선고 2009도6800 판결 등 참조). 따라서 자신의 차를 가로막는 피해자를 부딪친 것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피해자를 부딪칠 듯이 차를 조금씩 전진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행위 역시 피해자에 대해 위법한 유형력을 행사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원심은, 피고인이 자신의 차를 가로막고 서 있는 피해자를 향해 차를 조금씩 전진시키고 피해자가 뒤로 물러나면 다시 차를 전진시키는 방식의 운행을 반복하였는데, 이는 그 자체로 피해자에 대한 유형력의 행사에 해당하고, 피고인 주장의 사정만으로는 차 앞에 서 있는 사람을 향해 차를 전진시킨 행위가 정당방위나 정당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이 사건 변경된 공소사실이 유죄로 인정된다고 판단하였다.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폭행죄에서의 폭행이나 그 고의, 정당행위와 정당방위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보영(재판장) 박병대 권순일 김재형(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운전 중 폭행, 단순 폭행죄보다 훨씬 무거운 처벌 받을 수 있다!

운전 중인 차량의 운전자를 폭행하여 상해를 입힌 경우, 교통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가법) 제5조의10 제2항을 적용하여 가중처벌한다.

#운전자 폭행#상해#특가법#가중처벌

형사판례

택시기사 폭행, 업무방해죄로만 처벌될까? - 폭행죄와 업무방해죄의 관계

택시기사를 폭행하여 업무를 방해한 경우, 폭행은 업무방해죄에 흡수되지 않고 별도의 폭행죄로 처벌받는다. 폭행이 업무방해의 수단이었다 하더라도, 폭행죄와 업무방해죄는 보호하는 법익이 다르고 폭행 자체가 가벼운 죄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택시기사 폭행#업무방해죄#폭행죄#상상적 경합

형사판례

주차 방해로 강요죄가 성립할까?

다른 사람의 집 대문 앞에 차를 주차해서 차량 출입을 막는 행위가 강요죄의 '폭행'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단순히 차량 출입을 막는 것만으로는 강요죄의 폭행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주차방해#강요죄#폭행#유형력

생활법률

👊 폭행? 그게 뭔데? 알기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발생하는 폭행은 신체에 대한 불법적 유형력 행사로, 접촉 없이도 성립하며, 단순폭행, 존속폭행, 특수폭행, 폭행치상/치사 등 종류와 처벌 수위가 다르고, 상해와 구별되며, 상황과 정황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폭행#유형력#단순폭행죄#존속폭행죄

형사판례

폭행 자체가 추행이 될 수 있을까? 강제추행죄에서 추행의 의미

꼭 폭행이나 협박으로 상대방을 제압한 *후에* 추행해야만 강제추행죄가 성립하는 것은 아닙니다. 폭행 *자체*가 추행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강제추행죄가 성립하며, 이때 폭행은 상대방의 의사에 반하는 물리력 행사면 충분합니다. 힘의 세기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강제추행#폭행#추행#유형력

형사판례

운전 중 시비 후 보복운전, 위험한 물건 사용으로 처벌 가능할까?

운전 중 시비가 붙어 상대방 차를 뒤따라오자 겁을 주려고 4~5m 후진하여 충돌한 경우, 자동차를 '위험한 물건'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고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처벌할 수 있다.

#운전 중 시비#후진 충돌#위험한 물건#폭력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