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합격처분취소

사건번호:

2016재두5056

선고일자:

2017071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 제4조 제1항 제5호에 해당하는 사건을 심리불속행으로 상고기각하였다는 사유가 적법한 재심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및 상고이유에 관한 주장을 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이 정하는 심리불속행 사유에 해당한다고 보아 상고를 기각한 경우,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누락하였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 제4조 제1항 제5호,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9호

참조판례

대법원 1996. 2. 13. 선고 95재누176 판결(공1996상, 1002), 대법원 2009. 2. 12. 선고 2008재다502 판결

판례내용

【원고(재심원고)】 【피고(재심피고)】 한국산업인력공단 【재심대상판결】 대법원 2016. 11. 10. 선고 2016두46649 판결 【주 문】 재심청구를 기각한다. 재심소송비용은 원고(재심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재심사유를 판단한다. 원고(재심원고, 이하 ‘원고’라고 한다)는, 재심대상판결의 원심판결에 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 제4조 제1항 제5호의 사유가 있는데도 재심대상판결이 원고의 상고를 심리불속행으로 기각하면서 상고이유에 대하여 아무런 판단을 하지 않았으므로, 재심대상판결에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9호(판결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사항에 관하여 판단을 누락한 때)의 재심사유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 제4조 제1항 제5호에 해당하는 사건을 심리불속행으로 상고기각하였다는 사유는 적법한 재심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 또한 재심대상판결이 상고이유에 관한 주장을 상고심절차에 관한 특례법이 정하는 심리불속행 사유에 해당한다고 보아 더 나아가 심리를 하지 않고 상고를 기각한 이상, 재심대상판결이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누락하였다고 할 수 없다(대법원 1996. 2. 13. 선고 95재누176 판결, 대법원 2009. 2. 12. 선고 2008재다502 판결 등 참조). 그 밖에 원고가 주장하는 사유는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의 각호에 규정된 재심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재심청구를 기각하고 재심소송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보영(재판장) 권순일 김재형(주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심리불속행 기각과 재심청구

대법원이 사건을 자세히 심리하지 않고 기각하는 '심리불속행' 제도를 이용해 기각된 판결에 대해서는, 판결에서 중요한 부분을 빠뜨렸다는 이유로 재심을 청구할 수 없다.

#심리불속행#재심#기각#판단누락

특허판례

심리불속행 기각과 재심

대법원이 사건을 자세히 심리하지 않고 기각하는 '심리불속행' 판결에 대해서는 '판단 안 한 부분이 있다'는 이유로 재심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또한, 판결문을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재심을 청구해야 합니다.

#심리불속행#재심#기각#판단유탈

민사판례

심리불속행 판결에 대한 재심 청구, 받아들여질까?

대법원이 심리불속행(자세한 이유 설명 없이 상고 기각)으로 판결한 사건이 기존 대법원 판례를 변경하지 않았다면, 대법관 전원이 참여하는 전원합의체에서 재판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는 재심을 청구할 수 없다.

#재심#심리불속행#전원합의체#대법원 판례

민사판례

심리불속행 상고기각 판결에 대한 재심청구, 가능할까요?

대법원이 사건을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고 바로 기각하는 '심리불속행'으로 상고를 기각한 경우, 이 판결에 대해 "판단이 누락됐다"거나 "대법원 판례를 위반했다"는 이유로 재심을 청구할 수 없다.

#심리불속행#상고기각#재심#기각

민사판례

대법원이 심리를 안 해줬어요! 그래서 재심 청구했는데... 결과는?

대법원이 '심리불속행'으로 상고를 기각한 경우, 판단유탈이나 판례위반을 이유로 재심을 청구할 수 없다.

#심리불속행#재심#상고기각#판단유탈

민사판례

심리불속행 기각 판결 확정 시점과 재심

심리불속행으로 기각된 판결은 상고인에게 송달된 날 확정되므로, 재심 제기 기간도 그 송달일로부터 계산해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또한, 상고심에서 주장하지 않은 판단유탈은 재심사유가 될 수 없습니다.

#심리불속행#확정일#송달일#재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