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저당권설정등기말소

사건번호:

2017다20111

선고일자:

201710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소멸시효의 기산일이 변론주의의 적용 대상인지 여부(적극) 및 법원이 당사자가 주장하는 기산일과 다른 날짜를 소멸시효의 기산일로 삼을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법 제166조, 민사소송법 제20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5. 8. 25. 선고 94다35886 판결(공1995하, 3263), 대법원 2006. 9. 22. 선고 2006다22852, 22869 판결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수원지법 2017. 4. 4. 선고 2015나3232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인 주식회사 대명디아인(이하 ‘대명디아인’이라고 한다)의 주식회사 에치제이씨엔씨(이하 ‘에치제이씨엔씨’라고 한다)에 대한 대여금채권이 2008. 12. 10.경 발생하여 그로부터 상사채권에 관한 소멸시효기간 5년이 경과함으로써 소멸하였다는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이유로 시효가 중단되었다고 판단하였다. ① 피고들은 대명디아인으로부터 위 채권을 양도받고 각 근저당권일부이전의 부기등기를 마쳤는데, 에치제이씨엔씨는 2010. 1. 20. 피고 2에게, 2012. 2. 26. 피고 1에게 각각 양수채권에 관한 차용지불약정서와 약속어음을 작성·교부하였다. ② 이는 채무자인 에치제이씨엔씨가 그 소멸시효 기간 만료 전에 피고들에 대하여 각 양수채권의 존재를 승인한 것이다. 2. 이에 대한 상고이유 주장의 요지는, 위 채무승인의 각 사유가 발생한 시점인 2010. 1. 20.과 2012. 2. 26.로부터 원심 변론종결일인 2017. 3. 14.을 기준으로 보더라도 역수상 모두 5년이 경과하여 소멸시효가 완성되었음에도 원심은 이를 간과하였고, 결국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소멸시효 완성에 관한 법리오해, 심리미진, 판단누락의 잘못이 있다는 것이다. 3. 그러나 소멸시효의 기산일은 소멸시효 주장 내지 항변의 법률요건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사실에 해당하여 변론주의가 적용되므로 법원은 당사자가 주장하는 기산일과 다른 날짜를 소멸시효의 기산일로 삼을 수 없다(대법원 1995. 8. 25. 선고 94다35886 판결, 대법원 2006. 9. 22. 선고 2006다22852, 22869 판결 등 참조). 이 사건에서 원고가 위와 같이 채무승인의 각 사유가 발생한 시점인 2010. 1. 20.과 2012. 2. 26.을 새로운 소멸시효의 기산일로 주장하였다는 자료를 찾아볼 수 없다. 결국 상고이유 주장은 상고심에 이르러 비로소 내세우는 새로운 주장으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원심이 위 각 시점을 기산일로 삼아 소멸시효의 완성 여부에 관하여 판단하지 않은 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잘못이 있다고 할 수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희대(재판장) 고영한 권순일 조재연(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돈 갚으라고 했는데, 갚겠다고 한 적 없다고요?

돈을 빌려주거나 물건을 판 후 일정 기간 동안 돈을 받지 못하면 채권이 소멸시효로 없어지는데, 채무자가 빚을 인정하는 행위를 하거나 채권자가 돈을 달라고 요구하면 시효가 중단됩니다. 이 판례는 잔액확인서 교부가 빚을 인정하는 행위로 볼 수 있는지, 변제 유예 후 시효가 다시 언제부터 진행되는지, 그리고 시효 시작일은 법원이 판단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소멸시효#중단#재진행#승인

민사판례

빚진 돈, 언제까지 갚아야 할까? - 소멸시효와 채무 승인에 대한 이야기

빌린 돈을 갚지 않아도 되는 기간(소멸시효)이 지났는지, 이전 재판 결과(기판력)가 이번 재판에 영향을 미치는지, 돈을 일부 갚은 것이 전체 빚을 인정한 것인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출금#채무#소멸시효#기판력

상담사례

10년 넘은 빚, 받을 수 있을까? 지급명령과 소멸시효 이야기

10년 넘은 빚이라도 지급명령 신청 시점에 소멸시효가 중단되어 채권 회수 가능성이 유지된다.

#소멸시효#지급명령#시효중단#채권

민사판례

돈 갚으라는 지급명령, 이의신청하면 소송으로! 그럼 시효는 언제 중단될까?

돈을 갚으라고 법원에 지급명령을 신청했는데, 상대방이 이의를 제기해서 결국 재판으로 넘어간 경우, 돈을 갚으라고 요구할 수 있는 권리(채권)의 시효가 중단되는 시점은 재판이 시작된 날이 아니라 **처음 지급명령을 신청한 날**이다.

#지급명령#이의신청#시효중단#신청일

민사판례

고소나 피의자신문조서만으로는 빚의 소멸시효 중단 안 돼요!

돈을 빌려준 사람이 돈을 빌려간 사람을 사기죄 등으로 고소하거나, 빌려간 사람이 검찰 조사에서 빚을 일부 인정하는 진술을 했다고 해서, 그 자체만으로는 빚을 받을 권리의 소멸시효가 중단되는 것은 아니다.

#소멸시효#중단#고소#피의자신문조서

상담사례

빚의 소멸시효, 법원이 알아서 판단해줄까요?

소멸시효 완성 여부는 법원이 판단하지만, 채무자가 어떤 채권에 대해 소멸시효를 주장하는지는 명확히 해야 한다.

#소멸시효#채권##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