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통법위반(음주운전)

사건번호:

2017도10815

선고일자:

202101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도로교통법상 ‘운전’의 의미 / 자동차의 운전에 해당하기 위하여는 엔진을 시동시켰다는 것 외에 발진조작의 완료를 요하는지 여부(적극) 및 위와 같은 발진조작을 완료하였는지 판단하는 기준

판결요지

구 도로교통법(2017. 3. 21. 법률 제1461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26호에 따르면, ‘운전’이란 도로에서 차를 ‘그 본래의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자동차를 ‘그 본래의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하였다고 하기 위하여는 단지 엔진을 시동시켰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이른바 발진조작의 완료를 요한다. 통상 자동차 엔진을 시동시키고 기어를 조작하며 제동장치를 해제하는 등 일련의 조치를 취하면 위와 같은 발진조작을 완료하였다고 할 것이지만, 애초부터 자동차가 고장이나 결함 등의 원인으로 객관적으로 발진할 수 없었던 상태에 있었던 경우라면 그와 같이 볼 수는 없다.

참조조문

구 도로교통법(2017. 3. 21. 법률 제1461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26호, 제44조 제1항, 제148조의2 제2항(현행 제148조의2 제3항 참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9. 11. 12. 선고 98다30834 판결(공1999하, 2477), 대법원 2009. 5. 28. 선고 2009다9294, 9300 판결, 대법원 2020. 12. 30. 선고 2020도9994 판결(공2021상, 327)

판례내용

【피고인】 피고인 【상고인】 검사 【원심판결】 창원지법 2017. 6. 22. 선고 2017노50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구 도로교통법(2017. 3. 21. 법률 제1461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26호에 따르면, ‘운전’이란 도로에서 차를 ‘그 본래의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자동차를 ‘그 본래의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하였다고 하기 위하여는 단지 엔진을 시동시켰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이른바 발진조작의 완료를 요한다(대법원 1999. 11. 12. 선고 98다30834 판결, 대법원 2009. 5. 28. 선고 2009다9294, 9300 판결 등 참조). 통상 자동차 엔진을 시동시키고 기어를 조작하며 제동장치를 해제하는 등 일련의 조치를 취하면 위와 같은 발진조작을 완료하였다고 할 것이지만, 애초부터 자동차가 고장이나 결함 등의 원인으로 객관적으로 발진할 수 없었던 상태에 있었던 경우라면 그와 같이 볼 수는 없다. 2.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사건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도로교통법상의 ‘운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민유숙(재판장) 김재형 이동원 노태악(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시동 안 걸린 차, 운전일까요? 아닐까요? 후진하다 사고나면 처벌받을까요?

시동이 꺼진 차를 브레이크 조작 등으로 움직였다 하더라도,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운전'으로 볼 수 없어 위험운전치상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시동꺼짐#운전#위험운전치상#무죄

형사판례

술 취해 히터 켜려다 차 움직이면 음주운전일까? 시동만 걸어도 운전일까?

단순히 히터를 틀기 위해 시동을 걸었는데, 실수로 기어를 건드리거나 불안전한 주차 때문에 차가 움직인 경우는 '운전'으로 볼 수 없다. 운전하려는 의도, 즉 고의가 있어야 운전으로 인정된다.

#운전#고의#시동#음주운전

민사판례

자동차 핸드브레이크 풀고 내려가는 건 '운전'일까? 자동차 보험과 관련된 중요 판례 해설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내리막길에서 핸드브레이크만 풀어 움직이는 것은 '운전'이 아닙니다. 자동차 '운행'은 '운전'보다 넓은 개념입니다.

#내리막길 주차#타력주행#운전#운행

형사판례

술 취한 남편, 아내가 내린 차가 움직여 사고를 냈다면? 운전일까, 아닐까?

술에 취한 피고인이 조수석에 앉아 있다가 차가 움직여 사고가 났습니다. 이때 피고인이 직접 운전하지 않았더라도 '차의 운전 등 교통'에 해당하여 사고 후 미조치 혐의가 인정되는지가 쟁점입니다. 대법원은 피고인이 운전한 것으로 볼 증거가 부족하며, '차의 운전 등 교통'에도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원심을 파기하고 환송했습니다.

#음주#조수석#차량이동#사고

형사판례

좁은 골목길에서 1m 이동도 '운전'일까? 음주운전 판결 살펴보기

술 마시고 주택가 막다른 골목길에서 주차된 차를 1m 정도 움직인 것도 음주운전에 해당한다.

#음주운전#막다른 골목길#도로#운전

형사판례

딱 30cm, 도로에 걸쳤을 뿐인데 음주운전?!

술에 취한 상태로 운전하다가 차의 일부라도 도로에 진입하면 도로교통법 위반(음주운전)으로 처벌받습니다. 주차장에서 나오다가 횡단보도에 차 앞부분이 조금 걸쳤더라도 음주운전입니다.

#음주운전#주차장#도로#도로교통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