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법위반

사건번호:

2017도10838

선고일자:

201711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저작자 아닌 자를 저작자로 하여 실명·이명을 표시하여 저작물을 공표한 자를 형사처벌하는 저작권법 제137조 제1항 제1호의 입법 취지 및 저작자를 허위로 표시하는 대상이 되는 저작물이 이전에 공표된 적이 있어도 위 규정에 따른 범죄가 성립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저작권법 제2조 제25호, 제137조 제1항 제1호

참조판례

대법원 2017. 10. 26. 선고 2016도16031 판결(공2017하, 2229)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의정부지법 2017. 6. 23. 선고 2017노57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 기간이 지난 후에 제출된 준비서면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법리오해 주장에 대하여 저작권법 제137조 제1항 제1호는 저작자 아닌 자를 저작자로 하여 실명·이명을 표시하여 저작물을 공표한 자를 형사처벌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위 규정은 저작자가 아님에도 자신의 의사에 반하여 타인의 저작물에 저작자로 표시된 경우 저작자 아닌 자의 인격적 권리, 저작자의 의사에 반하여 그의 저작물에 저작자 아닌 자가 저작자로 표시된 경우 실제 저작자의 인격적 권리뿐만 아니라 저작자 명의에 관한 사회 일반의 신뢰도 보호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저작권법상 공표는 저작물을 공연, 공중송신 또는 전시 그 밖의 방법으로 공중에게 공개하는 것과 저작물을 발행하는 것을 뜻한다(저작권법 제2조 제25호). 이러한 공표의 문언적 의미와 앞서 본 저작권법 제137조 제1항 제1호의 입법 취지 등에 비추어 보면, 저작자를 허위로 표시하는 대상이 되는 저작물이 이전에 공표된 적이 있어도 위 규정에 따른 범죄의 성립에는 영향이 없다. 위 법리와 증거에 의하여 살펴보면, 이 사건 변경된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제1심을 유지한 원심판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저작권법위반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2. 나머지 주장에 대하여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4호에 의하면, 사형,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가 선고된 사건에 한하여 원심판결에 중대한 사실의 오인이 있어 판결에 영향을 미친 경우 또는 형의 양정이 심히 부당하다고 인정할 현저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이를 원심판결에 대한 상고이유로 삼을 수 있다. 피고인에 대하여 그보다 가벼운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 피고인이 공저자 등재에 동의한 사실이 없다는 이유로 공모관계를 다투는 취지의 주장은 사실심인 원심의 전권에 속하는 증거의 취사선택과 사실의 인정을 탓하는 것으로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하고, 형이 너무 무거워서 부당하다는 취지의 주장 역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또한, 2015. 9. 10. 발행 서적과 관련한 피고인의 주장은 제1심에서 공소장 변경으로 철회된 공소사실에 대한 것으로 부적법하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정화(재판장) 김용덕 김신(주심) 박상옥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남의 저작물에 내 이름 넣으면 안 되는 이유, 법적으로 알아보기

다른 사람의 저작물에 자기 이름을 올리거나, 자기 저작물에 다른 사람 이름을 올리는 행위는 저작권법 위반으로 처벌받습니다. 심지어 실제 저작자와 이름을 빌려준 사람이 서로 동의했더라도, 사회 통념상 용인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처벌받습니다. 또한, 이미 공개된 저작물이더라도 저작자를 허위로 표시하면 처벌 대상입니다.

#저작권법 위반#저작자 허위 표시#처벌#동의 무관

형사판례

남의 저작물에 내 이름 붙이면 저작권 침해? 당연하죠!

다른 사람이 만든 저작물에 자기 이름이나 가명을 저작자로 표시해서 공개하면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실제 저작자가 동의했더라도, 이미 공개된 저작물이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실제 저작자가 이런 행위에 가담하면 공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법 위반#허위 저작자 표시#공범 처벌#저작인격권

생활법률

내 창작물, 함부로 건드리지 마세요! 저작인격권 완전 정복

저작인격권은 창작자의 인격과 명예를 보호하는 권리로, 공표권, 성명표시권, 동일성유지권을 포함하며 양도나 포기가 불가능하고 침해 시 처벌받을 수 있다.

#저작인격권#공표권#성명표시권#동일성유지권

민사판례

내 작품인데 내 이름이 없다?! 저작인격권 이야기

저작인격권은 저작자에게만 있는 권리이며, 다른 사람에게 넘겨줄 수 없다. 다른 사람에게 저작인격권 행사를 위임하더라도, 저작인격권 자체는 저작자에게 남아있다. 따라서 저작자 허락 없이 저작자 이름을 바꾸거나 숨기는 것은 저작인격권 침해이다.

#저작인격권#양도불가#귀속권#침해

형사판례

저작권 등록, 내 작품 아니면 함부로 등록하면 안 돼요!

타인의 저작물을 자신의 저작물로 등록한 경우, 설령 저작권 개념에 문외한이거나 진정한 저작자의 동의가 있었다고 생각했더라도, 등록 행위가 허위임을 인식했다면 저작권등록부 허위등록죄가 성립한다.

#저작권등록부 허위등록죄#고의#보호법익#저작권

형사판례

내 창작물, 저작권으로 보호받을 수 있을까? 2차적 저작물도 저작권이 있을까?

다른 사람의 책을 참고해서 새 책을 썼더라도, 단순히 베낀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독창적인 표현이나 해석이 담겨있다면 저작권으로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책은 '2차적 저작물'이라고 부르며, 원본 저작자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저작권#2차적저작물#독창적표현#정신적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