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사기)·방문판매등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2017도16223

선고일자:

201712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상습범으로서 포괄적 일죄의 관계에 있는 여러 개의 범죄사실 중 일부에 대하여 유죄판결이 확정된 경우, 그 확정판결의 사실심판결 선고 전에 저질러진 나머지 범죄에 대하여 면소판결을 선고하기 위한 요건 [2] 검사의 공소권 행사를 공소권의 남용으로 보아 공소제기의 효력을 부인할 수 있는 경우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1호 / [2] 형사소송법 제246조, 제247조, 제327조 제2호

참조판례

[1] 대법원 2004. 9. 16. 선고 2001도3206 전원합의체 판결(공2004하, 1684), 대법원 2010. 2. 11. 선고 2009도12627 판결(공2010상, 604) / [2] 대법원 1999. 12. 10. 선고 99도577 판결(공2000상, 249), 대법원 2001. 9. 7. 선고 2001도3026 판결(공2001하, 2213)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이동준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7. 9. 13. 선고 2017노595 판결 및 2017초기63 등 배상명령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관하여 상습범으로서 포괄적 일죄의 관계에 있는 여러 개의 범죄사실 중 일부에 대하여 유죄판결이 확정된 경우에, 그 확정판결의 사실심판결 선고 전에 저질러진 나머지 범죄에 대하여 새로이 공소가 제기되었다면 그 새로운 공소는 확정판결이 있었던 사건과 동일한 사건에 대하여 다시 제기된 데 해당하므로 이에 대하여는 판결로써 면소의 선고를 하여야 한다(형사소송법 제326조 제1호). 다만 이러한 법리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전의 확정판결에서 당해 피고인이 상습범으로 기소되어 처단되었을 것을 필요로 한다. 상습범 아닌 기본 구성요건의 범죄로 처단되는 데 그친 경우에는, 설령 뒤에 기소된 사건에서 비로소 드러났거나 새로 저질러진 범죄사실과 전의 판결에서 이미 유죄로 확정된 범죄사실 등을 종합하여 비로소 그 모두가 상습범으로서의 포괄적 일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더라도 뒤늦게 앞서의 확정판결을 상습범의 일부에 대한 확정판결이라고 보아 그 기판력이 그 사실심판결 선고 전의 나머지 범죄에 미친다고 보아서는 아니 된다(대법원 2004. 9. 16. 선고 2001도3206 전원합의체 판결, 대법원 2010. 2. 11. 선고 2009도12627 판결 등 참조). 한편 검사가 자의적으로 공소권을 행사하여 피고인에게 실질적인 불이익을 줌으로써 소추재량권을 현저히 일탈하였다고 보여지는 경우에 이를 공소권의 남용으로 보아 공소제기의 효력을 부인할 수 있다. 여기서 자의적인 공소권의 행사라 함은 단순히 직무상의 과실에 의한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적어도 미필적이나마 어떤 의도가 있어야 한다(대법원 1999. 12. 10. 선고 99도577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피고인에 대하여 판결이 확정된 종전 사건의 범죄는 상습사기죄가 아니라 기본 구성요건 범죄로서의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죄, 사기죄에 불과하여, 종전 확정판결의 기판력은 이 사건 공소사실 중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의 점에 미치지 아니하고, 검사의 이 사건 공소제기가 소추재량권을 현저히 일탈하였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위에서 본 법리 및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다.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 사실을 잘못 인정하거나 확정판결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 공소권남용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2. 상고이유 제2, 3점에 관하여 원심판결 이유를 적법하게 채택된 증거들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피고인에 대한 이 사건 변경된 공소사실(이유면소 부분 제외)이 모두 유죄로 인정된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다.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채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 사실을 잘못 인정하거나 사기죄에서의 기망행위, 편취 범의, 피해자 특정,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다단계판매조직 이용행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3. 상고이유 제4점에 관하여 원심판결에 양형 판단의 기초 사실에 관한 사실오인 내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는 취지의 주장은 결국 양형부당 주장에 해당한다. 피고인의 이 사건 범행의 구체적인 과정과 수단 및 방법, 범행 기간, 피해 금액의 규모, 피해 회복의 가능성, 범행 전후의 정황 등 기록에 나타난 여러 사정을 살펴보면, 피고인이 주장하는 모든 정상을 참작하더라도, 피고인에게 징역 15년의 형을 선고한 원심의 양형이 심히 부당하다고 인정할 만한 현저한 사유가 있다고 볼 수 없다. 4.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덕(재판장) 김신 박상옥(주심) 박정화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상습사기죄와 공소제기, 그리고 추가기소에 대한 이야기

여러 번에 걸쳐 사기 범죄로 기소되었더라도, 그 범죄들이 모두 같은 사기 습벽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하나의 상습사기죄로 처벌해야 한다. 검찰이 여러 번 나눠서 기소했더라도 법원은 이를 하나로 묶어 판단해야 한다.

#상습사기#사기 습벽#여러 번 기소#공소장 변경

형사판례

검사의 상고, 일부 인용되다! - 공소사실 특정과 부분 파기

이 판례는 검사가 피고인의 횡령과 사기 혐의에 대해 항소심 판결에 불복하여 상고한 사건입니다. 대법원은 횡령 혐의에 대한 공소기각은 잘못되었고, 사기 혐의에 대한 상고는 이유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횡령 부분은 다시 재판하고, 사기 부분은 항소심 판결대로 유죄가 확정된 것입니다.

#공소사실 특정#포괄일죄#부분파기#횡령

형사판례

상습범죄 일부 유죄 확정시, 나머지 범죄는 어떻게 될까?

상습적으로 죄를 저지른 사람이 여러 범죄 중 일부에 대해 유죄 확정판결을 받았을 때, 그 전에 저지른 나머지 범죄에 대해서는 어떤 경우에 면소(재판 없이 처벌할 수 없음) 판결을 내릴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이전 범죄와 합쳐서 상습범이 된다고 해서 무조건 면소되는 것은 아니고, 이전 유죄 판결에서 '상습범'으로 처벌받았어야 합니다.

#상습범#면소#유죄 확정#상습 처벌

형사판례

검사와 피고인이 함께 상소했을 때, 법원의 판단은?

여러 죄를 한꺼번에 저지른 경우(경합범), 일부 죄는 유죄, 일부 죄는 무죄 판결이 나왔을 때 검사와 피고인의 상고에 따라 파기되는 범위와 형량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리고 불이익변경금지 원칙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다룬 판례입니다.

#경합범#상고#파기범위#불이익변경금지 원칙

형사판례

검찰의 공소 제기 시점과 공소권 남용

이전 사건의 항소심 판결이 선고된 *후*에 다른 사건으로 기소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검사가 공소권을 남용한 것은 아닙니다. 검사가 의도적으로 공소 제기를 늦춰 피고인에게 불이익을 주려고 했다는 증거가 없다면 공소권 남용이 아닙니다.

#공소권 남용#항소심 판결 후 공소 제기#병합심리 불가#고의 지연 증거 없음

형사판례

검사의 기소, 두 번 나눠서 하면 문제 될까? - 공소권 남용에 대한 대법원 판단

검사가 범죄 혐의에 대해 기소할지 말지 결정할 권한(소추재량권)이 있는데, 이 권한을 남용하여 부당하게 기소한 경우에는 공소 자체가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이 판례는 검사가 범죄 혐의 일부를 먼저 기소하고 나머지를 나중에 추가 기소한 것이 공소권 남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루고 있습니다.

#공소권 남용#소추재량권#기소#추가 기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