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행에관한이의

사건번호:

2018그692

선고일자:

20200417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집행관이 집행권원 및 수권결정에 따라 구체적·개별적으로 특정된 목적물을 조사하여 현황이 동일하고 집행하는 데 특별한 장애사유가 없는 경우, 집행에 나아가야 하는지 여부(적극) 및 목적물 중 일부에 대하여 집행이 가능한데도, 전체 목적물에 대하여 집행위임을 거부할 수 있는지 여부(원칙적 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집행법 제16조, 제260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특별항고인】 특별항고인 1 외 2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조율 담당변호사 김하늘) 【원심결정】 인천지법 부천지원 2018. 2. 22.자 2017타기320 결정 【주 문】 원심결정 중 원심결정 별지 목록 순번 1)항 기재 시설물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에 환송한다. 나머지 특별항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특별항고이유를 판단한다. 1. 집행관이 집행권원 및 그에 따른 대체집행 수권결정에 따라 집행행위를 하는 경우, 집행권원 및 수권결정에 구체적·개별적으로 특정된 목적물을 조사하여 현황이 동일하고 집행하는 데 특별한 장애사유가 없는 경우에는 집행에 나아가야 한다. 만일 목적물 중 일부에 대하여만 집행이 가능한 경우에는, 채권자가 그 일부 목적물에 대하여만 집행하기를 원하지 않는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집행이 가능한 목적물에 대하여 집행하여야 하고 전체 목적물에 대하여 집행위임을 거부할 수 없다. 2. 가. 기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1) 특별항고인들은 오리안 주식회사와 특별항고외인을 상대로 한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2015가단109753 판결 및 같은 법원 2017타기5018 대체집행 결정을 집행권원으로 하여 부천시 (지번 및 건물명 생략) 9층 근린생활시설에 있는 이 사건 시설물 등에 대한 철거집행을 집행관에게 위임하였다. 2)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 소속 집행관은 특별항고인들의 위임에 따라 2017. 11. 22. 인천지방법원 2017본2857호로 이 사건 시설물 등에 대해 철거집행을 하려고 하였으나, 집행권원에 표시된 시설물과 현장의 시설물에 차이가 있고 지하 1층의 시설물을 철거하더라도 반출할 수 없는 상태라는 점 등을 이유로 이 사건 시설물에 대한 철거집행을 실시하지 않았다. 3) 2017. 11. 22. 작성된 집행거절조서에는, ① 원심결정 별지 목록 순번 1)항 기재 지하 2층 시설물(이하 ‘지하 2층 시설물’이라 한다)은 실제 현황과 일치하고, ② 원심결정 별지 목록 순번 2)항 기재 지하 1층 시설물(이하 ‘지하 1층 시설물’이라 한다)은 현장의 시설물과 불일치하고, 보일러 설비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집행권원에 표시되지 않은 부분만 남겨두고 철거할 수 없으며, 지하 1층 사방이 벽면에 둘러싸여 출입구가 작아 벽면을 철거하지 않고 철거된 시설물을 반출할 수 없는 상태여서 집행을 개시하여도 집행을 종료할 수 없다는 취지로 기재되어 있다. 나. 지하 2층 시설물 부분에 관하여 살펴본다. 위와 같은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지하 2층 시설물의 현황은 집행권원에 기재된 것과 일치하고, 집행불능조서에 지하 2층 시설물에 대하여 집행장애사유가 있다거나 채권자가 지하 2층 시설물에만 강제집행하기를 원하지 않는다는 등의 내용을 발견할 수 없으므로, 집행관은 지하 2층 시설물에 대한 철거집행이 가능한 경우 그 부분에 한하여 집행하여야 하고 집행위임을 전부 거절할 수는 없다. 따라서 원심은 이 사건 시설물 중 지하 2층 시설물에 대하여 집행이 가능하였는지를 심리하였어야 한다. 그럼에도 원심은 특별항고인들의 이 사건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을 전부 기각하였다. 이러한 원심의 판단 중 지하 2층 시설물 부분은 특별항고인들의 적법한 절차에 따른 재판을 받을 권리를 침해하여 재판에 영향을 미친 헌법 위반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취지의 특별항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다. 지하 1층 시설물 부분에 관하여 살펴본다. 원심은 지하 1층 시설물의 현황이 집행권원에 특정된 것과 사회통념상 동일하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집행위임을 거절한 집행관의 행위에 잘못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에 특별항고이유와 같은 위법이 없다. 3. 그러므로 원심결정 중 지하 2층 시설물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며, 나머지 특별항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노정희(재판장) 박상옥(주심) 안철상 김상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건물 강제집행, 증축이나 부속건물도 포함될까?

집행권원에 없는 증축이나 부속건물이라도 주건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면 함께 강제집행 대상이 되고, 일부만 집행 가능하더라도 채권자가 원하지 않는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집행관은 가능한 부분에 대해 집행해야 한다.

#강제집행#증축#부속건물#부합물

민사판례

강제집행 취하 시 비용 부담, 누가 해야 할까?

강제집행이 채권자의 신청 취하 등으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종료된 경우, 발생한 비용을 무조건 채권자가 부담하는 것은 아니며, 법원이 상황에 따라 채무자에게도 일부 부담시킬 수 있다.

#강제집행#취하#비용부담#채권자

민사판례

미등기 건물 철거, 집행관의 의무는?

등기가 안 된 건물을 철거할 때, 집행관은 단순히 현재 건축주 명의만 볼 것이 아니라 실제 소유자가 누구인지 꼼꼼히 조사해야 합니다. 명의만 보고 철거를 거부하면 채권자는 이의신청을 통해 구제받을 수 있습니다.

#미등기 건물#철거#집행관#실제 소유자

형사판례

재개발 조합 업무방해? 강제집행 방해는 집행관 업무 방해!

재개발 구역 내 건물 소유자가 강제집행을 방해했더라도, 이는 집행관의 업무를 방해한 것이지 재개발조합의 업무를 방해한 것은 아니라는 대법원 판결.

#재개발#강제집행 방해#업무방해죄#집행관

민사판례

집행문 일부만 받을 수 있을까?

법원이 집행문을 내어줄 때, 돈을 받을 권리의 일부만 인정되는 경우에는 정확히 어느 부분까지 받을 수 있는지 집행문에 명확히 써야 한다.

#집행문#부여범위#특정#금액명시

민사판례

철거 집행, 집행관의 의무는? - 미등기 건물 철거 시 집행관의 확인 의무

법원이 건물 철거를 명령했더라도, 집행관은 철거 대상 건물이 실제로 채무자 소유인지, 그리고 다른 법적인 문제는 없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겉으로 보이는 상황만으로 철거 집행을 거부해서는 안 됩니다.

#미등기 건물#철거 집행#집행관#조사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