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법위반·사기

사건번호:

2018도3226

선고일자:

2021072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증거능력이 없어 증거로 채택되지 아니한 증거서류 또는 증거물에 대하여 법원이 취해야 할 조치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사소송규칙 제134조 제4항

참조판례

대법원 2012. 4. 26. 선고 2012도124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1 외 1인 【상 고 인】 피고인들 【변 호 인】 법무법인 윤 외 1인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18. 1. 25. 선고 2017노3445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 기재는 이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로 피고인들에 대한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원심판결의 이유를 관련 법리와 적법하게 채택된 증거에 따라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않은 채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약사 아닌 자의 약국 개설로 인한 약사법 위반죄와 사기죄의 성립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2. 형사소송규칙 제134조 제4항은 “법원은 증거신청을 기각·각하하거나 증거신청에 대한 결정을 보류하는 경우 증거신청인으로부터 당해 증거서류 또는 증거물을 제출받아서는 아니 된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법원은 증거능력이 없어 증거로 채택되지 아니한 증거서류 또는 증거물을 제출받아서는 안 되고, 일단 제출받은 경우에는 이를 증거신청인에게 반환하여야 한다(대법원 2012. 4. 26. 선고 2012도124 판결 등 참고). 그런데 제1심은 제4회 공판기일에 검사가 제출한 피고인들에 대한 각 경찰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하여 피고인들이 그 내용을 부인하고 있음을 이유로 증거신청을 기각하였음에도 위 각 증거를 검사에게 반환하지 아니한 채 증거기록에 그대로 편철하여 둠으로써 형사소송규칙 제134조 제4항을 위반하였고, 원심에서도 위와 같은 잘못은 그대로 유지하였다. 그러나 기록에 의하면, 제1심 및 원심은 증거로 채택되지 아니한 피고인들에 대한 각 경찰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하여 증거조사를 하지 아니하였고, 판결이유에서 유죄의 근거로 삼지도 않은 사실이 인정될 뿐만 아니라,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다른 증거들만으로도 피고인들에 대한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기에 충분하므로, 원심의 위와 같은 잘못이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민유숙(재판장) 조재연 이동원 천대엽(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검찰이 제출한 증거, 피고인이 부인하면 증거능력 없지만... 탄핵용으로는 쓸 수 있을까?

법정에서 피고인의 진술 신빙성을 떨어뜨리기 위해 사용하는 탄핵증거는 법정에서 증거조사를 거쳐야 합니다. 증거능력이 없는 경찰 작성 피의자신문조서라도, 임의성에 문제가 없다면 탄핵증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탄핵증거#피고인 진술#신빙성#증거능력

형사판례

경찰 조서, 그냥 믿으면 안 되는 이유

경찰이 작성한 진술조서는 법정에서 진술자가 그 내용이 맞다고 확인해야만 증거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진술자가 법정에서 경찰 조서 내용을 부인하면, 경찰관의 증언만으로는 증거가 될 수 없습니다. 또한 피고인이 경찰에서 자백했더라도 법정에서 부인하면 경찰관의 증언은 증거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경찰 진술조서#증거능력#법정 진술#부인

민사판례

위조된 서류를 증거로 인정해버린 판결, 뒤집히다!

원고가 위조라고 주장하는 서류를 피고가 제출했는데, 법원이 이를 진짜 서류로 보고 판결을 내렸다가 대법원에서 파기되었습니다.

#위조서류#증거오인#판결파기#환송

형사판례

증인 소환 못하면 경찰 조서, 증거로 쓸 수 없을까?

피해자를 법정에 부르기 위한 충분한 노력 없이, 경찰에서 작성된 피해자 진술조서만을 증거로 유죄 판결을 내린 것은 잘못되었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증인소환#경찰진술조서#유죄판결#위법

형사판례

공판조서 열람·등사를 거부당했을 때, 그 내용을 증거로 쓸 수 있을까?

피고인이 재판 기록 열람·복사를 요청했는데 법원이 거부했을 경우, 그 기록에 있는 피고인이나 증인의 진술을 유죄의 증거로 쓸 수 없다. 하지만 다른 충분한 증거가 있고, 기록 열람·복사 거부가 피고인의 방어권을 심각하게 해치지 않았다면, 판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본다.

#공판조서#열람·등사 거부#증거능력#방어권

형사판례

경찰 조서, 법정에서 부인하면 증거능력 없다!

경찰 조사에서 범행을 자백했더라도 법정에서 부인하면 그 조서는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설령 경찰관이 법정에서 "피고인이 경찰서에서 자백했고, 조서 내용도 확인했다"라고 증언해도 마찬가지입니다.

#경찰조서#증거능력#법정부인#형사소송법 제312조 제2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