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

사건번호:

2019다301623

선고일자:

2020082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구 국세기본법 제26조의2 제1항 제1호에서 정한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의 의미 및 단순히 세법상 신고를 하지 않거나 허위의 신고를 한 행위가 이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2] 명의를 위장하여 소득을 얻는 행위가 구 국세기본법 제26조의2 제1항 제1호에서 정한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해당하는 경우

판결요지

[1] 구 국세기본법(2008. 12. 26. 법률 제92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26조의2 제1항은 원칙적으로 국세의 부과제척기간을 5년으로 규정하고 있으나(제3호), ‘납세자가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로써 국세를 포탈하거나 환급·공제받은 경우’에는 그 부과제척기간을 당해 국세를 부과할 수 있는 날부터 10년으로 연장하고 있다(제1호). 위 조항의 입법 취지는 조세법률관계의 신속한 확정을 위하여 원칙적으로 국세 부과권의 제척기간을 5년으로 하면서도 국세에 관한 과세요건사실의 발견을 곤란하게 하거나 허위의 사실을 작출하는 등의 부정한 행위가 있는 경우에 과세관청으로서는 탈루신고임을 발견하기가 쉽지 아니하여 부과권의 행사를 기대하기가 어려우므로 당해 국세에 대한 부과제척기간을 10년으로 연장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구 국세기본법 제26조의2 제1항 제1호의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라 함은 조세의 부과와 징수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현저히 곤란하게 하는 위계 기타 부정한 적극적인 행위를 말하고, 다른 어떤 행위를 수반함이 없이 단순히 세법상의 신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허위의 신고를 함에 그치는 것은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다. [2] 명의를 위장하여 소득을 얻더라도 그것이 조세포탈과 관련이 없는 행위인 때에는 명의위장 사실만으로 구 국세기본법(2008. 12. 26. 법률 제92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6조의2 제1항 제1호의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으나, 명의위장이 누진세율 회피, 수입의 분산, 감면특례의 적용, 세금 납부를 하지 아니할 무자력자의 명의사용 등과 같이 조세회피의 목적에서 비롯되고 나아가 여기에 허위 매매계약서의 작성과 대금의 허위지급, 허위의 양도소득세 신고, 허위의 등기·등록, 허위의 회계장부 작성·비치 등과 같은 적극적인 행위까지 부가된다면 이는 조세의 부과와 징수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현저히 곤란하게 하는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해당한다.

참조조문

[1] 구 국세기본법(2008. 12. 26. 법률 제92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6조의2 제1항 제1호(현행 제26조의2 제2항 제2호 참조), 제3호(현행 제26조의2 제1항 참조) / [2] 구 국세기본법(2008. 12. 26. 법률 제92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6조의2 제1항 제1호(현행 제26조의2 제2항 제2호 참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13. 12. 12. 선고 2013두7667 판결(공2014상, 196)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백제흠 외 4인) 【피고, 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9. 11. 20. 선고 2018나203865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구 국세기본법(2008. 12. 26. 법률 제926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26조의2 제1항은 원칙적으로 국세의 부과제척기간을 5년으로 규정하고 있으나(제3호), ‘납세자가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로써 국세를 포탈하거나 환급·공제받은 경우’에는 그 부과제척기간을 당해 국세를 부과할 수 있는 날부터 10년으로 연장하고 있다(제1호). 위 조항의 입법 취지는 조세법률관계의 신속한 확정을 위하여 원칙적으로 국세 부과권의 제척기간을 5년으로 하면서도 국세에 관한 과세요건사실의 발견을 곤란하게 하거나 허위의 사실을 작출하는 등의 부정한 행위가 있는 경우에 과세관청으로서는 탈루신고임을 발견하기가 쉽지 아니하여 부과권의 행사를 기대하기가 어려우므로 당해 국세에 대한 부과제척기간을 10년으로 연장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구 국세기본법 제26조의2 제1항 제1호의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라 함은 조세의 부과와 징수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현저히 곤란하게 하는 위계 기타 부정한 적극적인 행위를 말하고, 다른 어떤 행위를 수반함이 없이 단순히 세법상의 신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허위의 신고를 함에 그치는 것은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다. 한편 명의를 위장하여 소득을 얻더라도 그것이 조세포탈과 관련이 없는 행위인 때에는 명의위장 사실만으로 구 국세기본법 제26조의2 제1항 제1호의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으나, 명의위장이 누진세율 회피, 수입의 분산, 감면특례의 적용, 세금 납부를 하지 아니할 무자력자의 명의사용 등과 같이 조세회피의 목적에서 비롯되고 나아가 여기에 허위 매매계약서의 작성과 대금의 허위지급, 허위의 양도소득세 신고, 허위의 등기·등록, 허위의 회계장부 작성·비치 등과 같은 적극적인 행위까지 부가된다면 이는 조세의 부과와 징수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현저히 곤란하게 하는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해당한다(대법원 2013. 12. 12. 선고 2013두7667 판결 등 참조). 2.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원고에게 이 사건 간주배당소득에 대한 조세포탈의 목적이 일부 있었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피고가 주장하는 사정만으로는 원고가 소외인에 대한 명의위장 외에 적극적인 행위를 하였다고 인정하기 어렵고, 달리 이를 인정할 만한 특별한 사정이 인정되지 않으므로, 이 사건 간주배당소득에 관한 종합소득세에는 구 국세기본법 제26조의2 제1항 제1호에서 정한 10년의 제척기간이 아니라 같은 항 제3호에서 정한 5년의 제척기간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구 국세기본법 제26조의2 제1항 제1호의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에 관한 법리오해, 실질과세원칙 및 탈루소득의 귀속에 관한 심리미진의 잘못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권순일(재판장) 이기택 박정화(주심)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덜 내려고 명의 빌려 거래하면 어떻게 될까? - 10년 세금 추징 주의!

회사가 세금을 줄이기 위해 부당행위계산부인 대상이 아닌 타인 명의로 거래하고 이를 숨기려 적극적으로 서류를 조작하면, 단순히 세금 신고를 잘못한 경우보다 더 심각한 '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로 보아 세금 부과 제척기간이 5년에서 10년으로 늘어난다는 판례입니다.

#명의신탁#부당행위계산부인#부과제척기간#사기 기타 부정한 행위

세무판례

가짜 거래로 세금 덜 냈다면? 10년 동안 세무조사 받을 수 있어요!

실제 거래 없이 발행된 가짜 세금계산서를 이용하여 부가가치세를 부당하게 공제받거나 법인세를 탈루한 경우, 단순히 세금 신고를 잘못한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탈세 행위로 볼 수 있어 10년의 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가짜 세금계산서#법인세 탈루#부과제척기간 10년#사기

세무판례

부동산 무상사용에 따른 종합소득세, 7년의 부과제척기간 적용!

특수관계자에게 부동산을 무상으로 사용하게 하고 소득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종합소득세 부과제척기간은 7년이다.

#부동산 무상사용#종합소득세#부과제척기간 7년#특수관계자

세무판례

주식 명의신탁과 세금, 10년 세금폭탄 피하려면?

단순 명의신탁만으로는 조세 포탈을 위한 부정행위로 보기 어려워 10년의 부과제척기간(세금 부과 가능 기간)이 아닌 5년을 적용해야 한다는 판결.

#명의신탁#주식#양도소득세#부과제척기간

세무판례

상속세 폭탄?! 명의신탁 재산과 부과제척기간에 대한 오해와 진실

돌아가신 분(피상속인)이 다른 사람 이름으로 재산을 등기해 놓은 경우(명의신탁), 그 재산은 상속재산에 포함되며, 상속세 신고 누락 시 제척기간이 10년으로 연장된다는 판결입니다. 명의수탁자에게 증여세가 부과되었더라도 해당 재산은 여전히 피상속인의 상속재산으로 봐야 합니다.

#명의신탁#상속세#제척기간(10년)#증여세

세무판례

조세피난처 이용과 실질과세 원칙, 그리고 부과제척기간

원고가 조세피난처에 설립한 회사들을 이용하여 소득을 해외로 이전하고, 차명계좌를 사용하여 소득세 납부를 회피한 사건에서, 실질과세 원칙에 따라 과세 대상을 판단하고 부과제척기간 적용 및 납세고지서 기재방식의 적법성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조세피난처#소득은닉#실질과세#부과제척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