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기)

사건번호:

2020다240304

선고일자:

202205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분적인 내용들로 이루어진 건축설계계약에서 설계도서 등이 완성되어 건축주에게 교부되고 설계비 중 상당 부분이 지급되었으며 설계도서 등에 따른 건축공사가 상당한 정도로 진척된 후 건축사와 건축주 사이의 건축설계계약관계가 해소된 경우, 위 설계도서 등에 관한 이용권이 건축주에게 유보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법 제664조, 저작권법 제4조 제1항 제5호, 제46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0. 6. 13. 자 99마7466 결정(공2000하, 1817)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차연) 【피고, 피상고인】 피고 1 외 2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현덕규) 【원심판결】 제주지법 2020. 6. 3. 선고 2019나12589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저작재산권 침해 관련 상고이유에 대하여 가. 가분적인 내용들로 이루어진 건축설계계약에 있어서 설계도서 등이 완성되어 건축주에게 교부되고 그에 따라 설계비 중 상당 부분이 지급되었으며 그 설계도서 등에 따른 건축공사가 상당한 정도로 진척되어 이를 중단할 경우 중대한 사회적·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고 완성된 부분이 건축주에게 이익이 되는 경우에는 건축사와 건축주와의 사이에 건축설계계약관계가 해소되더라도 일단 건축주에게 허락된 설계도서 등에 관한 이용권은 여전히 건축주에게 유보되어 있다(대법원 2000. 6. 13. 자 99마7466 결정 참조). 나. 원심은 다음과 같이 판단하였다. ① 건축사인 원고는 건축주인 피고 1 및 그 모친인 피고 2에게 이 사건 설계계약 및 시공관리계약에 따라 이 사건 설계도서를 작성·제공하여 이에 대한 이용을 허락하였다. ② 위 계약이 파기되었더라도 약 95%의 건축공사가 진행된 이상 위 계약에 따라 피고 1에게 부여된 이 사건 설계도서에 관한 이용권한은 여전히 피고 1에게 유보되어 있으므로, 이후 피고 1이 원고의 동의 없이 설계자 및 감리자를 피고 3으로 변경하여 건축공사를 마무리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로 인해 원고의 이 사건 설계도서에 대한 저작재산권이 침해되었다고 볼 수 없다. 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판결 이유에 일부 부적절한 부분이 있으나,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고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저작재산권의 양도 및 이용허락에 관한 법령 위반, 저작재산권의 침해에 관한 법리오해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2. 저작인격권 침해 관련 상고이유에 대하여 관련 법리 및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판결 이유에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으나, 피고들에 의한 이 사건 설계도서에 관한 원고의 저작인격권 침해를 부정한 원심의 결론은 정당하고,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고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저작인격권 침해에 관한 법리오해 등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노태악(재판장) 박정화(주심) 김선수 오경미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건축설계 계약 해지 후 설계도면 사용권은 누구에게?

건축설계계약이 중도에 해지되더라도, 이미 상당 부분 설계가 진행되고 공사가 진행된 경우 건축주는 설계도면을 계속 사용할 권리가 있다.

#건축설계계약 해지#설계도서 이용권#건축주 권리#저작권

민사판례

건축공사 도중 계약 해지, 어떻게 해결될까요?

건축공사가 상당히 진행된 후 계약이 해지되면, 완성된 부분만큼 건축주는 건설사에 비용을 지급해야 합니다.

#건축공사#계약해지#공사비지급#부분완성

민사판례

건축 설계도서, 저작권 침해로 손해배상 인정된 사례

건축사 A가 설계한 다가구주택 도면을 건축주 B와 다른 건축사 C가 무단으로 일부 수정하여 다른 건물을 지은 경우, A의 저작권을 침해한 것으로 인정되어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건축 설계도면도 창작성이 인정되면 저작권으로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건축설계도면#저작권#저작권침해#손해배상

형사판례

공사 중단, 자재 이동, 그리고 건설업 위반 논란

건축주가 공사계약을 해제한 후 남은 자재를 옮긴 행위는 업무방해가 아니며, 대부분 완료된 건물의 단순 마무리 공사는 건설업 면허가 없어도 가능하다. 하지만 옥상 조경 미비는 건축법 위반이다.

#공사계약 해제#자재 이동#업무방해#잔여공사

민사판례

리스계약 해지와 책임, 건축주는 얼마나 책임져야 할까?

건축주가 리스회사를 통해 공사대금을 조달하는 리스계약을 맺었으나, 공사업자가 공사를 중단하고 건축주가 다른 업체로 공사를 마무리하면서 리스회사와 분쟁이 발생한 사건. 법원은 건축주가 리스계약을 위반했으므로 리스회사에 손해배상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리스계약#해지#손해배상#건축주

일반행정판례

업무정지 기간 끝났는데, 왜 소송을 할 수 있을까?

건축사 업무정지 명령의 기간이 끝났더라도, 그 명령 때문에 건축사 사무소 등록이 취소됐다면 업무정지 명령 취소 소송을 낼 수 있다.

#건축사#업무정지#등록취소#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