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위반

사건번호:

2020도10392

선고일자:

202304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甲 의료재단 산하 乙 요양병원 대표인 피고인이 퇴직근로자들의 임금을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하지 아니하고, 근로자들과 근로계약을 체결하면서 근로조건을 명시한 서면을 교부하지 아니하였다고 하여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피고인은 甲 재단을 매입하고 대표권 있는 이사로 취임한 후 그 산하에 있는 乙 병원의 운영 전반을 관장하면서 근로자들을 채용하고 급여를 지급하는 등 사업을 경영하여 왔으므로, 甲 재단의 사업경영에 관한 책임과 권한을 실질적으로 행사한 피고인은 사업 경영 담당자로서 근로기준법상 ‘사용자’에 해당하고, 사후에 피고인을 甲 재단의 이사로 선임한 이사회 결의가 무효임을 확인하는 판결이 선고·확정되었더라도 달리 볼 수 없다는 이유로, 피고인을 근로기준법상 ‘사용자’로 보아 유죄를 인정한 원심판단이 정당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2호, 제17조, 제36조, 제109조 제1항, 제114조 제1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춘천지법 2020. 7. 17. 선고 2019노12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들에 의하면, 피고인은 의료법인 ○○의료재단을 매입하고 대표권 있는 이사로 취임한 후, 그 산하에 있는 △△요양병원의 운영 전반을 관장하면서 근로자들을 채용하고 급여를 지급하는 등 그 사업을 경영하여 온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법인 ○○의료재단의 사업경영에 관한 책임과 권한을 실질적으로 행사한 피고인은 사업 경영 담당자로서 근로기준법이 정한 사용자에 해당하고, 사후에 피고인을 의료법인 ○○의료재단의 대표권 있는 이사로 선임한 이사회 결의가 무효임을 확인하는 판결이 선고되어 확정되었다고 하여 달리 볼 수 없다. 따라서 원심이 피고인을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사용자로 보아 유죄로 인정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반, 심리미진, 근로기준법상 사용자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잘못이 없다. 그리고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4호에 의하면, 사형,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가 선고된 사건에서만 양형부당을 이유로 한 상고가 허용된다. 피고인에 대하여 그보다 가벼운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 형이 너무 무거워 부당하다는 취지의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흥구(재판장) 안철상(주심) 노정희 오석준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회사 대표가 실제로 일을 안 했어도 임금 체불 책임을 져야 할까요?

회사 대표이사가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권한을 위임했다고 하더라도, 근로자에 대한 책임(예: 임금 지급)은 여전히 대표이사에게 있다.

#대표이사#권한 위임#사용자 책임#임금 지급

형사판례

회사 이사도 근로기준법상 '사용자'일까?

회사 이사가 근로자 고용, 급여 지급 등 실질적으로 근로자 관련 업무를 처리했다면, 근로기준법상 '사용자'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즉, 대표이사뿐 아니라 이사도 근로기준법 위반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사#근로기준법#사용자#책임

형사판례

사장님이 대표 자리에서 물러나도 여전히 사장님? - 근로기준법상 사용자

명목상으로 대표이사에서 물러났더라도 실제로는 회사를 지배하고 경영하는 사람은 근로기준법상 '사용자'로서 책임을 져야 한다.

#사용자#실질적 경영권#대표이사 사임#근로기준법

형사판례

회사가 어려워도 임금은 꼭 줘야 할까? - '사용자'의 책임과 임금 체불

등기부상 대표이사에서 사임했더라도 실제로 회사를 경영하면 근로기준법상 '사용자'로서 임금 체불 등에 대한 책임을 진다. 또한, 회사 이사라도 실제로 근로를 제공하고 급여를 받았다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인정될 수 있다.

#사용자#근로자#임금체불#대표이사

민사판례

사무장 병원 직원의 임금, 누가 줘야 할까요?

의료인이 아닌 사람이 의사 명의를 빌려 운영하는 불법 '사무장 병원'에서, 비록 근로계약은 의사 명의로 체결되었더라도 실제로 병원을 운영하고 직원들을 관리한 사람이 임금과 퇴직금을 지급해야 한다.

#사무장 병원#실질적 운영자#임금 지급 의무#퇴직금 지급 의무

형사판례

폐업 상가 운영위 대표, 직원 임금 체불에도 무죄?

경영 악화로 임금을 체불한 상가 운영위원회 대표에게 법원이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회사가 어려워 임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경우라도, 경영자가 최선을 다했음에도 불구하고 임금 체불을 피할 수 없었다면 책임을 묻기 어렵다는 판단입니다.

#임금체불#무죄#상가운영위원회#경영악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