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상해·업무방해·폭행·모욕

사건번호:

2020도355

선고일자:

202003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형사소송법 제457조의2 제1항에서 규정한 정식재판청구 사건에서의 형종 상향 금지의 원칙은 피고인이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과 다른 사건이 병합·심리된 후 경합범으로 처단되는 경우에도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에 대하여 그대로 적용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형사소송법 제457조의2 제1항은 “피고인이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에 대하여는 약식명령의 형보다 중한 종류의 형을 선고하지 못한다.”라고 규정하여, 정식재판청구 사건에서의 형종 상향 금지의 원칙을 정하고 있다. 위 형종 상향 금지의 원칙은 피고인이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과 다른 사건이 병합·심리된 후 경합범으로 처단되는 경우에도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에 대하여 그대로 적용된다.

참조조문

형법 제37조, 형사소송법 제457조의2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2020. 1. 9. 선고 2019도15700 판결(공2020상, 510)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김봉직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19. 12. 12. 선고 2019노2969, 3280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중앙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직권으로 판단한다. 1. 형사소송법 제457조의2 제1항은 “피고인이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에 대하여는 약식명령의 형보다 중한 종류의 형을 선고하지 못한다.”라고 규정하여, 정식재판청구 사건에서의 형종 상향 금지의 원칙을 정하고 있다. 위 형종 상향 금지의 원칙은 피고인이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과 다른 사건이 병합·심리된 후 경합범으로 처단되는 경우에도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에 대하여 그대로 적용된다(대법원 2020. 1. 9. 선고 2019도15700 판결 참조). 2. 기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가. 서울중앙지방법원은 2019. 9. 5. 피고인에 관한 위 법원 2019고단1760 사건(이하 ‘제1사건’이라고 한다)에서 각 사기죄, 상해죄, 업무방해죄에 대하여 유죄로 인정하고 징역 1년 2월을 선고하였다. 나. 서울중앙지방법원은 2018. 11. 26. 피고인에 대하여 폭행죄, 모욕죄로 벌금 300만 원의 약식명령을 하였고 이후 피고인의 정식재판회복청구가 받아들여진 위 법원 2019고정1468 사건(이하 ‘제2사건’이라고 한다)에서 2019. 9. 26. 위 각 죄에 대하여 유죄로 인정되어 벌금 300만 원이 선고되었다. 다. 원심은 2019. 12. 12. 제1사건의 항소사건과 제2사건의 항소사건이 병합되었음을 이유로 위 제1심판결들을 모두 파기한 다음, 위 각 죄에 대하여 유죄로 인정하고 징역형을 각 선택한 후 누범가중과 경합범가중을 하여 그 처단형의 범위 안에서 피고인에게 징역 1년 2월을 선고하였다. 3. 위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제2사건은 피고인만이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이므로 형종 상향 금지의 원칙에 따라 그 각 죄에 대하여는 약식명령의 벌금형보다 중한 종류의 형인 징역형을 선택하지 못하고, 나아가 제2사건이 항소심에서 제1사건과 병합·심리되어 경합범으로 처단되더라도 제2사건에 대하여는 징역형을 선고하여서는 아니 된다. 그런데도 원심은 제2사건의 항소심에서 각 죄에 대하여 약식명령의 벌금형보다 중한 종류의 형인 징역형을 선택한 다음 경합범가중 등을 거쳐 제1사건의 각 죄와 제2사건의 각 죄에 대하여 하나의 징역형을 선고하고 말았다.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형사소송법 제457조의2 제1항에서 정한 형종 상향 금지의 원칙을 위반한 잘못이 있다. 4. 그러므로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재형(재판장) 민유숙 이동원(주심) 노태악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약식명령에 불복해서 정식재판 갔는데, 오히려 형량이 더 무거워진다면?

약식명령을 받고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이 다른 사건과 병합되어 심리될 경우에도,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에 대해서는 약식명령보다 무거운 형벌을 줄 수 없다는 원칙을 재확인한 판례입니다. 이는 벌금형을 받고 정식재판을 청구하여 항소심에 계류 중인 사건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약식명령#정식재판#형량상향금지#병합심리

형사판례

약식명령 받고 정식재판 갔더니 징역형? 이건 불법입니다!

벌금형을 받은 피고인이 정식재판을 청구했는데, 법원이 벌금보다 무거운 징역형을 선고한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

#약식명령#정식재판#형량증가금지#징역형

형사판례

검사도 정식재판 청구하면 형량이 올라갈 수 있다?

약식명령에 불복하여 검사도 정식재판을 청구한 경우, 법원은 약식명령보다 더 무거운 형벌을 선고할 수 있다.

#약식명령#정식재판#검사#형량증가

형사판례

약식명령에 대한 정식재판 청구 시 불이익 변경 금지 원칙

약식명령을 받고 정식재판을 청구했는데, 다른 사건과 병합 심리 후 무죄 판결을 받은 경우에도 원래 약식명령보다 더 무거운 형벌을 받으면 불이익변경금지 원칙에 위배된다는 판례입니다.

#약식명령#정식재판#불이익변경금지원칙#병합심리

형사판례

약식명령, 정식재판 청구, 그리고 선거운동

약식명령을 받고 정식재판을 청구한 사건이 다른 사건과 병합 심리되어 경합범으로 처단될 경우, 불이익 변경 여부는 단순히 약식명령의 형과 선고형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병합된 사건의 법정형, 선고형 등 피고인의 법률상 지위를 결정하는 모든 객관적 사정을 전체적·실질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약식명령#정식재판#병합심리#불이익변경금지

형사판례

벌금형에서 징역형으로? 정식재판 청구 시 불이익 변경 금지 원칙!

벌금형에 불복하여 정식재판을 청구했는데, 다른 사건과 병합심리 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면, 불이익변경금지원칙 위반으로 판결이 파기될 수 있다.

#불이익변경금지원칙#정식재판#벌금형#징역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