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훼손ㆍ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명예훼손)

사건번호:

2020도8780

선고일자:

202101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대안학교에서 영어 교과를 담당하는 피고인이 교장 甲이 정신과를 다닌다는 내용의 발언을 하거나 甲이 학교 재산을 횡령하였다는 내용의 글을 게시하여 명예훼손,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명예훼손)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피고인은 甲을 속이고 자신이 별도로 운영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등 업체가 사용권이 있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면서 이용료를 학생들로부터 지급받은 문제 등으로 甲과 대립하면서 학교 운영의 정상화나 학생의 학습권 보장 등의 목적이 아니라 본인의 이익을 추구할 목적으로 甲을 비난하는 내용의 위와 같은 행위를 하였다고 보아, 같은 취지에서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법 제307조 제1항, 제310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70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법무법인 리앤리파트너즈 담당변호사 이진우 외 3인 【원심판결】 의정부지법 2020. 6. 18. 선고 2018노151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은, 피해자가 정신과를 다닌다는 내용의 이 사건 발언에 대하여는 극히 사적인 개인의 신상에 관한 것이고, 이 사건 발언을 통하여 학교 운영 정상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 등을, 피해자가 학교 재산을 횡령하였다는 내용의 이 사건 글 게시에 대하여는 이 사건 글의 객관적인 의미와 이에 관한 실상의 불일치의 정도가 크고, 피고인이 학교 운영과 관련하여 피해자와 다툼을 벌이던 중 피해자에 대하여 한 공격이라는 이유 등을 각 들어 공공의 이익에 관한 것이거나 비방할 목적이 없었다는 피고인의 주장을 배척하고, 이 사건 각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하였다. 관련 법리와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에 비추어 살펴보면, 대안학교의 영어 교과를 담당하던 피고인이 교장인 피해자를 속이고 자신이 별도로 운영하는 교육 콘텐츠 제공 등 업체가 사용권이 있는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면서 청구할 필요 없는 이용료를 학생들로부터 지급받은 문제 등으로 피해자와 대립하면서 학교 운영의 정상화나 학생의 학습권 보장 등의 목적이 아니라 본인의 이익을 추구할 목적으로 피해자를 비난하는 내용의 공소사실 기재 발언 게시행위를 하였다고 보여지는 이 사건에서, 같은 취지의 원심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형법 제310조가 정한 ‘공공의 이익’,「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제70조 제1항이 정한 ‘비방할 목적’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거나 판단누락의 잘못 등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노태악(재판장) 김재형 민유숙(주심) 이동원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여고생 퇴학처분 부당함 알린 교사, 명예훼손 아니다?

고등학교 교사가 여학생 퇴학처분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인터넷에 글을 올린 행위는 공익을 위한 것이므로 명예훼손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대법원 판결.

#여학생#퇴학처분#부당함#교사

형사판례

학교 정상화를 위한 유인물 배포, 명예훼손일까?

학교법인 정상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교장들의 자격과 과거 징계 사실 등을 적시한 유인물을 배포한 행위가 명예훼손에 해당하는지,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었다면 위법성이 조각되는지 여부

#명예훼손#유인물#학교법인#정상화

민사판례

초등학교 교사 체벌 사건, 명예훼손은 성립될까?

초등학교 교사가 학생 체벌 후 사과와 합의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 신문 기자가 사실 확인 없이 교사를 비난하는 기사를 써서 명예훼손으로 손해배상 책임을 지게 된 사례. 기사에서 교사의 실명을 밝히지 않았더라도 누구를 지칭하는지 알 수 있으면 명예훼손이 성립한다는 점도 확인됨.

#초등교사#체벌#명예훼손#신문보도

형사판례

인터넷에서 거짓 정보를 퍼뜨렸다고 다 명예훼손일까?

인터넷에 거짓 사실을 올렸더라도 비방 목적이 없다면 명예훼손으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검찰은 거짓 사실 유포와 비방 목적 모두를 입증해야 함.

#인터넷 명예훼손#비방 목적#거짓 사실#무죄

형사판례

기자에게 한 말, 명예훼손일까? 전파 가능성과 고의의 판단

대학교 사무처장이 기자에게 교수들의 사생활에 대한 허위 사실을 이야기한 행위가 명예훼손죄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비록 한 사람에게 이야기했더라도 전파 가능성이 있다면 명예훼손죄의 공연성이 인정될 수 있다고 판단하며 원심을 파기환송했습니다.

#명예훼손#사무처장#교수#비방

형사판례

인터넷 명예훼손, 누가 입증해야 할까?

인터넷 게시판에 유학원에 대한 부정적인 글을 올린 피고인이 명예훼손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대법원은 검사가 글의 허위성을 충분히 입증하지 못했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돌려보냈습니다. 즉, 인터넷 명예훼손에서 허위사실 적시에 대한 입증 책임은 검사에게 있고, 피고인이 진실을 증명하지 못했다는 이유만으로 유죄로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인터넷 명예훼손#허위사실 입증책임#검사#비방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