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주식매매대금반환)

사건번호:

2022다286335

선고일자:

2024010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불법행위로 인한 재산상 손해의 의미 및 손해액 산정의 기준 시점(=불법행위 시) / 특정 주식의 가격상승 등에 관한 기망으로 이를 매수하게 하는 불법행위가 있었으나 해당 주식이 매수 전후 정상적인 거래의 대상이었고 기망이 없었다면 이를 매수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는 경우, 불법행위로 인한 재산상 손해(=주식의 매수대금에서 취득 당시 객관적인 가액 상당을 공제한 차액)

판결요지

불법행위로 인한 재산상 손해는 위법한 가해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재산상 불이익, 즉 위법행위가 없었더라면 존재하였을 재산상태와 위법행위가 가해진 시점의 재산상태의 차이를 의미하고, 그 손해액은 원칙적으로 불법행위 시를 기준으로 산정하여야 한다. 이는 특정 주식의 가격상승 등에 관한 기망으로 이를 매수하게 한 것이 불법행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므로, 해당 주식이 매수 전후에 정상적인 거래의 대상이었고 기망이 없었다면 이를 매수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면, 불법행위로 인한 재산상 손해는 주식의 매수대금에서 취득 당시 객관적인 가액 상당을 공제한 차액이라고 볼 수 있다.

참조조문

민법 제393조, 제76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2. 6. 23. 선고 91다33070 전원합의체 판결(공1992, 2235), 대법원 1997. 10. 28. 선고 97다26043 판결(공1997하, 3627), 대법원 2000. 11. 10. 선고 98다39633 판결(공2001상, 6), 대법원 2010. 4. 29. 선고 2009다91828 판결(공2010상, 990)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피고, 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원희) 【원심판결】 수원지법 2022. 10. 14. 선고 2021나90763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수원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불법행위로 인한 재산상 손해는 위법한 가해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재산상 불이익, 즉 위법행위가 없었더라면 존재하였을 재산상태와 위법행위가 가해진 시점의 재산상태의 차이를 의미하고(대법원 1992. 6. 23. 선고 91다33070 전원합의체 판결, 대법원 2000. 11. 10. 선고 98다39633 판결 등 참조), 그 손해액은 원칙적으로 불법행위 시를 기준으로 산정하여야 한다(대법원 1997. 10. 28. 선고 97다26043 판결, 대법원 2010. 4. 29. 선고 2009다91828 판결 등 참조). 이는 특정 주식의 가격상승 등에 관한 기망으로 이를 매수하게 한 것이 불법행위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므로, 해당 주식이 매수 전후에 정상적인 거래의 대상이었고 기망이 없었다면 이를 매수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면, 불법행위로 인한 재산상 손해는 주식의 매수대금에서 취득 당시 객관적인 가액 상당을 공제한 차액이라고 볼 수 있다. 2. 원심판결 이유 및 기록에 따르면, ① 원고는 피고가 (채널명 생략) 등에 출연한 것을 계기로 피고를 신뢰하기 시작하여 2015. 4.경 피고가 진행하는 증권방송에 평생회원 가입비 약 1,300만 원을 지급한 후 회원으로 가입한 사실, ② 원고는 그 무렵부터 약 1년 이상 동안 피고가 추천한 종목 중 총 19개 회사의 장외주식(4억 원 상당)을 매수하였다고 주장하면서도, 그중 3개 회사의 장외주식인 이 사건 주식의 매수에 한정하여 이 사건 소를 제기한 사실, ③ 원고는 2015. 4. 29.경부터 2015. 10. 29.경까지 피고가 실질적으로 운영하던 회사(이하 ‘소외 회사’라 한다)로부터 여러 차례 이 사건 주식을 매수하였고, 매수대금으로 총 1억 1,095만 원을 지급한 사실, ④ 원고는 이 사건 주식 중 ‘(주식명 1 생략)’ 주식 500주를 주당 평균 약 15만 원, ‘(주식명 2 생략)’ 주식 10주를 주당 320만 원, ‘(주식명 3 생략)’ 주식 3주를 주당 125만 원에 매수한 사실, ⑤ 소외 회사는 제3자로부터 이 사건 주식을 매수한 후 원고에게 이를 매도하였는데, 소외 회사가 매수한 주당 가격은 ‘(주식명 1 생략)’ 주식은 평균 약 10만 원, ‘(주식명 2 생략)’ 주식은 약 250만 원, ‘(주식명 3 생략)’ 주식은 77만 5,000원으로, 소외 회사는 그 차액 상당의 이익만을 취득한 것으로 보이는 사실, ⑥ 원고도 피고 측이 이 사건 주식을 제3자로부터 매수한 가격에 최소의 이윤을 더한 ‘적정가격’으로 이를 매도하였어야 함에도 허위 정보를 제공하고 높은 가격으로 매도하여 손해가 발생하였다고 주장하면서 이 사건 소를 제기하는 한편, 이 사건 주식 자체의 반환 의사를 명시적으로 밝히면서도 이 사건 주식의 매수 시점 및 변론종결 무렵의 시가에 관한 재판부의 석명에 불응하면서 시가 관련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사실이 인정된다. 3. 앞서 본 법리와 위 인정 사실에서 알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사정을 더하여 보면, 이 사건 주식의 매수 관련 원고의 손해액 산정에 관한 원심의 판단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수긍하기 어렵다. 가. 이 사건 주식을 포함하여 원고가 매수한 전체 장외주식의 거래기간과 거래규모, 피고 측이 이 사건 주식에 해당하는 3개 회사의 장외주식을 매수한 시점과 그 당시 주당 평균 매수가격, 원고가 이 사건 주식 매매거래의 상대방인 소외 회사가 아닌 피고를 상대로 이 사건 주식의 매수로 인한 손해를 구하면서도 이 사건 주식의 객관적인 가치에 관한 자료의 제출요구에 불응함으로써 이 사건 주식의 매수 및 보유기간 전체에 걸친 손실의 발생 여부 및 정도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게 된 점 등을 더하여 보면, 피고의 불법행위는 원고가 이 사건 주식을 차익 실현의 목적으로 매수함에 있어 원고를 기망하여 소외 회사로부터 이 사건 주식을 객관적 가치보다 높은 가격으로 매수하게 한 것에 있다고 봄이 타당하다. 나. 피고의 이 사건 주식 추천이 불법행위에 해당하더라도, 그로 인하여 원고가 소외 회사로부터 이 사건 주식을 매수함으로써 입은 재산상 손해를 이 사건 주식의 매수 그 자체라거나 그 매수대금 전액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고, 오히려 그와 같이 산정하게 되면 원고가 이 사건 주식을 매수함으로써 그 당시 시가 상당의 이익을 실질적으로 취득하였음에도 이 사건 주식의 매수대금 전액이 재산상 손해로 인정됨에 따라 과잉배상이 될 가능성마저 많아 보이므로, 불법행위 시인 원고가 이 사건 주식을 매수한 시점의 재산상 손해는 이 사건 주식의 매수대금과 당시 이 사건 주식의 객관적 가치와의 차액이라고 볼 수 있다. 다. 그럼에도 원심은 피고의 기망행위가 없었다면 원고가 이 사건 주식을 매수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단정한 후, 피고의 기망행위로 인한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액을 이 사건 주식 매수대금 전액으로 보았는바,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의 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4.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권영준(재판장) 이동원 천대엽(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주가조작으로 손해봤어요! 배상은 어떻게 받나요?

회사가 거짓 정보를 퍼뜨려 주식 가격이 부풀려졌고, 이로 인해 투자자가 손해를 입었다면, 회사는 투자자에게 손해를 배상해야 합니다. 손해액은 거짓 정보가 없었을 경우의 주가와 실제 투자자가 산 주가의 차액으로 계산합니다.

#허위정보#주식투자#손해배상#정상주가

민사판례

주가조작으로 손해봤다면? 손해배상 받는 방법!

주가조작으로 손해를 본 투자자는 조작된 주가와 조작이 없었을 경우의 주가(정상주가) 차액을 배상받을 수 있습니다. 정상주가는 금융경제학적 분석 등 합리적인 방법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주가조작#손해배상#정상주가#조작주가

형사판례

회사 돈으로 주식 투자, 어디까지 처벌받을까? - 배임죄와 손해액 산정

이 판례는 분식회계와 배임죄, 특히 주식 관련 배임죄에서 손해액을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재산상 손해 발생의 위험을 초래한 경우도 배임죄가 성립하며, 손해액 계산에 일부 오류가 있더라도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 적용에는 영향이 없다는 점을 명시합니다.

#분식회계#배임죄#손해액 산정#주식

형사판례

사기 이득액 계산, 유사수신행위 범위에 대한 대법원 판결 해설

돈을 갚을 능력 없이 투자금을 받아 가로챈 사기 사건에서, '이득액'은 실제로 이득을 봤는지와 관계없이 편취한 총액으로 계산하고, 아는 사람에게 투자 권유를 하더라도 누구든 투자할 수 있는 구조라면 유사수신행위에 해당한다는 판결.

#투자사기#유사수신행위#이득액#편취액

형사판례

주식 투자와 관련된 법 위반, 어디까지 처벌될까?

이 판결은 주식 거래와 관련하여 허위 공시, 보도자료 배포 등 부정한 수단을 사용하거나 중요 정보를 허위로 기재하여 부당이득을 취득한 행위, 그리고 회사 자금을 부당하게 사용한 배임 행위 등에 대해 유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확정한 사례입니다. 대법원은 '부정한 수단'과 '위계'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 이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주식거래#사기적 부정거래#배임#허위공시

민사판례

증권회사의 주식 무단 처분, 손해배상은 어떻게?

증권회사 직원이 고객의 허락 없이 주식을 매매한 경우, 손해배상은 주식을 무단으로 처분한 당시의 시가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만약 그 이후 주가가 올랐더라도, 증권회사가 주가 상승을 예상할 수 있었고 고객이 그 이익을 확실히 얻을 수 있었던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오른 주가에 대한 손해배상은 받을 수 없습니다.

#주식 무단처분#손해배상#시가#주가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