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도상해·감금·폭행·강요미수

사건번호:

2023도12851

선고일자:

202402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징벌을 받아 그 집행을 종료한 자에 대한 형사처벌이 일사부재리의 원칙에 반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헌법 제13조 제1항,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 제107조, 제108조, 제109조,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1호

참조판례

대법원 2000. 10. 27. 선고 2000도3874 판결(공2000하, 2487)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홍푸른 【원심판결】 대구고법 2023. 8. 31. 선고 2023노29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피고인이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이하 ‘형집행법’이라 한다)에 따른 징벌을 받아 그 집행을 종료하였다고 하더라도 형집행법상 징벌은 수형자의 교도소 내의 준수사항위반에 대하여 과하는 행정상 질서벌의 일종으로서 형법 법령에 위반한 행위에 대한 형사책임과는 그 목적, 성격을 달리하는 것이므로 징벌을 받은 뒤에 형사처벌을 한다고 하여 일사부재리의 원칙에 반하는 것은 아니다(대법원 2000. 10. 27. 선고 2000도3874 판결 참조).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와 적법하게 채택된 증거에 따라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헌법 제13조 제1항 및 형사소송법 제326조 제1호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2. 형사소송법 제383조 제4호에 따르면 사형,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이나 금고가 선고된 사건에서만 양형부당을 사유로 한 상고가 허용된다. 피고인에 대하여 그보다 가벼운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 형이 너무 무거워 부당하다는 취지의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서경환(재판장) 김선수 노태악(주심) 오경미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교도소 내 규칙 위반, 두 번 처벌받을 수 있을까?

교도소에서 규칙을 어겨 징벌을 받았더라도, 그 행위가 형법상 범죄에 해당하면 따로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다. 징벌과 형사처벌은 목적과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이중처벌이 아니다.

#교도소#규칙위반#징벌#형사처벌

형사판례

과태료 처분과 일사부재리

과태료 처분은 형사재판의 확정판결과 같은 효력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과태료 처분을 받았더라도 동일한 사안으로 형사재판을 받을 수 있다.

#과태료#확정판결#일사부재리#형사재판

형사판례

죄를 지으면 감옥에 가는 것 외에도 더 격리될 수 있을까? - 보호감호 제도와 일사부재리 원칙

절도죄로 처벌받은 사람에게 사회보호법에 따른 보호감호를 추가로 명령하는 것은 일사부재리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보호감호#일사부재리#형벌#보안처분

형사판례

신호위반 범칙금 냈다고 교통사고 형사처벌 피할 수 없다!

신호위반으로 범칙금을 냈더라도, 그 신호위반으로 교통사고를 내 사람을 다치게 했다면 범칙금 납부와 별개로 형사처벌 할 수 있다.

#신호위반#범칙금#교통사고#형사처벌

형사판례

사회보호법상 감호처분, 죄형법정주의와 일사부재리 원칙에 위배될까?

사회보호법에 따른 감호처분은 징역형에 추가되는 보호처분이므로 죄형법정주의나 일사부재리 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사회보호법#감호처분#위헌성#죄형법정주의

형사판례

징역형과 벌금형을 동시에 선고한 판결, 무엇이 문제일까?

여러 죄를 저지른 피고인에게 징역형과 벌금형을 동시에 선고하면서, 각 죄에 대해 징역형과 벌금형 중 어떤 형을 선고한 것인지 명확히 하지 않은 판결은 위법하며, 피고인이 벌금형 부분에 대해서만 상고하더라도 전체 판결에 대해 상고한 것으로 본다는 내용입니다.

#판결 불명확#형종 미지정#벌금형 상고#전체 상고 효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