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관한소송[주주가 회사를 상대로 이사 보수결의의 취소를 구하는 사건]

사건번호:

2024다222861

선고일자:

202407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주식회사가 적법한 절차에 따라 소집, 의결한 주주총회에서 하자 있는 종전의 결의를 그대로 추인하거나 재차 동일한 안건에 대한 결의를 한 경우, 종전의 하자 있는 결의에 대하여 부존재나 무효확인 또는 그 취소를 구할 소의 이익이 있는지 여부(원칙적 소극)

판결요지

주식회사가 적법한 절차에 따라 소집, 의결한 주주총회에서 하자 있는 종전의 결의를 그대로 추인하거나 재차 동일한 안건에 대한 결의를 한 경우에는, 그 새로운 주주총회의 결의가 다른 절차상, 내용상의 하자로 인하여 부존재 또는 무효임이 인정되거나 그 결의가 취소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설령 종전의 결의에 어떠한 하자가 있었다고 할지라도 종전의 하자 있는 결의에 대하여 부존재나 무효확인 또는 그 취소를 구할 소의 이익이 없다.

참조조문

상법 제376조, 제380조, 민사소송법 제248조[소의 이익], 제250조

참조판례

대법원 2018. 10. 25. 선고 2017다260902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재각) 【피고, 상고인】 주식회사 ○○○ (소송대리인 법무법인(유한) 세한 담당변호사 배상근 외 1인) 【원심판결】 광주고법 2024. 1. 24. 선고 2023나23769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이 사건 소를 각하한다. 소송총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다음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에서)를 판단한다. 주식회사가 적법한 절차에 따라 소집, 의결한 주주총회에서 하자 있는 종전의 결의를 그대로 추인하거나 재차 동일한 안건에 대한 결의를 한 경우에는, 그 새로운 주주총회의 결의가 다른 절차상, 내용상의 하자로 인하여 부존재 또는 무효임이 인정되거나 그 결의가 취소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설령 종전의 결의에 어떠한 하자가 있었다고 할지라도 종전의 하자 있는 결의에 대하여 부존재나 무효확인 또는 그 취소를 구할 소의 이익이 없다(대법원 2018. 10. 25. 선고 2017다260902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 및 기록에 의하면, 원심 변론종결일 후인 2024. 2. 29. 열린 피고 회사의 임시주주총회에서 원고가 취소를 구하는 이 사건 각 보수 지급 결의를 추인하는 결의가 이루어진 사실을 알 수 있는바, 위 새로운 주주총회결의가 부존재 또는 무효라거나 결의가 취소되었다고 볼 자료가 없는 이상 원고가 이 사건 각 보수 지급 결의의 취소를 구할 소의 이익이 없게 되었다. 따라서 이 사건 소는 원심의 변론종결일 후에 부적법하게 되었으므로 원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할 수 없다.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되, 이 사건은 대법원이 직접 재판하기에 충분하므로 민사소송법 제437조에 따라 자판하기로 하여,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이 사건 소를 각하하며, 소송총비용은 민사소송법 제99조에 따라 피고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노태악(재판장) 김선수 오경미 서경환(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이미 새 임원 뽑았는데, 옛날 임원 선임 건드릴 필요 있을까요?

주주총회에서 임원을 잘못 뽑았더라도, 나중에 다시 주주총회를 열어 새로운 임원을 제대로 선임하고 등기까지 마쳤다면, 처음의 잘못된 결정을 문제 삼아 소송할 필요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임원 선임#주주총회#소송#소의 이익

민사판례

이미 끝난 일, 다시 따질 필요 있을까요? - 주주총회 임원 선임 결의 취소 소송

주주총회에서 선임된 임원이 모두 사임하고, 새로운 주주총회에서 후임 임원이 선출되어 등기까지 마쳤다면, 이전 주주총회 결의에 하자가 있더라도 그 결의를 취소하는 소송은 실익이 없어 소송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주주총회#임원#사임#후임

상담사례

주주총회 소집, 제대로 안 하면 큰일 나요! 😱

주주총회 소집 절차(특히 소집 통지)에 하자가 있으면 모든 주주는 그 결의에 이의를 제기하고 무효화(취소 또는 부존재 확인)를 주장할 수 있다.

#주주총회#소집절차#하자#이의제기

형사판례

주주총회 결의에 하자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범죄인가요?

주주총회 소집 절차에 하자가 있어 결의를 취소할 수 있다고 해도, 그 결의에 따라 등기한 사실 자체는 진실이므로 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주주총회#결의취소#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죄#소집절차하자

민사판례

주주총회, 제대로 안 열었어도 괜찮을까?

모든 주주가 참석하고 동의한 주주총회 결의는 소집 절차에 하자가 있더라도 유효하다. 또한, 해임된 이사의 자리에 적법한 절차를 거쳐 새로운 이사가 선임되었다면, 이전 해임 결의의 무효 확인을 구할 실익이 없다.

#주주총회#결의#절차하자#주주 전원 동의

민사판례

주주총회 결의, 함부로 합의하면 안 되는 이유

주주총회 결의의 효력을 다투는 소송에서는 당사자끼리 합의(조정)를 통해 결의의 무효를 확정할 수 없다. 왜냐하면 주주총회 결의는 회사와 모든 주주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기 때문에, 소송 당사자들끼리만 합의해서 결정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주주총회#결의무효확인소송#조정#무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