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득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89누6853

선고일자:

199006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지방세법(1986.12.31. 법률 제3878호로 개정되기 이전의 것)상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나 특수한 부대설비 이외의 부대설비에 대한 개축이 취득세의 부과대상인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구 지방세법(1986.12.31. 법률 제3878호로 개정되기 이전의 것)상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를 개축하거나 건축물의 특수한 부대설비( 지방세법 제104조 제4호, 동시행령 제75조의2 제1호, 제76조 제1항, 동시행규칙 제40조의3)공사로 인하여 건축물의 가액이 증가하면 이는 취득세의 부과대상이 되지만 그 이외의 각종 부대설비에 대한 개축은 취득세의 부과대상이 되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구 지방세법 (1986.12.31. 법률 제387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04조, 제105조, 제111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융성산업주식회사 【피고, 상고인】 서울특별시 동작구청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89.9.20. 선고 87구135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지방세법(1986.12.31. 법률 제3878호로 개정되기 이전의 것) 제105조 제1항, 제3항, 제111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건축물의 개축"은 "부동산의 취득"의 하나로서 취득세의 과세대상이 되며, 그 과세표준은 개축으로 인하여 증가한 가액으로 하도록 되어 있고, 한편 제104조 제11호에는 "개축"은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벽, 기둥, 바닥, 마루, 지붕 또는 승강설비 등을 말한다)의 1종 이상에 대하여 개축한 것으로서 그 개축비가 자본적 지출로 인정되는 것을 말하므로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를 개축하거나 건축물의 특수한 부대설비 ( 지방세법 제104조 제4호, 동시행령 제75조의2 제1호, 제76조 제1항, 동시행규칙 제40조의3) 공사로 인하여 건축물의 가액이 증가하면 이는 취득세의 부과대상이 되지만 그 이외의 각종 부대설비에 대한 개축은 취득세의 부과대상이 되지 아니한다고 전제한 다음, 증거에 의하여 원고가 지출한 그 소유의 이 사건 건물에 대한 총공사비 가운데 주요구조부 등에 대한 개축비 금 406,859,135원 중 금 350,043,732원만이 취득세부과대상인 건물의 개축으로 인하여 증가된 가액에 해당되고, 그 나머지 화단등 공사, 소방설비, 위생설비, 위생 및 전기설비, 공기구, 비품비용등은 취득세부과대상인 건축물의 개축에 해당되지 아니하므로 피고가 이 부분 공사도 건축물의 개축에 포함된다고 하여 한 이 사건 과세처분은 그 한도내에서 위법하다고 판단하였는바,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수긍되고 소론과 같은 사실오인 내지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거나 취득세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박우동 이재성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건물 증·개축 시 수리비도 취득세 내야 할까요?

건물을 증축하거나 개축하면서 동시에 수리도 했다면, 단순 수리비용은 취득세 계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증축·개축으로 건물 가치가 올라간 부분에 대해서만 취득세를 내면 됩니다.

#취득세#건물#증축#개축

세무판례

건물 리모델링, 발전기 설치, 정원 공사, 과연 취득세 내야 할까?

건물의 노후 설비 교체, 업무용 발전기 설치, 지목 변경 없는 정원 및 포장 공사는 건물의 가치를 증가시키는 '개축'이나 '건물의 특수한 부대설비'에 해당하지 않아 취득세 부과 대상이 아니다.

#취득세#건물 철거#설비 교체#발전기 설치

세무판례

건물 신축 시 취득세 계산, 실제 공사비보다 계약금액이 중요하다?!

건물 신축 공사에서 실제 공사비가 도급금액보다 많이 들었더라도, 도급인(건물주)과 수급인(건설사) 사이에 추가 금액 지급에 대한 합의가 없었다면, 취득세는 약정된 도급금액과 부가가치세를 합한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취득세#도급금액#실제공사비#과세표준

세무판례

건물 지으면서 같이 만든 부속시설, 취득세 계산할 때 건물값에 포함해야 할까? (O)

건물을 새로 지을 때, 그 건물에 꼭 필요하거나 딸려 있는 시설물(예: 연결 통로, 지하 전선로) 설치비용도 취득세 계산할 때 포함해야 한다.

#취득세#과세표준#건축물#부속시설물

세무판례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건물 신축과 취득세 납부 의무

중소기업협동조합이 건물을 신축하여 조합원에게 분양한 경우, 해당 분양분에 대한 취득세는 조합이 납부해야 한다. 주택조합과 달리 일반적인 중소기업협동조합은 조합원이 직접 취득한 것으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중소기업협동조합#취득세#조합원 분양#건물 신축

세무판례

건물 일부 사용 승인 후 추가 공사비용, 취득세에 포함될까?

건물 전체가 완공되기 전에 일부분에 대한 가사용 승인을 받아 사용하는 경우, 가사용 승인을 받은 부분에 대한 취득세는 승인일까지 들어간 비용만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그 이후 준공검사까지 추가로 들어간 비용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가사용승인#취득세#과세표준#건축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