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

사건번호:

89다카7754

선고일자:

199004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기존의 근로조건을 일방적으로 근로자에게 불이익하게 바꾸는 취업규칙의 변경을 근로자집단의 동의없이 한 경우 그 변경의 효력 유무(소극) 나. 위의 경우에 있어서 취업규칙의 변경이후에 입사한 근로자에 대하여도 종전의 취업규칙이 적용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가. 취업규칙의 작성, 변경권이 원칙적으로 사용자에게 있다 할지라도 취업규칙의 변경에 의하여 기존 근로조건의 내용을 일방적으로 근로자에게 불이익하게 변경하려면 종전 취업규칙의 적용을 받고 있던 근로자집단의 집단적 의사결정방법에 의한 동의를 요한다 할 것이고, 그 동의방법은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조합의, 그와 같은 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들의 회의방식에 의한 과반수의 동의가 있어야 하고,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한 동의가 없는 한 취업규칙의 변경으로서의 효력이 없다. 나. 사용자인 회사가 누진지급제에 의한 퇴직금을 단수지급제도로 변경하는 근로자에게 불이익한 취업규칙의 변경을 함에 있어서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 등 근로자집단의 의사결정방법에 의한 동의가 없었다면 이와 같은 취업규칙의 변경은 무효이므로, 위 취업규칙 변경 이후에 입사한 근로자에 대하여도 종전의 취업규칙이 적용된다.

참조조문

근로기준법 제95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77.7.26. 선고 77다355 판결(공1977,10242), 1988.5.10. 선고 87다카2578 판결(공1988,949), 1989.5.9. 선고 88다카4277 판결(공1989,88), 1990.3.12. 선고 89다카24780 판결(공1990,882)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이춘영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상훈 【피고, 상고인】 주식회사 한진해운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한미합동법률사무소 담당변호사 유경희 외 3인 【웜심판결】 서울고등 1989. 2. 28. 선고 88나4176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취업규칙의 작성, 변경권이 원칙적으로 사용자에게 있다 할지라도 취업규칙의 변경에 의하여 기존 근로조건의 내용을 일방적으로 근로자에게 불이익하게 변경하려면 종전 취업규칙의 적용을 받고있던 근로자집단의 집단적 의사결정방법에 의한 동의를 요한다 할 것이고, 그 동의방법은 근로자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조합의, 그와 같은 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들의 회의 방식에 의한 과반수의 동의가 있어야 하고,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한 동의가 없는 한 취업규칙의 변경으로서의 효력이 없다는 것이 당원의 견해이다.( 당원 1977.7.26. 선고 77다355 판결; 1988.5.10.선고 87다카2578 판결 ; 1989.5.9. 선고 88다카4277판결 참조) 원심이 위와 같은 견해에 서서 피고가 누진지급제에 의한 퇴직금을 단수지급제로 변경하는 근로자에게 불이익한 취업규칙의 변경을 함에 있어서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등 근로자집단의 의사결정방법에 의한 동의가 없었으므로 이와 같은 취업규칙의 변경은 무효이고, 위 취업규칙변경 이후에 입사한 원고에 대하여도 종전의 취업규칙이 적용된다고 판단하였는바, 이는 정당하고 원심판결에 소론 과 같은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박우동 이재성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회사가 맘대로 퇴직금 제도 바꿀 수 있을까요? (무효인 취업규칙 변경과 퇴직금)

회사가 근로자 동의 없이 퇴직금 제도를 불리하게 변경했을 경우, 그 변경은 무효이며, 변경 후 입사한 근로자에게도 이전의 유리한 제도가 적용된다.

#취업규칙 변경 무효#퇴직금#누진제#단수제

민사판례

퇴직금 누진제, 나도 받을 수 있을까? - 취업규칙 변경과 나의 권리

회사가 직원들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취업규칙을 바꿀 때는 직원들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동의 없이 바뀐 규칙은 기존 직원들에게는 효력이 없으며, 이전의 유리한 규칙이 계속 적용됩니다. 새로 입사한 직원에게는 바뀐 규칙이 적용됩니다.

#취업규칙#불이익 변경#기존 근로자#동의

민사판례

회사가 마음대로 퇴직금 규정을 바꿀 수 있을까요?

회사가 근로자들에게 불리하게 퇴직금 규정을 바꾸려면 근로자들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동의 없이 바꾼 규정은 효력이 없습니다. 신문 보도나 일부 직원의 수령, 정부 방침 등은 동의로 볼 수 없습니다.

#퇴직금#규정 변경#근로자 동의#무효

민사판례

회사가 퇴직금 제도를 바꿀 때, 우리의 동의는 어떻게 받아야 할까요?

회사가 근로자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취업규칙을 바꿀 때 근로자 동의를 어떤 방식으로 받아야 유효한지, 그리고 퇴직금 지급 방식을 바꾸지 않더라도 근로자 동의가 효력이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취업규칙#불이익변경#근로자동의#과반수

민사판례

퇴직금 규정 변경, 회사 마음대로 안 돼요!

회사가 취업규칙을 변경하여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만들려면 근로자들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이 동의는 단순히 알리고 침묵했다고 해서 얻어진 것이 아니며, 적법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또한, 오랜 시간이 지났다고 해서 이의를 제기하지 못하는 것도 아닙니다.

#취업규칙#불이익 변경#근로자 동의#과반수 동의

민사판례

회사가 마음대로 취업규칙을 바꿀 수 있을까? - 퇴직금과 관련된 법원 이야기

회사가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취업규칙을 바꾸려면 근로자들의 동의를 받아야 하며, 동의 없이 변경된 규칙은 효력이 없다. 하지만 변경된 규칙을 알고 입사한 신규 근로자에게는 변경된 규칙이 적용된다.

#취업규칙#불이익 변경#근로자 동의#효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