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도상해,특수공무집행방해치상

사건번호:

89도2532

선고일자:

199002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절도미수범이 준강도 내지 강도상해죄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형법 제335조의 조문 가운데 "절도" 운운함은 절도기수범과 절도미수범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고, 준강도가 사람을 상해했을 때에는 형법 제337조의 강도상해죄가 성립된다.

참조조문

형법 제335조, 제33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66.11.29. 선고 66도1387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박영서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89.11.23. 선고 89노80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이후의 판결선고전 구금일수 중 38일을 원심판결의 형에 산입한다. 【이 유】 1. 피고인의 상고이유 중 첫번째 부분에 대하여, 형법 제335조의 조문 가운데 "절도" 운운함은 절도기수범과 절도미수범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고 준강도가 사람을 상해했을 때에는 형법 제337조의 강도상해죄가 성립된다 ( 당원 1966.11.29. 선고 66도1387 판결 참조). 그러므로 원심판결에 잘못은 없고 소론은 이유없다. 2. 변호인의 상고이유와 피고인의 나머지 상고이유부분에 대하여, 10년 미만의 징역형이 선고되고 있는 피고인에게 양형부당의 위법이 있다는 사유는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논지들은 이유없다. 3.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미결구금일수 중의 일부를 원심 본형에 산입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이회창 배석 김상원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절도범이 폭행까지 한다면? 준강도죄, 폭행의 정도는? 강도상해죄

절도범이 도망치는 과정에서 폭행을 하면 준강도죄, 그 폭행으로 인해 상대방의 생활기능에 장애가 생기면 강도상해죄가 성립한다.

#절도#폭행#준강도#상해

형사판례

절도하다 들키자 밀쳐서 다치게 했다면? 강도상해죄!

여러 명이 함께 절도를 하다가 들키자 도망치기 위해 피해자를 밀쳐 다치게 한 경우, 미리 그렇게 하기로 모의하지 않았더라도 강도상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절도#발각#폭행#강도상해죄

형사판례

절도하다 걸리자 폭행?! 준강도죄, 기수인가 미수인가?

절도범이 도망치려고 폭행/협박했을 때, 실제로 물건을 훔쳤는지에 따라 준강도죄의 기수 여부가 결정된다. 즉, 훔치는 데 성공했으면 준강도죄 기수, 실패했으면 준강도죄 미수다. 이 판결은 기존 판례를 뒤집는 중요한 판결이다.

#준강도죄#기수#미수#절도

형사판례

훔친 물건 돌려달라는 말에 폭행을? 이것도 강도상해죄!

훔친 물건을 들고 도망가다 붙잡히기 직전이나 붙잡힌 직후, 벗어나기 위해 폭행을 하면 단순 폭행이 아닌 강도상해죄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절도#도주#폭행#강도상해죄

형사판례

상습강도와 강도상해, 별개의 죄입니다!

상습적으로 강도 행위를 저지르면서 그 과정에서 사람을 다치게 한 경우, 상습강도죄와 강도상해죄는 별개의 죄로 처벌해야 하며, 하나의 죄로 합쳐서 처벌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상습강도#강도상해#별개의 죄#처벌

형사판례

강도가 미수에 그치고 강간으로 이어진 경우, 어떤 죄가 성립할까?

돈을 빼앗으려다 미수에 그치고, 피해자를 다치게 하거나 강간한 경우, 강도미수죄는 강도상해죄나 강도강간죄에 포함되어 별도로 처벌하지 않는다. 또한, 강도상해죄나 강도강간죄는 '상습강도' 가중처벌 대상이 아니다.

#강도미수#강도상해#강도강간#상습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