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89도576
선고일자:
199011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타소장치장에 장치된 원가 1,000만원 미만의 관세를 납부하여야 할 물품을 수입면허를 받지 아니하고 반출하려고 관세포탈예비행위를 한 경우의 구 관세법(1983.12.29. 법률 제366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위반 여부(소극)
타소장치장에 장치된 원가 1,000만원 미만의 관세를 납부하여야 할 물품을 수입면허를 받지 아니하고 반출함으로써 관세를 포탈하는 행위는 구 관세법(1983.12.29. 법률 제366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86조의3 제1항 소정 무면허반출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함과 동시에 같은 법 제180조 제1항 소정 관세포탈죄의 구성요건에도 해당한다 할 것이나 법정형에 차이를 둔 규정의 해석상 같은 법 제180조 제1항의 규정의 적용이 배제되어 오로지 같은법 제186조의3 제1항의 규정만이 적용되는 것이라고 봄이 상당하므로 그 관세포탈 예비행위에 대하여는 같은 법 제180조 제1항 소정 관세포탈죄를 적용할 수 없고 같은 법 제186조의3 제1항 위반행위의 예비행위에 해당할 뿐인데 같은 법에 그와 같은 예비행위에 대한 처벌규정이 없으므로 처벌할 수 없다.
구 관세법 제180조 제1항(1983.12.29. 법률 제 3666호로 개정되기 전의것) , 제182조 제2항 , 제186조의3 제1항
대법원 1987.7.21. 선고 86도221 판결(공1987,1424)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인천지방법원 1988.9.1. 선고 88노25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검사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타소장치장에 장치된 원가 1,000만원 미만의 관세를 납부하여야 할 물품을 수입면허를 받지 아니하고 반출함으로써 관세를 포탈하는 행위는 구 관세법(1981.12.31.법률 제3478호로 개정되어 1982.1.1.부터 시행된 후 1983.12.27.법률 제3666호로 개정되기 전의 법률) 제186조의3 제1항 소정 무면허반출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함과 동시에 같은법 제180조 제1항 소정 관세포탈죄의 구성요건에도 해당한다 할 것이나 같은 법 제186조의3 제1항에서 타소장치장을 포함한 보세구역에 장치한 원가 1,000만원 미만의 물품을 수입면허없이 반출하는 경우에는 이를 무면허반출죄로 처벌하도록 별도로 규정을 두어 그 법정형을 같은 법 제180조 제1항 소정 관세포탈죄보다 가볍게 규정하고 있음에 비추어 볼 때 타소장치장에 장치된 원가1,000만원 미만의 관세를 납부하여야 할 물품을 수입면허를 받지 아니하고 반출함으로써 관세를 포탈한 행위에 대하여는 같은 법 제180조 제1항의 규정의 적용이 배제되어 오로지 같은 법 제186조의3 제1항의 규정만이 적용되는 것이라고 해석함이 상당하다고 전제 ( 위 구 관세법 제181조 소정 무면허수출입죄에서는 제186조의3의 규정에 의한 경우에는 그 적용을 배제한다는 단서 규정을 두고 있으며, 한편 1983.12.29. 법률 제3666호로 개정된 관세법에서는 제180조 제1항 소정 관세포탈죄의 경우에도 제186조의3의 규정에 의한 경우에는 그 적용을 배제한다는 단서 규정을 신설하였다)하고 이 사건 청환죽 390속의 도착가격이 금 2,174,886원, 그 시가는 금 3,686,247원인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관세포탈예비행위의 목적물인 물품의 원가가 금1,000만원 미만임이 명백하므로 이들에 대하여는 같은 법 제180조 제1항 소정 관세포탈죄를 적용할 수 없고 위 이들의 행위는 같은 법 제186조의3 제1항 위반행위 의 예비행위에 해당할 뿐인데 같은 법에 그와 같은 예비행위에 대한 처벌규정이 없으므로 피고인들을 같은 법에 의하여 처벌할 수 없는 것이며, 피고인들의 위 행위에 같은법 제180조 제1항이 적용됨을 전제로 한 구 방위세법 제13조 제1항이나 위 구 관세법상의 법인처벌규정 역시 적용될 수 없다 하여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피고인들에게 모두 무죄를 선고하였는바, 원심의 위와 같은 해석과 판단은 옳다고 여겨지고( 당원 1987.7.21. 선고 86도221 판결 참조) 거기에 위 구 관세법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석(재판장) 이회창 김상원 김주한
형사판례
세관에 신고하지 않고 물건을 수입하려다 미수에 그쳤더라도, 그 물건은 몰수될 수 있습니다. 미수범도 처벌은 본범과 같기 때문에 몰수 대상이 됩니다.
형사판례
관세법 위반(제181조 제2호)으로 밀수입된 물건은 몰수 대상이 된다(제198조 제2항).
형사판례
관세를 내지 않고 밀수하려고 준비한 물건도 몰수할 수 있다.
형사판례
밀수입은 배에서 짐을 옮기기 시작할 때 범죄가 시작되고, 육지에 내리는 순간 완성됩니다. 여러 물건을 한꺼번에 밀수입하려다 일부만 옮겼어도 전체에 대해 하나의 범죄로 처벌합니다. 밀수품의 가격은 도착지 가격을 기준으로 하며, 국내 가격에 역산율을 곱해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형사판례
해외로 돈을 몰래 가져가려다 적발된 경우, 실제로 비행기를 타거나 보안검색대를 통과하기 전이라도 짐으로 부친 돈은 범죄(외국환수출죄)로 처벌할 수 있지만, 단순히 휴대하고 있던 돈은 아직 범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형사판례
수입할 때 실제보다 적은 양을 신고하면 나머지 신고 안 한 양에 대해 밀수죄가 성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