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0누325

선고일자:

1990103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이미 소멸시효가 완성된 법인의 약속어음채권을 그 후의 사업연도에 회계상 대손처리하여 손금에 산입함의 가부(소극) 나. 어음법상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에 대한 대손처리의 요건

판결요지

가. 법인이 가진 약속어음채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된 경우 이로 인한 대손금은 채무자의 자산상황, 지급능력 등 자산성 유무에 대하여 회수불능이라는 회계적 인식을 한 여부에 관계없이 그에 대응한 청구권이 법적으로 소멸되어 당연히 회수할 수 없게 된 것으로 봄이 타당하므로 그 소멸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손금으로 산입되는 것이지 법인이 그 후 대손으로 회계상 처리를 한 사업연도의 손금에 산입될 수 없다. 나. 어음법상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을 대손금으로 처리하기 위하여는 그것이 법인세법시행규칙 제9조 제2항 제2호에 해당되면 족하고 더 나아가 법인세법시행령 제21조 제1, 2호에 정한 회수할 수 없었던 채권인 여부를 다시 가려보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가. 법인세법 제9조 , 제17조 / 가.나. 동법시행령 제21조, 동법시행규칙 제9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0.3.13. 선고 88누3123 판결(공1990,906) /가. 대법원 1988.9.27. 선고 87누465 판결(공1988,1352)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정리회사 신진밸부공업주식회사 소송대리인 중부종합법무법인 담당변호사 김홍근 【피고, 피상고인】 구로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89.11.30. 선고 89구189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법인이 가진 약속어음채권의 소멸시효가 완성된 경우 이로 인한 대손금은 채무자의 자산상황, 지급능력 등 자산성 유무에 대하여 회수불능이라는 회계적 인식을 한 여부에 관계없이 그에 대응한 청구권이 법적으로 소멸되어 당연히 회수할 수 없게 된 것으로 봄이 타당하므로 그 소멸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손금으로 산입되는 것인지 법인이 대손으로 회계상 처리를 한 사업연도의 손금에 산입될 수 없고, 법인세법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이라고 한다) 제9조 제2항은 같은법시행령(이하 시행령이라고 한다) 제21조 제3호에 의하여 같은 조 제1호및 제2호에 해당하는 이외의 채권에 대한 대손처리를 정한 규정으로서 어느 채권이 시행령 제21조 각호 소정의 요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당해 채권을 대손금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지 위의 요건을 중첩적으로 충족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어음법상 소멸시효가 완성된 채권을 대손금으로 처리하기 위하여는 그것이 시행규칙 제9조 제2항 제2호에 해당되면 족하고 더 나아가 시행령 제21조 제1, 2호에 정한 회수 할 수 없었던 채권인 여부를 다시 가려보아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당원의 견해이다 ( 당원 1990.3.13. 선고 88누3123 판결 ; 1988.9.27. 선고 87누465 판결 참조). 따라서 원심이 이와 같은 견해에 따라 이 사건에서 문제가 된 약속어음 중 그 지급기일이 1979년부터 1983년에 이르는 것은 1982년부터 1986년까지 사이에 그 지급기일로부터 각 3년이 경과함에 따라 어음법상의 소멸시효가 완성되므로 각 해당연도의 대손금으로 손금산입되는 것이지 대손으로 회계처리한 1987. 사업연도의 손금에 산입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이와 같은 경우 법인이 대손으로 회계처리함에 있어 시행령 제21조 제3호, 시행규칙 제9조 제2항 제2호 외에 시행령 제21조 제1호나 제2호를 그 사유로 삼았다고 하여 대손으로 회계처리한 사업연도의 손금에 산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원심이 위와 같은 대손금은 1987. 사업연도 이전의 각 해당연도의 대손금으로 이미 손금산입되었다고 한 것은 해당 사업연도의 대손금으로 손금산입되어야 한다는 의미이지 실제로 해당 사업연도의 대손금으로 손금산입하는 회계처리가 되었다고 설시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논지는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덕주(재판장) 윤관 배만운 안우만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부도어음, 언제 대손금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

부도난 어음이라도 바로 대손금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법에서 정한 요건을 충족해야만 세금 계산 시 손실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부도어음#대손금#회수불능#요건

세무판례

부도난 수표, 어음도 대손금 처리 가능할까? (6개월 이상 지난 경우)

부도 발생 후 6개월 이상 지난 수표나 어음은 바로 대손금 처리가 되는 것이 아니라, 사업자가 회수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장부에 기록해야만 세금 계산 시 필요경비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부도수표#어음#대손금#장부기록

세무판례

부도어음, 세금에서 손실처리하려면?

부도어음을 사업상 손실로 인정받아 세금 혜택(대손금)을 받으려면, 부도 후 6개월이 지났고 채무자 명의의 재산이 없다는 사실이 *동시에* 확인되어야 합니다.

#부도어음#대손금#요건#6개월

세무판례

돈 받을 권리, 언제 비용 처리할 수 있을까? 대손처리 시점에 대한 이야기

이미 소멸시효가 지난 채권은 시효가 완성된 사업연도에 대손처리해야 하며, 이후 사업연도에 처리할 수 없다. 또한, 어음 소멸시효 완성 채권은 별도의 강제집행 불능 조서 없이도 대손 처리가 가능하다.

#소멸시효#대손처리#사업연도#어음

세무판례

어음 부도로 인한 대손세액 공제, 정당할까?

원도급 업체가 하도급 업체에 공사 대금으로 지급한 어음이 부도났을 때, 하도급 업체는 부도난 어음에 대한 부가가치세를 돌려받고, 원도급 업체는 그만큼 부가가치세를 더 내야 한다는 판결. 이후 원도급 업체가 하도급 업체에 돈을 갚으면, 이미 처리된 부가가치세도 다시 정산해야 한다.

#하도급#어음부도#부가가치세#대손세액공제

세무판례

돈 받을 권리 없어졌을 때 세금은 어떻게 될까? 대손금과 세금 이야기

돈을 빌려줬는데 못 받게 되었을 때, 세금에서 손해로 인정받으려면 장부에 제때 기록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나중에 기록을 고치는 것으로는 세금을 돌려받을 수 없습니다.

#대손처리#세금정정#회계처리#법인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