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0누4075

선고일자:

1990103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양도소득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주식을 양도한 경우 그 양도차익산정의 기초가 되는 기준시가를 결정함에 있어 상속세법시행령 제5조 제1항이 준용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양도소득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주식을 양도한 경우 그 양도차익산정의 기초가 되는 양도가액 및 취득가액으로서의 기준시가를 결정함에 있어 소득세법 제60조, 같은법시행령 제115조 제1항 제3호에 의하여 준용되는 상속세법시행령 제5조는 그 제5항만이 준용되고 제1항이 규정하는 "시가"는 소득세법상 "실지거래가액"과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제1항은 제외된다.

참조조문

소득세법시행령 제115조 제1항 제3호, 상속세법시행령 제5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9.7.25. 선고 88누9565 판결(공1989,1306)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이재헌 【피고, 상고인】 영등포세무서장 【환송판결】 대법원 1989.12.22. 선고 88누854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이 사건 주식의 양도당시(1983.11.7.) 시행하던 소득세법 제23조 제1항 제3호, 같은법시행령 제44조의2 제1항 제1호의 규정에 의하여 양도소득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주식을 양도하는 경우 그 양도차익산정의 기초가 되는 양도가액 및 취득가액으로서의 기준시가를 결정함에 있어 소득세법 제60조, 같은법시행령 제115조 제1항 제3호에 의하여 준용되는 상속세법시행령 제5조는 그 제5항만이 준용되고 제1항이 규정하는 "시가"는 소득세법상 "실지거래가액"과 같은 개념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제1항은 제외된다는 것 이 당원의 견해이다( 당원 1989.7.25. 선고 88누9565 판결 참조). 그러므로 원심이 이 사건 주식의 거래에 관하여는 양도가액 및 취득가액 모두를 기준시가 즉, 위 소득세법시행령 제115조 제1항 제3호에 의하여 준용되는 상속세법시행령(1988.12.31. 대통령령 제125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5항 제1호 (나)목의 규정을 준용하여 평가한 가액으로 결정하여야 할 것이라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심리미진이나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위 소득세법시행령 제115조 제1항 제3호에 의하여 위 상속세법시행령 제5조 제1항도 준용되는 것임을 전제로 하여 이 사건 주식의 양도가액에 대한 기준시가는 실지거래가액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논지는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덕주(재판장) 윤관 배만운 안우만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차익 계산, 실거래가액과 기준시가, 어떤 걸 써야 할까?

옛날 소득세법 시행령에 따르면, 부동산을 사고팔 때 국가, 지자체, 회사 등 법인과 거래한 가격이 확인되면, 다른 한쪽 거래도 실제 거래가격을 확인해서 양도소득세를 계산해야 합니다. 만약 확인이 안 되면 법인과 거래한 쪽은 실제 거래가격, 다른 쪽은 정부가 정한 기준시가로 계산합니다.

#부동산#양도소득세#취득가액#양도가액

세무판례

기준시가와 실제 양도가액, 그리고 양도소득세 계산

땅을 팔았는데, 세금 계산 기준인 기준시가가 실제 판매가격보다 높은 경우에도 양도소득세를 계산할 때 특별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이때 특별공제 계산은 기준시가를 기반으로 한다는 판례입니다.

#양도소득세#기준시가#양도차익#양도소득특별공제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세, 기준시가와 실거래가 사이에서 꼭 알아야 할 것들

타인의 빚 보증을 위해 제공한 부동산이 경매로 넘어갈 경우, 보증인은 양도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이때 세금 계산 방식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에 대한 판결입니다. 핵심은 기준시가로 계산한 양도차익이 실제 판매가보다 높을 경우, 실제 판매가를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하지만, 양도소득 공제와 특별공제는 여전히 적용된다는 것입니다.

#물상보증인#부동산경매#양도소득세#기준시가

세무판례

상속받은 주식 팔 때, 세금 계산은 어떻게 할까? (상속세 평가액 vs. 실제 취득가액)

상속받은 재산에 대해 상속세를 매길 때 세무서가 정한 재산 가치는, 나중에 그 재산을 팔 때 양도소득세 계산을 위한 취득가액과 다를 수 있다. 상속세 계산을 위해 보충적으로 평가된 가액은 양도세 계산 시 실제 거래 가격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상속세#양도소득세#취득가액#비상장주식

세무판례

부동산 양도차익 계산, 실거래가를 우선 적용해야 할까?

부동산을 두 번 거래했을 때, 한 번은 기업과, 다른 한 번은 개인과 거래했다면, 개인과의 거래 가격이 확인되면 기업과의 거래 가격도 실제 거래가격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부동산#양도차익#실지거래가액#기준시가

세무판례

상속받은 주식 팔았을 때 세금, 얼마나 내야 할까? (취득가액 계산법)

상속받은 주식을 팔았을 때 양도소득세 계산을 위한 취득가액은 상속 당시 시가로 계산해야 하며, 상속세 신고 시 평가한 가액을 시가로 볼 수 있다.

#상속주식#양도소득세#취득가액#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