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해보상보험보험료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0누4204

선고일자:

199101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노동부장관 고시의 산업재해보상보험요율 적용을 위한 사업종류의 결정기준

판결요지

회사의 사업종류가 노동부장관 고시의 산업재해보상보험요율 적용을 위한 사업종류예시표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를 결정하기 위하여는 그 사업장의 면허나 등록업종뿐만 아니라 현실적인 사업내용과 작업형태를 두루 참작하여야만 하고, 2종 이상의 사업이 같이 행하여지는 경우에는 근로자수 및 임금총액 등의 비중이 큰 사업이 어느 사업인가를 가려보고 나서 이를 정하여야 할 것이다.

참조조문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21조, 산업재해보상보험법시행령 제4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6.12.9. 선고 86누518 판결(공1987,170), 1989.2.28. 선고 87누1078 판결(공1989,543), 1990.5.11. 선고 90누28 판결(공1990,1278)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주식회사 한영엔지니어링 소송대리인 변호사 유병갑 【피고, 피상고인】 대구지방노동청장 【원심판결】 대구고등법원 1990.4.25. 선고 89구21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회사의 사업종류가 노동부장관 고시의 산업재해보상보험요율 적용을 위한 사업종류 예시표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를 결정하기 위하여는 그 사업장의 면허나 등록업종 뿐만아니라 현실적인 사업내용과 작업형태를 두루 참작하여야만 하고 2종 이상의 사업이 같이 행하여지는 경우에는 근로자수 및 임금총액 등의 비중이 큰 사업이 어느 사업인가를 가려보고 나서 이를 정하여야 할 것이다.( 당원 1986.12.9. 선고 86누518 판결, 1989.2.28. 선고 87누1078 판결, 1990.5.11. 선고 90누28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 회사가 1984.10.13.에 설립등기를 마친 후 시작한 사업활동 특히 이 사건 산업재해보상보험료의 부과 대상기간인 1987년도와 1988년도의 사업활동 내용을 원심판시와 같이 구체적으로 인정한 다음 원고 회사의 사업종류는 노동부장관이 고시한 건설업 중 기계설비공사(1987년도) 또는 일반건설공사(1988년도)에 해당한다고 판시하고 원고 회사의 사업종류가 제조업에 해당한다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하였는 바 원심판결의 이유 설시를 기록과 대조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사실인정과 법률판단은 수긍할 수 있고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위반으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상고논지는 모두 받아 들일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에게 부담시키기로 관여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박우동 이재성 윤영철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산재보험료, 내 사업은 어떤 종류에 해당될까? 사업종류 결정기준과 판례 해설

산재보험료율을 매길 때 회사가 어떤 사업을 하는지 판단하려면, 단순히 서류상 등록된 업종만 볼 게 아니라 실제로 어떤 일을 하고 어떻게 작업하는지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산재보험료율#사업종류#실제 사업내용#작업형태

일반행정판례

사업종류를 정확히 판단해야 산재보험료도 제대로 냅니다!

산재보험료율을 정할 때 사업자가 신고한 업종만 볼 것이 아니라, 실제로 하는 일과 직원들이 어떤 형태로 일하는지까지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산재보험료#사업종류#실제사업내용#근로자 작업형태

일반행정판례

건설자재 임대 후 보수작업, 제조업으로 봐야 할까? 산재보험료 분쟁 사례

건설자재를 임대하고 회수 후 보수작업을 하는 사업은 산재보험료율표상 '기타 각종 제조업'으로 분류되어야 하며, 따라서 이를 '임대 및 사업 서비스업'으로 분류하여 산재보험료를 적게 부과한 처분은 위법하다는 판결입니다.

#건설자재#임대#보수작업#제조업

생활법률

사장님, 산재보험료 어떻게 계산되는지 아시나요? 💰 (2024년 업데이트)

사업주는 근로자 보수총액에 사업종류별 보험료율을 곱하여 산출된 산재보험료를 전액 부담하며, 재해율 등에 따라 보험료율이 조정될 수 있다.

#산재보험료#사업주#근로자#보험료율

일반행정판례

여러 사업장 운영 시 산재보험 적용은 어떻게 될까요?

한 회사가 사업장을 여러 개 운영하고, 각 사업장마다 산재보험 적용 여부가 다른 사업을 할 경우, 각 사업장의 사업 종류와 규모에 따라 산재보험 적용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단순히 회사가 산재보험에 가입되어 있다고 해서 모든 사업장의 근로자에게 산재보험이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산재보험#사업장별 적용#사업종류#규모

일반행정판례

산재보험료와 보험급여 징수: 사업주가 알아야 할 핵심 정리

건설사가 하도급 준 공사에 대해 산재보험 적용을 잘못하여 보험료를 적게 냈더라도, 사업개시 신고를 했고 보험료도 일부 납부했다면 보험급여를 받을 수 있다.

#건설공사#하도급#산재보험#보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