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지사유족확인재결처분취소

사건번호:

90누578

선고일자:

199011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애국지사의 유족연금 등의 청구권이 원고에게 있음의 확인을 구하거나, 그 금원을 지급할 의무가 행정청에 있음의 확인을 구하는 청구가 항고소송의 대상인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애국지사의 유족연금·사망일시금·유족생계부조수당과 이들 각 금원에 대한 청구권 발생일부터 연 5푼의 비율에 의한 복리계산 금원의 청구권이 원고에게 있음의 확인을 구하거나, 위 각 금원을 지급할 의무가 행정청에 있음의 확인을 구하는 청구는 작위의무확인소송으로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참조조문

행정소송법 제4조, 국가유공자예우등에관한법률 제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9.1.24. 선고 88누3314 판결(공1989,316)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마해룡 【피고, 피상고인】 국무총리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89.12.6. 선고 89구573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의 상고이유에 대하여(상고이유서제출기간이 지난 뒤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에 기재된 보충상고이유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한도내에서) 판단한다. 1. 행정소송법 제19조에 의하면 재결취소소송의 경우에는 제결 자체에 고유한 주체·형식·절차 또는 내용상의 위법이 있음을 이유로 하는 경우에 한하여 그 재결이 취소소송의 대상이 되도록 규정되어 있는바,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피고가 1989.3.30.자로 원고에 대하여 한 재결 자체에 고유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고, 또 원처분에 위법이 있다는 사유는 재결취소의 사유가 되지 아니한다는 이유로, 원고의 이 부분 청구를 배척한 것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논지는이유가 없다. 2. 애국지사의 유족연금·사망일시금·유족생계부조수당과 이들 각 금원에 대한 청구권 발생일부터 연5푼의 비율에 의한 복리계산 금원의 청구권이 원고에게 있음의 확인을 구하거나, 위 각 금원을 지급할 의무가 행정청에 있음의 확인을구하는 청구는 작위의무확인소송으로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지 아니하는 것이므로( 당원 1989.1.24. 선고 88누3314 판결 참조), 같은 취지에서 원고의 이 부분 청구가 부적법한 것이라고 판단한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논지도 이유가 없다. 3. 그러므로 원고의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원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재성(재판장) 박우동 윤영철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국가유공자 유족연금, 누가 받을 수 있을까요?

국가유공자의 자녀가 유족연금을 받으려면 유족 등록 신청 당시 미성년자이거나 생활능력이 없는 장애 성년자여야 합니다. 성인이 되어서 또는 장애가 없어 생활능력이 있는 상태에서 신청하면 유족연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국가유공자#유족연금#자녀#미성년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유족보상금, '구상' 결정에 대한 소송은 가능할까?

공무원이 공무 중 사망했을 때, 유족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기로 한 결정에서 '구상' 부분은 소송으로 다툴 수 없다.

#공무원#유족보상금#구상권#소송

가사판례

사실혼 관계 확인과 유족연금: 법원은 어떻게 판단했을까?

법률혼 관계가 유지되는 동안 다른 사람과 사실혼 관계를 맺은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법률혼에 준하는 보호를 받을 수 없다. 하지만 유족연금 등을 받기 위해 과거 사실혼 관계 확인을 청구하는 것 자체는 가능하다.

#사실혼#법률혼#유족연금#소송

민사판례

공무원 유족연금과 손해배상, 이중으로 받을 수 있을까?

업무 중 사고로 사망한 공무원의 유족이 받는 유족연금은 손해배상금에서 공제되지 않습니다. 즉, 가해자 측은 유족연금 수령 여부와 관계없이 손해배상의 전체 금액을 지급해야 합니다.

#공무원#유족연금#손해배상금#공제불가

일반행정판례

국가유공자 유족 연금, 언제 개정된 법을 적용해야 할까요?

국가유공자 유족 연금 수급 순위가 법 개정으로 변경된 경우, 연금 지급은 신청 시점이 아닌 **처분 시점(최종 결정 시점)의 법**을 따른다.

#국가유공자#유족연금#수급순위#처분시점

일반행정판례

군 사망 사건에서 '순직' 인정 여부 통보는 행정소송 대상이 아니다.

군인 사망 후 '순직' 여부에 대한 국방부의 통보는 단순 사실 확인일 뿐, 유족의 권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행정처분이 아니므로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군 사망#순직#국방부 통보#행정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