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여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90누837

선고일자:

199004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양도자의 친지'로서 상속세법 제34조의2 제1항 소정의 '특수관계'에 있다고 하기 위한 요건과 그 입증책임

판결요지

양도자와 동향관계, 동창관계, 동일직장관계 등으로 인하여 친한 자들을 상속세법 제34조의2 제1항 소정의 특수관계에 있다고 하려면 실질과세나 공평과세 등 과세원칙의 법리상 과세원인발생 당시에 그와 같은 관계에 있어야 하고, 양도자와 친한 사실이 객관적으로 명백히 입증되어야 하며, 그 입증책임은 과세관청에게 있다.

참조조문

상속세법 제34조의2 제1항, 상속세법시행령 제41조 제2항 제6호, 상속세법시행규칙 제11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8.1.19. 선고 87누698 판결(공1988,461), 1989.3.28. 선고 88누7132 판결(공1989,699)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김길성 소송대리인 변호사 황선당 【피고, 상고인】 강서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89.12.31. 선고 89구857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 소송수행자의 상고이유를 본다. 상속세법시행령 제41조 제2항 제6호는 "양도자의 친지"를 상속세법 제34조의2 제1항 소정의 특수관계에 있는 자의 하나로 규정하고, 같은 법시행규칙 제11조는 "양도자의 친지"라 함은 양도자와 동향관계, 동창관계, 동일직장관계 등으로 인하여 친한 사실이 객관적으로 명백한 자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는 바, 이러한 자들을 특수관계에 있다고 하려면 실질과세나 공평과세 등 과세원칙의 법리상 과세원인발생 당시에 그와 같은 관계에 있어야하고, 양도자와 친한 사실이 객관적으로 명백히 입증되어야 하며 그 입증책임은 과세관청인 피고에게 있다 는 것이 당원의 견해이다( 당원 1989.3.28. 선고 88누7132 판결; 1988.1.19. 선고 87누698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소외 강 재성, 같은 송영철이 원고에게 이 사건 주식을 양도할 때에는 이미 원고가 대표이사로 있는 소외 중원상사주식회사를 그만 두고 원고와 같은 직장에 없었을 뿐 아니라 원고와 친한 사실이 객관적으로 명백하다고 인정할 만한 증거도 없었으므로 원고가 위 소외인들과 특수관계에 있는 자임을 전제로 한 이 사건 증여세부과처분은 위법하다고 판단하고 있는 바, 이러한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소론과 같은 법리오해나 사실오인 또는 심리미진의 위법이 없으니 논지는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상원(재판장) 이회창 배석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직장 동료끼리 주식 거래, 그냥 친하다고 특수관계인가요? (상속세와 증여세 함정 피하기)

상속세 또는 증여세를 피하기 위해 친한 사람에게 재산을 싸게 팔았다고 주장하는 경우, 단순히 같은 직장에 다닌다는 사실만으로는 특수관계로 인정되지 않으며, 과세하려면 세무서가 그들의 친분 관계를 객관적인 증거로 입증해야 한다.

#특수관계#과세#친분관계 입증책임#상속세

세무판례

아는 사이면 다 특수관계인가요? 증여세 폭탄 피하는 법!

상속세를 피하기 위해 제3자를 통해 배우자에게 재산을 넘기는 경우, 그 제3자가 단순히 양도인과 친분이 있다는 사실만으로는 상속세법상 '특수관계자'로 보기 어렵고, 실제로 '친한 사실이 객관적으로 명백함'을 과세 관청이 입증해야 한다는 판결.

#상속세#가장양도#친지#특수관계자

세무판례

내가 회사 임원이라고 회사 주주랑 특수관계인가요? 증여세 분쟁 사례

회사 임원이 회사 주주들로부터 주식을 시가보다 싸게 샀더라도, 그 주주들이 임원의 사용인이나 임원이 지배하는 회사의 임원이 아닌 이상 '특수관계'에 해당하지 않아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다.

#증여세#특수관계#저가매수#주식

세무판례

가족 회사 주식, 싸게 샀다고 무조건 증여세 내는 건 아닙니다!

회사 주식을 시가보다 싸게 사면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는데, 누구를 특수관계인으로 볼 것인지가 중요한 쟁점입니다. 이 판례는 특수관계인 판단 기준을 명확히 하고, 증여세 부과의 정당성을 판단한 사례입니다.

#특수관계인#증여세#주식#시가

세무판례

가족에게 싸게 팔았다고 증여세 안 낼 순 없어요! - 저가양도와 증여세

가족이나 친척 등 특수관계인에게 시세보다 훨씬 싸게 재산을 팔면, 그 차액만큼 증여한 것으로 간주하여 증여세를 부과합니다. 이때, 시세의 70%보다 싸게 팔았다고 해서 증여세를 감면해 주는 것은 아닙니다. 싸게 판 금액과 시세 차액 전체가 증여액으로 계산됩니다.

#특수관계자#저가양도#증여세#시세차액

세무판례

비싸게 팔았다고 무조건 증여세 내는 건 아닙니다!

특수관계가 없는 사람에게 시가보다 비싼 가격으로 주식을 팔았더라도, 그 가격이 정당한 이유가 있다면 증여로 보아 증여세를 부과할 수 없고, 정당한 이유가 없다는 것을 입증할 책임은 세무서에 있습니다.

#증여세#시가#주식#정당한 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