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90다6248

선고일자:

199102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자동차운전사의 가동연한을 경험칙에 의하여 인정하기 위한 증거조사방법

판결요지

경험칙이란 각개의 경험으로부터 귀납적으로 얻어지는 사물의 성상이나 인과의 관계에 관한 사실판단의 법칙으로서 구체적인 경험적 사실로부터 도출되는 공통 인식에 바탕을 둔 판단형식이므로 어떠한 경험칙이 존재한다고 하기 위하여서는 이를 도출해 내기 위한 기초되는 구체적인 경험적 사실의 존재가 전제되어야 하는바, 자동차운전사의 가동연한을 경험칙에 의하여 인정하기 위하여는 피해자의 평균여명 이외에 자동차운전사의 연령별 근로자수, 취업율 또는 근로참가율, 근로조건 및 정년제한 등 그 경험칙을 도출해 내기 위한 기초되는 구체적인 경험적 사실에 관하여 심리 판단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763조, 제393조, 민사소송법 제187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9.12.26. 선고 88다카16867 전원합의체판결(공1990,356), 1990.6.12. 선고 90다카2397 판결(공1990,1467)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김수희 외 2인 【피 고】 남북택시주식회사 【피고보조참가인, 상고인】 한국자동차보험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규진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0.7.26. 선고 90나1823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의 일실수입손해에 관한 피고 패소부분 중 원고 김수희에 대하여 금 21,128,269원, 원고 김만석에 대하여 금 15,628,269원, 원고 김향순에 대하여 금 10,752,180원을 각 초과하여 인용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부산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피고 보조참가인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들의 피상속인인 망 김재봉은 1938.2.8.생으로 이 사건 사고 당시 50세 11월 남짓한 보통 건강한 남자이고 그 평균여명은 19.94년인 사실, 위 망인은 1968.2.15. 소외 대한통운주식회사에 운전사로 입사하여 근무하다가 1973.1.24. 퇴사하였으며, 다시 1974.11.14. 운전사로 입사하여 근무하다가 이 사건 사고를 당하였는데, 위 회사의 운전기사의 정년이 55세인 것을 인정하고는 자동차 운전사는 그 업무내용에 비추어 60세가 될 때까지 가동할 수 있음은 경험칙상 명백하다고 한 다음, 위 망인은 정년퇴직 다음날부터 그의 평균여명 이내로서 운전사로서의 가동연한인 60세가 될 때까지는 그의 경력 등에 비추어 도시일용노동보다는 자동차 운전사로 종사할 개연성이 더 높다 하여 자동차 운전사로서의 수입을 기준으로 하여 위 기간동안 일실수익을 산출하였다. 그러나 원심의 판단 가운데 자동차운전사의 가동연한에 대하여 이를 경험칙상 60세가 될 때까지로 인정한 부분은 성급한 단정이라 아니할 수 없다. 경험칙이란 각개의 경험으로부터 귀납적으로 얻어지는 사물의 성상이나 인과의 관계에 관한 사실판단의 법칙으로서 구체적인 경험적 사실로부터 도출되는 공통인식에 바탕을 둔 판단형식이므로 어떠한 경험칙이 존재한다고 하기 위하여서는 이를 도출해내기 위한 기초되는 구제적인 경험적 사실의 존재가 전제되어야 하는 것이다( 당원 1989.12.26. 선고 88다카16867 판결; 1990.6.12. 선고 90다카2397 판결 참조). 따라서 원심의 자동차 운전사의 가동연한을 경험칙에 의하여 인정하기 위하여는 원심이 인정한 망인의 평균여명 이외에 자동차 운전사의 연령별 근로자수, 취업율 또는 근로참가율, 근로조건 및 정년제한 등 그 경험칙을 도출해내기 위한 기초되는 구체적인 경험적 사실에 관하여 심리판단하였어야 하는 것이다. 물론 피해당사자 본인의 연령, 직업, 경력, 건강상태 등 구체적인 사정과 근로환경 등을 고려하여 그 가동연한을 인정하는 방법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이에 관하여 아무런 심리 판단도 없이 만연히 자동차 운전사의 가동연한이 경험칙상 60세가 될 때까지라고 판단한 것은 채증법칙을 위배하여 사실을 오인한 위법을 저지른 것이라고 할 것이다. 논지는 이유있다. 이상의 이유로 원심판결의 일실수입 손해에 관한 피고 패소부분 중 피고의 불복범위 내에서 원고 김수희에 대하여 금 21,128,269원, 원고 김만석에 대하여 금 15,628,269원, 원고 김향순에 대하여 금 10,752,180원을 각 초과하여 인용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상원(재판장) 박우동 배석 윤영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택시 운전사의 가동연한, 60세로 인정한 판결

개인택시 운전사의 나이, 경력, 건강, 지역 내 고령 운전사 수 등을 고려하여 운전 업무의 어려움을 감안, 가동연한(일할 수 있는 나이)을 60세로 판단한 원심 판결을 대법원이 확정했습니다.

#개인택시#가동연한#60세#손해배상

민사판례

택시 운전, 55세 넘어서도 할 수 있어요! 가동연한에 대한 오해 풀기

육체노동을 하는 사람의 가동연한을 무조건 55세로 보는 것은 더 이상 현실적이지 않으며, 택시 운전도 마찬가지로 55세를 넘어서도 일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택시#가동연한#55세#육체노동

민사판례

목사의 가동연한, 70세까지라고 단정 지을 수 있을까요?

교통사고로 다친 목사의 소득 손실 배상액을 계산할 때, 목사가 70세까지 일할 수 있다고 단정 지은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입니다. 목사의 직무 특성이나 개별적인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경험칙만으로 가동연한(일할 수 있는 나이)을 정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목사#가동연한#70세#경험칙

민사판례

60세 이상의 소득 손실 계산, 어떻게 할까요?

60세가 넘는 사람의 소득 손실을 계산할 때, 법원은 획일적인 통계자료 뿐 아니라 개인의 상황도 고려하여 일할 수 있는 기간(가동연한)을 정할 수 있다.

#가동연한#60세 이상#소득 손실#배상

상담사례

교통사고로 일 못하면? 자영업자 가동연한, 뭘까요?

교통사고를 당한 자영업자의 가동연한(소득 가능 기간)은 정해진 나이가 아니라 나이, 직업, 건강 상태 등 개인적 상황과 사회·경제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된다.

#교통사고#자영업자#가동연한#일실수입

민사판례

농업 종사자의 가동연한, 만 60세 넘길 특별한 사정 있어야 인정

농촌에서 일하는 사람의 소득 손실을 계산할 때 일할 수 있는 나이(가동연한)는 보통 60세까지로 봅니다.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60세를 넘겨서도 일할 수 있다고 인정하기는 어렵습니다.

#농업#가동연한#60세#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