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표법위반

사건번호:

90도1534

선고일자:

199009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등록취소사유가 있는 등록상표와 동일유사한 상표를 사용하는 행위가 상표권 침해가 되는지 여부(적극) 나.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벌금 10,000,000원을 선고한 항소심 판결의 불이익변경금지원칙 위반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 등록된 상표인 이상 비록 구 상표법(1990.1.13. 법률 제4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법률) 제45조 제1항 제3호 본문에 정한 등록취소의 사유가 있다 하더라도 심판에 의하여 취소가 확정되기까지는 등록상표로서의 권리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므로 상표권자의 동의 없이 그 상표와 동일유사한 상표를 그 지정상품과 동일유사한 상품에 사용하는 행위는 구 상표법 제36조 제1호에 해당되어 같은 법 제60조에 의하여 처벌된다. 나.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벌금 10,000, 000원을 선고한 항소심판결은 불이익변경금지원칙에 위반되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가. 구 상표법 제36조 제1호 , 제45조 제1항 제3호 , 제60조 / 나. 형사소송법 제368조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4.4.10. 선고 82후26 판결(공1984,820), 1989.3.28. 선고 87후139 판결(공1989,683) / 나. 대법원 1966.9.27. 선고 66도1026 판결(집14(3) 형19)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윤재식 【원심판결】 서울형사지방법원 1990.6.22. 선고 90노214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피고인 및 변호인의 상고이유를 함께 판단한다. 이 사건 상표들이 상표로서 등록된 이상 비록 구 상표법(1990.1.13 법률 제4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법률, 이하 같다) 제45조 제1항 제3호 본문에 정한 등록취소의 사유가 있다 하더라도 심판에 의하여 취소가 확정되기까지는 등록상표로서의 권리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므로( 당원 1989.3.28.선고 87후139 판결) 그 상표와 동일유사한 상표를 그 지정상품과 동일유사한 상품에 사용하는 행위는 구 상표법 제36조 제1호에 해당되어 같은 법 제60조에 의하여 처벌된다. 징역 10월, 미결구금 5일,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제1심판결을 파기하고 벌금 10,000,000만원을 선고한 것은 불이익변경금지원칙에 위반되지 아니한다. 징역 10년 미만의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는 것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회창(재판장) 배석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상표등록 취소 심결 받았어도, 그 전에 한 침해는 처벌!

상표등록이 취소될 예정이거나 취소 심결을 받았더라도, 그 취소가 최종 확정되기 전에 벌어진 상표권 침해 행위는 여전히 범죄로 처벌받습니다.

#상표등록취소#심결확정#침해행위#상표권침해죄

특허판례

상표권 포기와 3년간 등록 제한: 취소심판 청구 중이라면?

상표권자가 자신의 상표를 사용하지 않아 취소심판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상표권을 포기하더라도, 이후 취소심판 청구가 각하되더라도 3년 동안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표를 새로 등록할 수 없습니다.

#상표권 포기#취소심판#동일·유사 상표 등록 금지#3년 제한

형사판례

이미 유명한 상표와 비슷하게 등록했다가 나중에 무효가 된 경우, 그 사이에 유명 상표를 사용한 건 침해일까?

먼저 상표 등록을 한 사람이 있더라도, 그 전부터 특정 지역에서 유사한 상표가 널리 알려져 있었다면 나중에 등록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취소되기 *전까지는* 등록된 상표가 유효하기 때문에, 유사한 상표를 함부로 사용하면 상표권 침해가 됩니다.

#상표권 침해#주지상표#상표등록#무효

특허판례

여러 상품에 등록된 상표, 일부만 사용해도 취소 안될까?

하나의 상표가 여러 상품에 등록되어 있고, 그 중 일부 상품에서 상표를 사용한 사실이 인정되면, 사용하지 않은 다른 상품에 대해서도 상표 등록이 유지된다. 상표 등록 취소 심판은 전체 지정상품을 하나로 보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상표#등록취소#일부사용#지정상품

특허판례

상표권 취소심판, 비슷한 상표 사용했다고 안 써도 되는 건 아니에요!

등록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상표 사용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상표등록취소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 이해관계인의 범위가 넓게 해석된 판례입니다.

#유사상표#상표등록취소심판#이해관계#상표사용

특허판례

나도 모르는 사이 상표권 취소?! 유사 상표 사용의 함정

여러 개의 비슷한 상표를 사용하던 기업이 그중 하나만 상표 등록하고, 나머지 미등록 상표를 계속 사용해서 소비자 혼란을 가중시킨 경우, 등록된 상표라도 취소될 수 있다.

#상표등록취소#미등록상표#소비자혼란#부정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