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90도1639

선고일자:

199009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수인이 범죄실행을 공모하고 그 중 일부만이 실행행위를 한 경우 공모자 모두가 공동정범이 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형법 제30조에서 "2인 이상이 공동하여 죄를 범한 때"라 함은 반드시 범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행위의 전부 또는 일부의 실행에 공동가공한 경우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수인이 공동하여 범죄의 실행을 모의하고 그 공동의사를 실행하기 위하여 모의자 중의 일부만이 실행행위를 담당하여 범죄를 수행한 경우에도 공모자는 모두 정범으로 처벌되는 것이다.

참조조문

형법 제30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3.10.11. 선고 83도1942 판결(공1983,1681), 1984.9.11. 선고 84도1383 판결(공1984,1677), 1988.4.12. 선고 87도2368 판결(공1988,965)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김원기 외 1인 【원심판결】 대구고등법원 1990.6.27. 선고 90노26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32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피고인 및 변호인들의 상고이유를 함께 판단한다. 형법 제30조에서 '2인 이상이 공동하여 죄를 범한 때'라 함은 반드시 범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행위의 전부 또는 일부의 실행에 공동가공한 경우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고, 수인이 공동하여 범죄의 실행을 모의하고 그 공동의사를 실행하기 위하여 모의자 중의 일부만이 실행행위를 담당하여 범죄를수행한 경우에도 공모자는 모두 정범으로 처벌되는 것이다 ( 당원 1984.9.11.선고 84도1383 판결; 1983.10.11.선고 83도1942 판결 등 참조).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 채용증거들을 기록에 대조 검토하여 볼 때 피고인이 원심공동피고인 등과 함께 제1심판시 살인 등 범행을 모의하고 그 중 일부공동피고인 등이 직접 그 범행들을 실행한 사실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으므로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피고인에 대한 제1심판시 살인 및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범행들을 유죄로 인정하여 제1심판결을 유지한 것은 옳고 그 증거취사과정에 채증법칙위반의 위법이나 형법의 공동정범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소론은 첫째 공동정범에 있어서는 모의에 가담한 이외에 반드시 실행행위를 분담하여야 한다는 것이나 이는 독자적 견해에 불과하여 이를 채용하지 아니하는 바이며, 둘째 원심이 피고인이 공모자들의 실행의 착수 전에 범행에 가담한 사실이 인정된다는 이유로 피고인을 그 정범으로 처벌한다고 판시한 것은 결국 예비과정에 가담한 사실만 가지고 바로 정범으로 처벌한다는 것이어서 위법하다는 것이나 앞서 본 바와 같이 피고인이 그 범행의 모의에 가담하여각 범행의 정범에 해당되는 이상 원심의 위 판시부분은 부수적인 판단에 불과하여 판결결과에 영향이 없다. 또한 징역 10년 미만의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서 관대한 처분을 바란다는것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아니한다. 논지는 모두 이유없음에 돌아간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32일을 본형에 산입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석(재판장) 이회창 김상원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범죄를 저지르면 모두 처벌받을 수 있을까? - 공동정범에 대한 오해와 진실

여러 사람이 범죄를 저지를 때, 사전에 전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않았더라도 서로 암묵적으로 동의하고 함께 범행했다면 공동정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공동정범#암묵적 의사 합치#사전 모의 불필요#형법 제30조

형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범죄를 저지르면 모두 처벌받을까? - 공모공동정범 이야기

여러 사람이 직접 모의하지 않았더라도 순차적 또는 암묵적으로 서로 뜻이 통하여 범죄를 저지르기로 했다면, 범행을 직접 실행하지 않은 사람도 공동정범으로 처벌받습니다.

#공모공동정범#순차적/암묵적 공모#처벌#형법 제30조

형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범죄를 저지르면 어떤 처벌을 받을까요? 공동정범에 대한 이야기

여러 사람이 함께 범죄를 저지르기로 마음을 먹은 경우(공모), 직접 피해자를 살해하지 않았더라도 살해 행위에 가담했다면 공동정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공동정범#살인#공모#암묵적 합의

형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범죄를 저지르면 어떻게 처벌될까요? (공모공동정범)

여러 사람이 함께 짜고 다단계 방식으로 사기를 친 사건과 마약을 투약한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공모(함께 범죄를 꾸미는 것)는 꼭 직접 만나서 모의하지 않더라도, 순차적 또는 암묵적으로 의사가 통하면 성립한다는 점과, 범죄의 특성상 피해자를 일일이 특정하기 어렵더라도 피고인의 방어권 행사에 지장이 없다면 공소사실이 특정되지 않았다고 볼 수 없다는 점을 명시했습니다.

#다단계 사기#마약 투약#공모#범의

형사판례

몇 명이서 같이 범죄를 저지르면 모두 똑같이 처벌받나요? (공모공동정범)

여러 사람이 범죄를 저지를 때, 사전에 구체적인 모의를 하지 않았더라도 서로 암묵적으로 동의하고 범죄에 대한 인식을 공유했다면 모두 공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공모공동정범#암묵적 동의#공범 처벌#형법 제30조

형사판례

여러 명이 함께 범죄를 저질렀을 때, 모두 처벌받을까? (공동정범 이야기)

여러 명이 함께 범죄를 저지르는 공동정범이 성립하려면, 단순히 다른 사람의 범죄를 알고도 방치한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함께 범죄를 저지르기로 하는 의사가 있어야 하며, 실제로 범죄 실행에 관여해야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피고인들이 다른 사람의 소스프로그램 도용 사실을 알았더라도, 함께 범죄를 저지르겠다는 의사나 범죄 실행에 대한 지배가 있었다고 보기 어려워 공동정범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공동정범#승계적 공동정범 불인정#소스프로그램 도용#공모 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