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90도2153

선고일자:

199101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2조 제2항 소정의 상해 또는 폭행의 공동범의 구성요건 나. 피해자에게 욕설을 한 것이나 또는 피해자 집의 대문을 발로 찬 것만으로 당연히 폭행이 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2조 제2항의 "2인 이상이 공동하여 상해 또는 폭행의 죄를 범한 때"라고 함은 그 수인간에 소위 공범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것이고, 또 수인이 동일 장소에서 동일기회에 상호 다른 자의 범행을 인식하고 이를 이용하여 범행을 한 경우임을 요한다 할 것이므로 갑이 피고인의 폭행을 만류한 것이라면 피고인이 갑과 공 동하여 위 법률 위반죄를 범하였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나. 형법 제260조에서 말하는 폭행이란 사람의 신체에 대하여 유형력을 행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피고인이 피해자에게 욕설을 한 것만을 가지고 당연히 폭행을 한 것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고, 피해자 집의 대문을 발로 찬 것이 막바로 또는 당연히 피해자의 신체에 대하여 유형력을 행사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수도 없다.

참조조문

가.나. 형법 제260조 / 가. 제30조, 제257조,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2조 제2항

참조판례

가. 대법원 1986.6.10. 선고 85도119 판결(공1986,894), 1990.10.30. 선고 90도2022 판결(공1990,2488), 1990.2.13. 선고 89도1406 판결(공1990,701)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부산지방법원 1990.8.22. 선고 90노141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이 유지한 제1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피고인은 공소외 인과 공동하여 1987.1.18. 09:00 경 피해자 1의 집에서 피고인은 그 집대문을 발로 차고 피해자 1의 처인 피해자 2에게 " 이 개같은 년아"라고 욕을 하면서 피해자 1의 멱살을 잡아 흔들고 이때 공소외인은 옆에서 위세를 보여 위 피해자들을 폭행한 것이라고 하여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2조 제2항, 제1항, 형법 제260조 제1항을 적용하여 처단하였다. 2. 그러나 원심이 들고 있는 제1심 판결 적시의 증거들에 의하여도 공소외인이 피고인과 공동하여 위 피해자들을 폭행하였다고 인정하기는 어렵다. 그리고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2조 제2항의 "2인 이상이 공동하여 상해 또는 폭행의 죄를 범한 때"라고 함은 그 수인간에 소위 공범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것이고, 또 수인이 동일 장소에서 동일기회에 상호 다른자의 범행을 인식하고 이를 이용하여 범행을 한 경우임을 요한다 할 것인데( 당원 1986.6.10. 선고 85도119 판결 참조), 기록을 살펴보면 공소외인은 경찰이나 검찰에서 모두 위 폭행사실을 부인한 것으로 되어 있고(수사기록 16,49면), 피해자 1의 제1심법정에서의 증언에도 그와 같은 내용의 진술은 없으며, 사법경찰리작성의 피해자 1에 대한 진술조서나 검사작성의 피고인 및 공소외인에 대한 피의자 심문조서 중 피해자 1의 진술(대질)기재부분에 의하면 공소외인은 피고인의 폭행을 오히려 만류한 것으로 되어 있는 바(수사기록 25,50,56면), 이와 같이 공소외 신종학이 피고인의 폭행을 만류한 것이라면 피고인이 위 신종학과 공동하여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2조 제1항 게기의 죄를 범하였다고 할 수는 없을 것 이다. 3. 또한 형법 제260조에서 말하는 폭행이란 사람의 신체에 대하여 유형력을 행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피고인이 피해자 신종화에게 판시와 같은 욕설을 한 것만을 가지고 당연히 폭행을 한 것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고, 피해자 박문기 집의 대문을 발로 찬 것이 막바로 또는 당연히 피해자 신종화의 신체에 대하여 유형력을 행사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수도 없다. 제1심이나 원심으로서는 피고인이 피해자 1에 대하여서 뿐 아니라 피해자 2에 대하여도 폭행을 하였다고 인정하려면 피고인이 피해자 1 집의 대문을 차고 욕설을 한 것이 어떻게 해서 피해자 2의 신체에 대한 유형력을 행사한 것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범죄사실에 구체적으로 적시하여야 할 것이다. 4. 따라서 원심판결에는 폭행과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2조 제2항의 법리를 오해하였거나 심리를 미진하고 채증법칙을 위배한 것아니면 이유불비의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고, 이는 판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이 부분 논지는 이유 있다. 그러므로 나머지 부분에 대한 판단을 할 것 없이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우만(재판장) 윤관 배만운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싸움 말리다 폭행? 공동폭행죄 성립은 어떻게 될까?

딸이 싸움을 하는 것을 아버지가 말리기 위해 상대방에게 유형력을 행사한 경우, 딸과 아버지가 공동으로 폭행을 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싸움을 말리는 행위는 정당방위 또는 위법성 조각 사유로 인정되어 죄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싸움 말리기#공동폭행 불인정#정당방위#위법성 조각

형사판례

차로 사람을 위협하는 것도 폭행일까?

다른 사람의 차를 가로막고 있는 사람을 향해 차를 부딪힐 듯 말 듯 조금씩 움직이며 위협하는 행위는 신체적 접촉이 없더라도 폭행죄에 해당한다.

#차량위협#폭행죄#유형력#정신적고통

형사판례

폭행, 같이 때려야 공동폭행?

여러 사람이 폭행을 모의했더라도, 실제로 2명 이상이 현장에서 직접 폭행해야 공동폭행죄가 성립합니다. 단순히 현장에 있거나 폭행 장면을 촬영만 한 경우에는 공동폭행죄로 처벌할 수 없습니다.

#공동폭행죄#현장폭행#촬영#방조

형사판례

강간죄에서 폭행·협박의 정도, 얼마나 심해야 할까?

20대 여성을 강간했다는 혐의로 기소된 남성의 상고심에서 대법원은 원심이 폭행·협박의 정도에 대한 심리가 부족했다며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했습니다. 강간죄가 성립하려면 피해자의 항거를 불능하게 하거나 현저히 곤란하게 할 정도의 폭행·협박이 있어야 하는데, 원심은 이 부분을 제대로 심리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강간죄#폭행·협박#심리미진#파기환송

형사판례

주차 방해로 강요죄가 성립할까?

다른 사람의 집 대문 앞에 차를 주차해서 차량 출입을 막는 행위가 강요죄의 '폭행'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단순히 차량 출입을 막는 것만으로는 강요죄의 폭행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주차방해#강요죄#폭행#유형력

형사판례

상습 폭행? 단순 폭행? 판결 뒤집힌 사연!

여러 차례 폭행 전과가 있고, 집행유예 기간 중 또 폭행을 저지른 피고인에 대해 1심과 2심 법원이 상습성을 인정하지 않았으나, 대법원은 여러 정황 증거를 들어 상습 폭행으로 판단하여 원심을 파기하고 다시 재판하도록 했습니다.

#상습폭행#파기환송#폭력습벽#정황증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