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미수,범인도피

사건번호:

90도2439

선고일자:

199012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피의자 간에 연락하여 만나게 해 주고 도피를 용이하게 한 행위가 범인도피죄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형법 제151조에서 규정하는 범인을 도피하게 한 경우란 은닉 이외의 방법으로 관헌의 체포, 발견을 곤란 또는 불가능하게 하는 일체의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피고인이 살인미수의 피의자를 상피고인에게 연락하여 만나게 해주고 동인으로 하여금 도피를 용이하게 한 경우 범인도피죄에 해당한다.

참조조문

형법 제151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피고인 1,4에 대하여) 및 피고인 2,3,4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0.9.20. 선고 90노2258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피고인 2, 3에 대하여는 상고후의 구금일수중 90일을 본형에 각 산입한다. 【이 유】 1. 검사의 상고이유를 본다.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이 피고인 1과 4에 대한 살인미수의 점에 대하여, 같은 피고인들이 상피고인 2이나 3 등의 범행에 공모, 가담하였다고 인정되지 아니하여 범죄사실의 증명이 없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설시한 이유를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있다고 할 수는 없다. 피고인 1이나 4는 사법경찰리 작성의 그들에 대한 각 피의자신문조서의 내용을 부인하고 있으므로 그 조서 중에 공소사실에 부합하는 일부진술이 들어 있다고 하여도 유죄의 증거로 쓸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이 사건에서 소론과 같은 정황이 있다고 하여도 이 부분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키는 어렵다 할 것이므로 원심이 설시하는 여러 사실을 종합한다 하더라도 합리적인 의심이 없는 정도에 이른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한 것이 위법이라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사실심인 원심의 전권사항을 탓하는 것으로서 이유 없다. 2. 피고인 2과 그 변호인 (국선, 사선)의 상고이유를 함께 본다. 원심의 피고인 2에 대한 사실인정을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채증법칙의 한계를 벗어난 위법이 있다고 할 수는 없고, 사실이 원심이 인정한 바와 같다면 피고인 2를 살인미수의 공범으로 의율처단한 원심의 조처도 정당하며, 거기에 살인미수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리고 기록을 통하여 양형의 조건이 되는 여러 사정에 비추어 보면 같은 피고인에 대한 원심의 양형이 심히 무거워 부당하다고 인정할 현저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수도 없다. 따라서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3. 피고인 3과 그 변호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기록을 살펴보면 피고인 3에 대한 원심의 사실인정도 수긍이 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또한 같은 피고인에 대하여 양형의 조건이 되는 여러 사정에 비추어 보아도 원심의 양형이 심히 무거워 부당하다고 인정할 현저한 사유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수는 없다. 논지도 모두 이유 없다. 4. 피고인 4와 그 변호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이 같은 피고인에 대하여 범인도피사실을 인정한 것도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소론과 같이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형법 제151조에서 규정하는 범인을 도피하게 한 경우란 은닉 이외의 방법으로 관헌의 체포, 발견을 곤란 또는 불가능하게 하는 일체의 행위를 의미하는것이므로 같은 피고인이 판시와 같은 경위로 살인미수의 피의자인 공소외 김태형을 피고인 심경숙에게 연락하여 만나게 해 주고 판시와 같은 말을 하여 동인으로 하여금 도피에 용이하게 하였다면 범인도피죄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논지는 같은 피고인이 공소외인에게 자수를 권유한 것 뿐이라고 주장하여원심의 전권인 사실인정을 탓하거나 원심이 인정하지 아니한 사실관계에 터잡아 원심판결에 범인도피죄에 대한 법리오해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어서 받아들일 수 없다. 논지도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피고인 2, 3에 대하여는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일부를 본형에 산입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우만(재판장) 배석 배만운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억울하게 범인도피죄로 몰렸다면? - 참고인의 허위 진술과 범인도피죄

수사기관에서 참고인이 범인에 대해 허위 진술을 하더라도, 적극적으로 수사기관을 속여 범인의 발견이나 체포를 어렵게 만들 정도가 아니라면 범인도피죄로 처벌할 수 없다.

#참고인#허위진술#범인도피죄#적극적 은닉 의도

형사판례

범인의 도피 요청, 언제 범인도피교사죄가 될까?

범인이 단순히 도피를 위해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만으로는 범인도피교사죄가 성립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타인에게 허위 자백을 시키는 등 방어권을 남용하여 타인이 범인도피죄를 짓도록 하는 경우에는 범인도피교사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범인도피교사죄#방어권남용#도피#허위자백

형사판례

사실혼 배우자, 범인도피죄로 처벌될까?

사실혼 관계에 있는 사람이 배우자를 위해 범인도피 또는 증거인멸을 해도 처벌받습니다. 법에서 정한 '친족'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실혼#범인도피죄#증거인멸죄#친족 특례

형사판례

범인도피죄, 어디까지 처벌될까?

범인도피죄는 범인의 도주를 돕거나 도주를 직접적으로 용이하게 하는 행위에 한정되며, 간접적인 도움이나 사회적으로 상당한 행위는 범인도피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범인도피죄#도주#직접적 용이#간접적 도움

형사판례

친구가 범죄자인 걸 알면서도 모른 척하면 범인도피죄일까?

단순히 수사기관에서 범인에 대해 허위 진술을 했다고 해서 무조건 범인도피죄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수사기관을 적극적으로 속여서 범인의 발견이나 체포를 어렵게 만들 정도가 되어야 범인도피죄로 처벌받습니다.

#범인도피죄#허위진술#수사방해#적극적 기망

형사판례

뺑소니 사고 후 범인도피, 나중에 가담해도 공범?

이미 다른 사람이 숨겨주고 있는 범인을 알면서도 뒤늦게 함께 숨겨주는 행위를 한 경우, 범인도피죄의 공동정범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범인도피#공동정범#도주#은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