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도

사건번호:

90도573

선고일자:

199005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회사의 채권을 확보할 목적으로 회사의 총무과장이 채무자 소유의 자동차를 채무자의 승낙없이 운전하여 회사로 옮겨 놓은 다음, 법원의 가압류결정과 감수보존명령에 따라 집달관이 보관하게 될 때까지 위 회사의 지배하에 둔 경우 불법영득의사의 유무(적극)

판결요지

회사의 총무과장이 회사의 물품대금채권을 확보할 목적으로 채무자의 승낙을 받지 아니한 채 그의 의사에 반하여 부산에 있는 그의 점포 앞에 세워놓은 그의 소유인 자동차를 운전하여 광주에 있는 위 회사로 옮겨놓은 다음, 광주지방법원의 가압류결정과 감수보존명령에 따라 집달관이 보존하게 될 때까지 위 회사의 지배하에 두었다면, 위 자동차의 권리자를 배제하고 타인의 물건을 자기의 소유인 것과 마찬가지로 그 경제적용법에 따라 이용하거나 처분할 의사로 자동차를 광주로 운전하여 간 것으로 보지 않을 수 없으므로 불법영득의 의사가 있었다고 볼 수 밖에 없다.

참조조문

형법 제329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광주지방법원 1990.2.15. 선고 89노81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피고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원심이 적법하게 사실을 확정한 바와 같이, 피고인이 주식회사 신한제약의 총무과장으로서 위 회사의 박 종원에 대한 물품대금 채권을 확보할 목적으로, 박 종원의 승낙을 받지 아니한 채 그의 의사에 반하여 그가 자신이 경영하는 부산에 있는 점포 앞에 세워놓은 그의 소유인 자동차를 운전하여 광주에 있는 위 회사로 옮겨 놓은 다음, 그 자동차를 법원의 가압류결정과 감수보존 명령에 따라 집달관이 보관하게 될 때까지 위 회사의 지배하에 두었다면,피고인이 위 자동차의 권리자를 배제하고 타인의 물건을 자기의 소유인 것과 마찬가지로 그 경제적 용법에 따라 이용하거나 처분할 의사로 위 자동차를 광주로 운전하여 간 것으로 보지 않을 수 없으므로, 피고인에게는 불법영득의 의사가 있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이와 취지를 같이 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이 절도죄의 구성요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가 없다. 그러므로 피고인의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재성(재판장) 박우동 윤영철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내 차를 내가 가져왔는데 왜 절도죄?

빌린 차를 돈을 못 갚아 빼앗긴 후, 되찾아 소유자에게 돌려줬더라도 절도죄가 성립한다는 판결.

#절도죄#불법영득의사#절취#차량

형사판례

돈 떼였다고 남의 물건 함부로 가져가면 절도죄!

돈을 빌려주고 못 받았다고 해서 함부로 채무자의 물건을 가져가면 절도죄가 된다는 판결입니다. 채권 확보 목적이라도, 주인 허락 없이 물건을 가져가면 안 됩니다. 자기 마음대로 해결하려 하지 말고 법대로 하라는 이야기입니다.

#절도죄#채권추심#자구행위#추정적승낙

형사판례

돈 맡기러 은행 갔다가 차 훔쳐간 운전기사, 유죄일까? 무죄일까?

회사 운전기사가 사장 부인의 심부름으로 은행에서 돈을 인출한 후, 회사 차를 타고 도주한 사건에서, 1심과 2심에서 절도에 대한 무죄 판결이 나왔으나, 대법원은 절도의 고의(불법영득의사)가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사건을 다시 재판하도록 파기환송했습니다.

#회사차#운전기사#돈 인출#도주

형사판례

엄마 명의 차 몰래 가져가면 절도일까?

다른 사람 이름으로 등록한 차를 담보로 준 후 몰래 가져가면 절도죄로 처벌받는다. 법적으로 차량 명의자가 진짜 주인이기 때문이다.

#명의신탁#자동차#담보#절도죄

형사판례

할부금 안 냈다고 마음대로 물건 가져가면 절도죄?

돈을 다 내지 않으면 물건을 회수해 가도 좋다는 약정이 있더라도, 물건 주인의 동의 없이 마음대로 가져가면 절도죄가 된다.

#할부금 미납#물건 회수#약정#무단 회수

형사판례

상사와 싸우고 회사 돈 들고 나왔는데 절도가 아니라고?

회사 비자금을 관리하던 직원이 상사와 다툰 후 사표를 내고 비자금이 든 가방을 가져갔지만, 절도죄로 처벌되지 않았습니다. 법원은 그가 회사를 위해 비자금을 계속 보관하는 것으로 보았고, 불법적으로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는 의도(불법영득의사)가 없었다고 판단했습니다.

#비자금#절도죄#불법영득의사#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