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의부양협조등

사건번호:

90므781,798(반심)

선고일자:

199110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가사

사건종류코드:

400103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부부간의 상호부양의무에 있어 이행청구 전의 부양료에 대한 지급청구의 가부(소극)

판결요지

민법 제826조가 규정하고 있는 부부간의 상호부양의무는 부부 중 일방에게 부양의 필요가 생겼을 때 발생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이에 터잡아 부양료의 지급을 구함에 있어서는 그 성질상 부양의무자가 부양권리자로부터 그 재판상 또는 재판외에서 부양의 청구를 받고도 이를 이행하지 않음으로써 이행지체에 빠진 이후의 분에 대한 부양료의 지급을 구할 수 있음에 그치고 그 이행청구를 받기 전의 부양료에 대하여는 이를 청구할 수 없다고 해석함이 형평에 맞는다고 할 것이다.

참조조문

민법 제826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청구인(반심피청구인), 상고인 겸 피상고인】 【피청구인(반심청구인), 피고인 겸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0.7.13. 선고 89르4208(본심),4215(반심) 판결 【주 문】 각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상고인 각자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청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민법 제826조가 규정하고 있는 부부간의 상호부양의무는 부부 중 일방에게 부양의 필요가 생겼을 때 발생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이에 터잡아 부양료의 지급을 구함에 있어서는 그 성질상 부양의무자가 부양권리자로부터 그 재판상 또는 재판외에서 부양의 청구를 받고도 이를 이행하지 않음으로써 이행지체에 빠진 이후의 분에 대한 부양료의 지급을 구할 수 있음에 그치고 그 이행청구를 받기 전의 부양료에 대하여는 이를 청구할 수 없다고 해석함이 형평에 맞는다고 할 것이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청구인이 피청구인에 대하여 최초로 부양청구를 한 시점이라고 볼 이 사건 본심판청구서 부본이 피청구인에게 송달된 다음 날로부터의 부양료에 대하여만 이를 인용하였음은 정당하고 반대의 견해에서 청구인에게 부담의 필요가 있었던 날로부터의 부양료가 지급되어야 한다는 논리로 원심판결을 비난하는 논지는 이유없다. 또한 기록에 대조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그 적시의 모든 사정을 참작하여 피청구인이 청구인에게 지급하여야 할 부양료의 액수를 그 판시와 같이 결정한 것은 이를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경험칙에 위배하여 부양료의 액수를 과소하게 산정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이 점을 비난하는 논지는 받아들일 수 없다. 2. 피청구인의 상고에 대하여 본다. 피청구인은 상고장에 상고이유를 기재하지 않았고 적법한 기간 내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도 않았으며 기록을 살펴보아도 원판결을 직권으로 파기할 사유도 보이지 않는다. 3. 그러므로 각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상고인 각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최재호(재판장) 윤관 김주한 김용준

유사한 콘텐츠

가사판례

부부간 부양료, 언제부터 청구할 수 있을까요?

배우자에게 생활비(부양료)를 청구하려면, 먼저 부양을 요청했는데도 배우자가 이를 거부했을 때부터만 가능합니다. 과거에 지급되지 않은 부양료는 청구할 수 없습니다.

#배우자#부양료#청구#시점

민사판례

배우자에게 생활비 달라고 할 때, 과거꺼까지 다 받을 수 있을까?

배우자에게 부양료를 청구하려면 상대방에게 부양을 요청했는데도 거부당한 이후의 비용만 청구할 수 있고, 과거에 요청하지 않은 부양료는 받을 수 없습니다.

#부양료#청구#과거#기각

가사판례

부모 부양, 언제까지 해야 할까요? 부양의무와 과거 부양료 청구에 대해 알아보자!

부모가 사망한 자녀의 배우자에게 과거 부양료를 청구하려면, 생전에 부양료 청구를 했으나 거절당했거나, 특별한 사정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자녀 사망 후에는 배우자가 재혼하지 않았더라도 함께 생계를 유지하지 않는 한 부양 의무가 없습니다.

#과거 부양료 청구#사망한 자녀 배우자#부양의무#부모

가사판례

부부간 생활비와 과거 부양료 청구에 대한 법원의 판단

부부는 서로 부양할 의무가 있지만, 과거 부양료는 상대방에게 부양을 요구했는데도 거부당한 이후의 것만 청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활비용 청구는 부부간 부양의무와 별개가 아닌, 그 의무 이행의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혼#과거부양료#부양의무#생활비

상담사례

배우자의 외도와 과거 부양료 청구, 가능할까요?

배우자의 외도로 경제적 지원이 끊겼어도 과거 부양료는 배우자에게 명확하게 요구했던 시점 이후의 미지급분만 청구 가능하며, 그 이전 부분은 특별한 사정 없이는 받기 어렵다.

#배우자 외도#과거 부양료 청구#요구 시점#미지급 생활비

가사판례

이혼소송 중에도 부양의무는 계속될까?

부부가 서로 이혼소송을 진행 중이더라도 이혼 판결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여전히 서로 부양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혼소송#부양의무#부양료#혼인파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