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절사정

사건번호:

90후1338

선고일자:

199105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출원상표 과 인용상표 의 유사 여부(소극)

판결요지

상표의 유사 여부는 동종 상품에 사용되는 두 개의 상표를 전체로서 관찰하여 그 외관, 칭호, 관념을 비교, 검토하여 판단하는 것이 원칙이고 상표의 결합이 부자연스럽고 일련 불가분적이라고 할 수 없는 예외적인 경우에만 그 구성부분을 분리 추출하여 비교 대조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인바, 출원상표 과 인용상표 를 대비해 보면 외관이 상이할 뿐아니라 출원상표의 문자표시 "OLIVIERMONTAGUT"는 조어로서 불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OLIVIER"와 "MONTAGUT"로 가분되어 호칭되거나 관념된다고 할 수 없고 전체적으로 "올리비에몬타구트"로 호칭된다고 할 것이며 조어인 출원상표로부터 "올리브"라는 관념이 우러나온다고 보기도 어려우므로 그 칭호와 관념도 인용상표와 유사하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

참조판례

대법원 1982.11.23. 선고 80후106 판결(공1983,213), 1987.2.24. 선고 86후121 판결(공1987,539), 1990.12.11 . 선고 90후1147 판결(공1991,487)

판례내용

【출원인, 상고인】 본느떼리 세베놀 에스·에이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재후 외 2인 【상대방, 피상고인】 특허청장 【원 심 결】 특허청 1990.6.23. 자 89항원1065 심결 【주 문】 원심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특허청 항고심판소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 제1, 2점을 함께 판단한다. 1. 원심결은 그 이유에서, 어느 상표가 두 개 이상의 칭호 또는 관념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경우 그 중 하나의 칭호 또는 관념이 다른 상표의 칭호나 관념과 유사하다면 유사상표라고 할 것이라고 전제한 후, 본원상표와 인용상표의 외관은 다르나 본원상표의 문자표시 중 "OLIVIER"는 "OLIVE, OLIVA, 올리브(열매), 올리브처럼 생긴 것, 올리브색"의 뜻으로 인용상표의 "OLIVE"와 관념 및 칭호가 동일 유사하다는 이유로 본원상표의 등록출원을 거절한 원사정을 유지하고 있다. 2. 그러나 상표의 유사여부는 동종상품에 사용되는 두개의 상표를 전체로서 관찰하여 그 외관, 칭호, 관념을 비교, 검토하여 판단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할 것이고 상표의 결합이 부자연스럽고 일련 불가분적이라고 할 수 없는 예외적인 경우에만 그 구성부분을 분리 추출하여 비교 대조하는 것이 허용된다고 할 것이다( 당원 1982.11.23. 선고 80후106 판결; 1987.2.24. 선고 86후121 판결; 1990.12.11. 선고 90후1147 판결 등 참조). 3. 기록에 의하면 본원상표는 도형과 문자를 결합하여 와 같이 구성되고 인용상표는 한글과 영문자를 병기하여 와 같이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바, 두 상표를 대비해 보면 외관이 상이할 뿐 아니라 본원상표의 문자표시 "OLIVIERMONTAGUT"는 조어로서 불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OLIVIER"와 "MONTAGUT"로 가분되어 호칭되거나 관념된다고 할 수 없고 전체적으로 "올리비에몬타구트"로 호칭된다고 할 것이며 조어인 본원상표로부터 "올리브"라는 관념이 우러나온다고 보기도 어려우므로 그 칭호와 관념도 인용상표와 유사하다고 할 수 없다. 원심이 본원상표의 구성부분 중에서 그 일부인 "OLIVIER"만을 따로 떼어 인용상표와 비교함으로써 서로 유사하다고 판단한 것은 상표의 유사여부 판단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논지는 이유 있다. 4. 그러므로 원심결을 파기하여 사건을 특허청 항고심판소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준(재판장) 최재호 윤관 김주한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레오나드'와 '레오나도'는 유사한 상표일까? 상표 유사 판단 기준 알아보기

상표의 일부가 기존 상표와 유사하면 전체 상표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어 등록이 거절될 수 있다. '레오나드(LEONARD)' 상표는 기존에 등록된 '레오나도 센발레(LEONARDO CENBALE)' 상표와 유사하여 등록이 거절되었다.

#상표#유사#등록거절#LEONARD

특허판례

ORANGE TAB, TAP과 유사할까요? 상표 유사 판단 기준 알아보기!

상표의 일부만으로도 다른 상표와 유사하다고 판단될 수 있으며, "ORANGE TAB"과 "TAP"은 유사한 상표로 인정되어 "ORANGE TAB" 상표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ORANGE TAB#TAP#상표 유사#등록 거절

특허판례

바다 진주와 진주, 같은 상표일까요? 상표 유사 판단 기준 알아보기

영어 단어 "OCEAN PEARL"과 한글 "진주"는 의미상 일부 유사성이 있지만, 전체적인 외관과 발음이 달라 일반 소비자가 상품 출처를 혼동할 가능성이 낮으므로 유사한 상표로 볼 수 없다.

#상표#OCEAN PEARL#진주#유사성

특허판례

상표 유사 판단, 핵심은 '소비자 혼동' 방지!

두 상표가 유사한지 판단할 때는 전체적인 느낌과 간략하게 불리는 호칭까지 고려해야 하며, 특히 외국인 성명이 포함된 상표라도 일부만으로 불릴 가능성이 있다면 유사 상표로 판단될 수 있다.

#상표 유사성#호칭#결합상표#성명상표

특허판례

'마리 프랑스' 상표, '마리끌레르'와 유사할까?

'Marie France' 상표는 기존에 등록된 'MARIE-CLAIRE + 마리끌레르' 상표와 유사하여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두 상표 모두 'Marie' 부분으로 불릴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소비자들이 상품 출처를 혼동할 우려가 있다는 것이 판결의 핵심입니다.

#상표#Marie France#MARIE-CLAIRE#마리끌레르

특허판례

상표의 유사 판단, 전체적인 모습을 봐야죠!

두 상표에 비슷한 핵심 부분이 있더라도, 전체적인 디자인을 고려했을 때 소비자가 헷갈릴 정도로 유사하지 않다면 유사 상표로 인정되지 않는다.

#상표 유사성#전체 디자인#소비자 혼동#동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