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유흥접객업허가신청서반려처분취소

사건번호:

91누10183

선고일자:

199210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가. 식품위생법상 유흥접객업허가의 성질 및 재량권행사의 기준 나. 내무부장관 및 부산직할시장이 한 유흥접객업신규허가제한지시의 법규성 유무(소극)

판결요지

가. 식품위생법상의 유흥접객업허가는 성질상 일반적 금지에 대한 해제에 불과하므로 허가권자는 허가신청이 법에서 정한 요건을 구비한 때에는 이를 반드시 허가하여야 하고, 다만 자신의 재량으로 공익상의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허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며, 그러한 경우에도 위 재량권은 허가를 제한하여 달성하려는 공익과 이로 인하여 받게 되는 상대방의 불이익을 교량하여 신중히 행사되어야 할 것이다. 나. 내무부장관 및 부산직할시장이 유흥접객업의 신규허가를 제한하도록 한 지시는 행정기관 내부의 사무처리지침에 지나지 아니하여 대외적으로 국민이나 법원을 구속하는 효력은 없다.

참조조문

식품위생법 제22조, 제24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동래구청장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91.8.30. 선고 91구78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식품위생법 제24조 제1항 제4호는 공익상 허가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어 보건사회부장관이 지정하는 영업 또는 품목에 해당하는 때에는 그 허가를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고, 이에 따라 보건사회부장관은 보건사회부 1989.12.20. 고시 제89-70호로 허가제한대상으로서 유흥접객업을 지정하고 있다. 위와 같은 식품위생법상의 유흥접객업허가는 그 성질상 일반적 금지에 대한 해제에 불과하므로 허가권자는 허가신청이 법에서 정한 요건을 구비한 때에는 이를 반드시 허가하여야 하고, 다만 자신의 재량으로 공익상의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그 허가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며, 그러한 경우에도 위 재량권은 허가를 제한하여 달성하려는 공익과 이로 인하여 받게 되는 상대방의 불이익을 교량하여 신중히 행사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내무부장관 및 부산직할시장은 1990.10.19. 및 같은 달 23. 범인성 유해환경과 과소비풍조 일소를 위하여 1990년말까지 유흥접객업의 신규허가를 제한하도록 지시하고, 그 후 다시 위 조치를 1991년말까지 연장하도록 한 바가 있으나 이는 행정기관 내부의 사무처리지침에 지나지 아니하여 대외적으로 국민이나 법원을 구속하는 효력은 없다고 할 것이다.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에서 원고가 일반유흥접객업의 허가를 신청한 지역은 일반상업지역으로 그 부근 일대가 술집, 여관 등의 위락시설이 밀집한 유흥가이므로 피고가 위 허가신청을 반려함으로써 달성하려는 범인성 유해환경의 일소라는 행정목적은 그 효과를 거두기가 어렵고, 원고에게 허가를 하여 주는 경우에도 영업행위의 종류나 시간제한 등으로 규제할 수 있는 반면에, 원고는 피고 소속의 담당직원으로부터 허가가 가능하다는 말을 듣고 허가장소의 건물에 대하여 용도변경허가를 얻은 다음 실내장식 등에 금 60,000,000원 이상을 투자하여 영업준비를 하여 왔던 점 등에 비추어, 유흥접객업의 신규허가를 제한하도록 지시한 내무부장관이나 부산직할시장의 지시에도 불구하고 피고의 위 반려처분은 재량권의 범위를 일탈하여 위법하다고 판단한 원심의 조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유흥접객업 허가의 성질, 행정기관 내부의 고시나 지시의 기속성 및 행정처분의 재량권의 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만호(재판장) 박우동 윤영철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유흥주점 허가, 기준 변경과 재량권 남용은?

유흥접객업 허가 신청 후 허가기준이 변경되면 새로운 기준을 적용해야 하며, 허가권자는 공익과 신청인의 불이익을 비교형량하여 허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유흥접객업#허가기준#변경#재량권

일반행정판례

영업정지 기간 중 영업, 무조건 허가 취소는 부당하다?

영업정지 기간 중 영업한 여관에 대해 영업허가를 취소한 처분은 재량권 남용으로 위법하다. 행정처분 기준은 참고사항일 뿐, 처분의 경중을 정할 재량권을 제한하지 않는다.

#영업정지#영업허가 취소#재량권 남용#과도한 처분

일반행정판례

노점 허가 취소, 구청의 재량 범위였을까?

관악구청장이 노점상에게 내린 도로점용허가 취소 처분은 정당하다고 대법원이 판결했습니다. 노점상은 담당 공무원의 지시를 따르지 않고, 노점상 협의회에서 제명되는 등 허가 조건을 위반했습니다.

#노점상#도로점용허가#취소#대법원

일반행정판례

주유소 진출입로, 도로점용 허가는 맘대로 안돼요!

주유소 진출입을 위한 가·감속차로 설치 목적으로 도로점용허가를 신청했지만, 교통사고 위험 증가를 이유로 거부당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도로관리청의 거부처분이 재량권을 일탈·남용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습니다.

#도로점용허가#거부처분#재량권#교통사고 위험

일반행정판례

옛날 투전기 영업, 허가는 마음대로? 아니면 법대로?

옛날 사행행위규제법에서 투전기업 허가는 원칙적으로 담당 기관의 재량이지만, 법에서 금지하는 조건에 해당하면 무조건 허가할 수 없다. 또한 이전에 허가를 받았더라도 법이 바뀌면 새롭게 허가를 받아야 하며, 이전 허가가 갱신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투전기업#허가#재량행위#기속행위

일반행정판례

영업정지 기간 중 영업, 숙박업 허가 취소될 수 있을까?

여관 주인이 윤락행위 알선 등으로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는데, 그 기간 동안 몰래 영업하다 적발되어 허가가 취소된 사건. 법원은 영업정지 처분을 무시하고 영업한 것은 위법하며, 허가취소 처분은 정당하다고 판결.

#영업정지#영업적발#허가취소#공중위생법 위반